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흑산도 어류의 민족생물학적 분류에 관한 연구: 19세기 전통지식의 지속과 변화의 관점에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흑산도 어민들의 해양 지식에 관한 연구로서, 특히 흑산도 어류의 민족생물학적 분류 방식을 역사적 관점에서 접근한다. 21세기 초 흑산도에서 수행한 경험적 자료에 대한 분석과 19...

      이 글은 흑산도 어민들의 해양 지식에 관한 연구로서, 특히 흑산도 어류의 민족생물학적 분류 방식을 역사적 관점에서 접근한다. 21세기 초 흑산도에서 수행한 경험적 자료에 대한 분석과 19세기 초에 저술된 『자산어보』에 대한 문헌 자료 분석을 비교 검토한다. 그럼으로써 조선 후기 흑산도 어류의 명칭과 분류에 대한 전통지식이 200여 년이 지난 현대 흑산도에서 어떻게 지속되고 변화되었는지를 살펴본다. 21세기 흑산도 어류의 민족생물학은 놀라울 정도로 『자산어보』에 기록된 그것과 많은 부분에서 닮아 있었고, 변화가 상당히 느리게 전개돼 온 것으로 보인다. ‘괴기’란 물에 사는 동물로서 몸에 비늘이 있고 지느러미로 헤엄쳐 다니는 것으로 인지된다. 이 어류의 원형성을 토대로 고래류와 오징어류는 21세기에도 여전히 ‘괴기’의 범주에 포함되었다. 그러나 상괭이, 범고래, 돌고래가 ‘고래’로 인지된 것은 상대적으로 근래의 변화로 밝혀졌다. 한편, 원형성에서 먼 주변부에 위치했던 새우, 해파리, 해삼, 군소, 미더덕 등은 ‘괴기’ 범주에서 배제되었다. 육지에서 들어오는 외부 지식이나 과학지식은 일부 어류 분류의 토착지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해양환경의 변화는 섬사람들의 어로활동 및 어류 목록에도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marine knowledge of Heuksan islanders, especially from the historical perspective on the ethnobiological classification of Heuksan fishes. I compare the analysis of the empirical data conducted in the early 21st century in...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marine knowledge of Heuksan islanders, especially from the historical perspective on the ethnobiological classification of Heuksan fishes. I compare the analysis of the empirical data conducted in the early 21st century in Heuksan Island and the analysis of the literature data of Jasan Eobo written in the early 19th century. I examine how the traditional knowledge of the names and classification of the Heuksan fish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continued and changed in the more than 200 years of modern Heuksando. Fish is conceptualized as an animal that lives in water and has scales on its body and swims in its fins. Based on the prototypicalty of fish, cetaceans and cephalopod are still included in the category of fish in the 21st century. However, the shrimp, jellyfish, sea cucumber, and sea hare which were located far from the prototype category are excluded from the category of fish. It is a relatively recent change that a finless porpoise, a killer whale, and a dolphin were recognized as a whale. Changes in the marine environment as well as the arrival of scientific knowledge and information coming from the land are also causing changes in the islanders’ fishing and fish lis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玆山魚譜』가 저술된 흑산도 사리 마을
      • 3. 흑산도 어류의 종류 및 민속분류법
      • 4. 흑산도 어류 분류의 특징: 『玆山魚譜』와의 비교 관점
      • 5. 맺음말
      • 1. 머리말
      • 2. 『玆山魚譜』가 저술된 흑산도 사리 마을
      • 3. 흑산도 어류의 종류 및 민속분류법
      • 4. 흑산도 어류 분류의 특징: 『玆山魚譜』와의 비교 관점
      • 5.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흑산초등학교 홈페이지"

      2 김창민, "흑산도의 친척: ‘큰집’과 ‘내롱’을 중심으로" 7 (7): 37-62, 2001

      3 조경만, "흑산 사람들의 삶과 민속신앙: 생계활동 · 당제 · 수산의례의 현양상" 6 : 133-185, 1988

      4 김윤하, "한국주변해역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의 회유 및 분포특성" 한국환경과학회 26 (26): 173-181, 2017

      5 왕한석, "한국의 언어 민속지: 충청남북도 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6 왕한석, "한국의 언어 민속지: 전라남북도 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7 왕한석, "한국의 언어 민속지: 경상남북도 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8 왕한석, "한국의 언어 민속지 1: 서편" 교문사 2009

      9 조숙정, "한국민속학 · 일본민속학 Ⅵ" 국립민속박물관 85-123, 2010

      10 오창현, "한국 멸치 소비 문화에 관한 일상의 민속학: 한일 멸치 어업기술의 전파와 수용에 따른 식생활 변동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회 51 (51): 109-158, 2018

      1 "흑산초등학교 홈페이지"

      2 김창민, "흑산도의 친척: ‘큰집’과 ‘내롱’을 중심으로" 7 (7): 37-62, 2001

      3 조경만, "흑산 사람들의 삶과 민속신앙: 생계활동 · 당제 · 수산의례의 현양상" 6 : 133-185, 1988

      4 김윤하, "한국주변해역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의 회유 및 분포특성" 한국환경과학회 26 (26): 173-181, 2017

      5 왕한석, "한국의 언어 민속지: 충청남북도 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6 왕한석, "한국의 언어 민속지: 전라남북도 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7 왕한석, "한국의 언어 민속지: 경상남북도 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8 왕한석, "한국의 언어 민속지 1: 서편" 교문사 2009

      9 조숙정, "한국민속학 · 일본민속학 Ⅵ" 국립민속박물관 85-123, 2010

      10 오창현, "한국 멸치 소비 문화에 관한 일상의 민속학: 한일 멸치 어업기술의 전파와 수용에 따른 식생활 변동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회 51 (51): 109-158, 2018

      11 김창민, "평등이념과 개인의 전략 : 흑산도의 바위 미역 채취에 관한 민속지" 역사문화학회 5 (5): 183-214, 2002

      12 조숙정, "콩에서 발견한 전북의 음식문화" 국립민속박물관 2008

      13 조경만, "조약도의 약용식물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경험" 12 : 187-202, 1994

      14 조숙정, "조선시대 어보의 민족생물학적 재해석: 정약전의 『玆山魚譜』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회 51 (51): 281-324, 2018

      15 조숙정, "조기의 민족어류학적 접근: 서해 어민의 토착 지식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인류학회 45 (45): 239-278, 2012

      16 왕한석, "제주 사회에서의 조 및 관련 명칭에 대한 일 연구" 29 (29): 341-360, 1996

      17 조숙정, "정약전의 흑산도 유배기와 『자산어보』에 대한 재검토 -세 가지 논쟁점을 중심으로-" 도서문화연구원 (49) : 41-72, 2017

      18 정약전, "자산어보" 서해문집 2016

      19 이주빈, "일제 강점기 ‘대흑산도 포경근거지’ 연구" 목포대학교 2017

      20 정약전, "신역 자산어보" 목근통 2016

      21 "신안군청 홈페이지"

      22 서영상, "신 자산어보" 아카데미서적 2015

      23 조숙정, "서해 어류의 민속 생물학적 분류와 변화: 곰소만 어촌의 민족지적 사례 연구" 한국문화인류학회 51 (51): 65-107, 2018

      24 조숙정, "바다 생태환경의 민속구분법 : 서해 어민의 문화적 지식에 관한 인지인류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25 함한희, "민속지식의 생산과 공공성의 문제: 마을 아카이브 구축과 관련해서" 17 : 7-31, 2008

      26 강봉룡, "고대 한 · 중 항로와 흑산도" 동아시아고대학회 (20) : 1-38, 2009

      27 정약전, "玆山魚譜: 흑산도의 물고기들" 지식산업사 1977

      28 김재희, "『임원경제지』의 나물과 21세기 민족식물학 - 「관휴지(灌畦志)」와 「인제지(仁濟志)」를 중심으로 -" 국립민속박물관 (36) : 59-84, 2015

      29 이상백, "『서해 도서 조사 보고』, 국립박물관 특별조사보고" 을유문화사 46-136, 1957

      30 Brown, Cecil, H., "Unique Beginners and Covert Categories in Folk Biological Taxonomies" 76 (76): 325-326, 1974

      31 Holman Eric W., "The Relation between Folk and Scientific Classifications of Plants and Animals" 19 : 131-159, 2002

      32 Berlin, Brent, "Speculations on the Growth of Ethnobotanical Nomenclature" 1 (1): 51-86, 1972

      33 Berlin, Brent, "Language, Culture, and Cognition: Anthropological Perspectives" Macmillan 92-113, 1981

      34 Berlin, Brent, "General Principles of Classification and Nomenclature in Folk Biology" 75 (75): 214-242, 1973

      35 Brown, Cecil, H., "Folk Zoological Life-Forms: Their Universality and Growth" 81 (81): 791-817, 1979

      36 Berlin, Brent, "Folk Systematics in Relation to Biological Classification and Nomenclature" 4 : 259-271, 1973

      37 Brown, Cecil, H., "Folk Botanical Life-Forms: Their University and Growth" 79 (79): 317-342, 1977

      38 Berlin, Brent, "Ethnobiological Classification: Principles of Categorization of Plants and Animals in Traditional Societ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2

      39 Berlin, Brent, "Covert Categories and Folk Taxonomies" 70 (70): 290-299, 1968

      40 Berlin, Brent, "Cognitive Anthropology" Holt, Rinehart and Winston 60-66, 1969

      41 조숙정, "19세기 한국 어류의 민속 생물학적 분류 ―『玆山魚譜』의 鱗類와 無鱗類를 중심으로―" 국립민속박물관 (44) : 133-169,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2-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Cross-Cultural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비교문화연구 제9집 1호 -> 비교문화연구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76 1.231 0.6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