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기업 자산가치의 점프 위험이 신용스프레드의 만기구조(기울기)에 미치는 영향을 횡단면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다른 모든 조건이 동일 할 때, 자산가치의 불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48180
2017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기업 자산가치의 점프 위험이 신용스프레드의 만기구조(기울기)에 미치는 영향을 횡단면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다른 모든 조건이 동일 할 때, 자산가치의 불확...
본 연구는 기업 자산가치의 점프 위험이 신용스프레드의 만기구조(기울기)에 미치는 영향을 횡단면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다른 모든 조건이 동일 할 때, 자산가치의 불확실성이 점프위험으로부터 크게 발생하는 기업일수록 신용스프레드의 기울기가 완만하다.”라는 가설을 검정하고자 한다.
기업 자산가치의 불확실성이 회사채 수익률 또는 CDS스프레드에 영향을 준다는 것은 직관적이고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한 단계 더 나아가 자산가치의 불확실성의 근원을 두 가지 요인– 연속과 비연속(점프) –으로 분해하여 살펴본다는 점이 새롭다.
동일한 불확실성 하에서도, 그것이 점프위험에 기인할수록 순간적인 부도확률을 높이고 이는 단기 스프레드는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어 결과적으로 만기구조의 기울기를 완만하게 만들것이라는 직관에서 출발하고 있다.
구조모형은 주식시장과 채권시장을 연결짓는 중요한 이론적 토대임에도 불구하고 실증적 관점에서의 실효성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 되어 왔다(Eom, Helwege, and Huang 2004; Huang and Huang 2012). 특히, 기존 연구는 스프레드의 시계열적 특성을 설명하는데만 집중하였다. (Collin-Dufresn, Goldstein, and Martin (2001), Ericsson, Jacobs, and Oviedo (2009), Galil et al. (2014), Wang, Zhou, and Zhou (2013)). 본 연구는 구조모형을 통해 횡단면적인 특성(특히 점프위험과 만기구조)에 집중하여 가설을 검정한다. 이를 통해, 구조모형이 부채시장 수익률에 대한 횡단면을 설명하는데에 대한 좋은 지침이 될 수 있음을 보인다면, 이것은 구조모형의 다른 측면의 실효성을 입증하는 기여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