이 연구는 북한의 이데올로기가 북한당국이 추구하는 그들의 주민들에 대한 정치사회화를 정당화하는 논리를 제공하고 있으며, 정치사회화의 중핵적인 작인(作因) 혹은 동인(動因)으로 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5056640
Bae, Han―do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Kim, Jin―man (Korean Third Military Academy)
2007
English
340
KCI등재
학술저널
363-395(3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북한의 이데올로기가 북한당국이 추구하는 그들의 주민들에 대한 정치사회화를 정당화하는 논리를 제공하고 있으며, 정치사회화의 중핵적인 작인(作因) 혹은 동인(動因)으로 작...
이 연구는 북한의 이데올로기가 북한당국이 추구하는 그들의 주민들에 대한 정치사회화를 정당화하는 논리를 제공하고 있으며, 정치사회화의 중핵적인 작인(作因) 혹은 동인(動因)으로 작용한다는 전제 하에 그 이론적 논리 체계를 규명하고 정치사회화를 실현하기 위한 실제적인 조작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정치사회화는 정치문화와 분리하여 설명할 수 없지만, 북한체제에서 정치문화는 다른 모든 영역에서와 마찬가지로 주체사상이라는 이데올로기가 창출하고 있다는 점에서 북한주민의 정치사회화는 이데올로기적 가치의 내면화와 동질적 관점으로 설명되어야 한다. 북한체제에서 주체사상이라는 이데올로기는 사회적 구조와 개인의 심적 구조를 연결하는 매개자이다. 북한 주민 한 개인의 가치관은 그 개인이 속한 조직이나 공동체의 문화를 만드는 이데올로기 즉 주체사상의 내면화를 통하여 구조화되고 그렇게 해서 형성된 구조가 다시 사회적 구조에 반영된다. 북한 주민 한 개인의 정치적·사회적 가치와 태도는 그들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여러 가지 외부적 메커니즘을 통해 반복적인 정치사회화 과정을 거치면서 형성된 심적 구조에 의해 결정되는 함수관계로 설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북한주민의 정치사회화 과정을 한 개인의 인지구조가 형성되는 메커니즘과의 연계선상에서 파악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학제적 접근을 시도함으로써 보다 포괄적인 시각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북한정권이 조작하는 정치사회화는 북한주민 개인과 체제 자체와의 상호작용으로 이해될 수 있다. 먼저 체제 차원에서 주민 개인에게 이데올로기를 유입시켜 세뇌하는 과정은 정치사회화의 외적 작인으로 규정된다. 다음으로 개인의 차원에서 정치사상을 내면화하게 되는 작용은 정치사회화의 내적 작인으로 규정되는데 이때 그들의 사상체계에서 그 과정이 어떤 논리로 설명되는가가 본 연구가 밝히고자 하는 또 다른 부분이다.
한국의 FTA 추진전략에 있어서 동아시아 지역주의 발전에 대한 고려
International Cooperation Theory and State―INGO Collaboration:The Case of the Mine Ban Treaty
정치적 사건에 대한 유권자의 감정적 반응과 정치참여의 관계: 2004년 대통령 탄핵사건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