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가코프의 희곡 [적자색 섬]을 국내에 처음 번역, 소개한다. 검열과 감시로 제대로 된 상연 기회조차 갖지 못했던 불가코프가 자신의 울분을 이 작품에서 패러디와 풍자로 유쾌하게 토해 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30538
2011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불가코프의 희곡 [적자색 섬]을 국내에 처음 번역, 소개한다. 검열과 감시로 제대로 된 상연 기회조차 갖지 못했던 불가코프가 자신의 울분을 이 작품에서 패러디와 풍자로 유쾌하게 토해 냈...
불가코프의 희곡 [적자색 섬]을 국내에 처음 번역, 소개한다. 검열과 감시로 제대로 된 상연 기회조차 갖지 못했던 불가코프가 자신의 울분을 이 작품에서 패러디와 풍자로 유쾌하게 토해 냈다. 세태를 비판하고자 한 의도가 그대로 드러나 불가코프의 희곡 중에서도 특히 노골적인 작품이다.
20세기 도스토옙스키라 불리며 러시아 대표 극작가에 꼽히는 불가코프의 말년은 암울했다. 그는 1932년 이후 죽을 때까지 [투르빈가의 나날들] 단 한 편의 희곡만을 상연할 수 있었다. 당국의 검열 때문이었다. [적자색 섬]에는 작가의 답답하고 절박한 심정이 배어 있다.
극중극 구정을 통한 현실 풍자
[적자색 섬]의 구성에서 가장 눈에 띄는 극중극 형태는, 패러디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당대 극장의 부조리하다 못해 코믹한 현실을 고스란히 재현해 내는 데 큰 몫을 한다. 희곡에 붙은 부제 ‘겐나디 판필로비치의 극장에서 있었던 쥘 베른 동지 희곡의 총리허설’이 암시하듯, 희곡의 줄거리는 극단장 겐나디 판필로비치가 디모가츠키의 창작 희곡 [적자색 섬]을 무대에 올리기 위한 리허설 과정을 골자로 한다.
진정성 없는 인물 설정 통한 패러디 효과의 극대화
이 희곡에서는 진정 고뇌하고 사색하는 인물을 찾아보기 어렵다. 겐나디뿐만 아니라 디모가츠키, 그리고 배우들이 빈번히 인용하는 고전 문구들이 이러한 한계를 직·간접적으로 드러낸다. 이들의 박식함과 재치가 오랜 세월 연극계에 몸담아 온 자들의 연륜과 순발력을 증명하며, 또한 연극 전체에 생기를 불어넣는 등의 순기능을 담당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고뇌와 사색과는 거리가 먼 인물들이 현실을 예측 가능한 허구적·연극적 상황에 빗대 타인의 말로 규격화하는 인식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극에서 인용되고 있는 그리보예도프나 셰익스피어, 수마로코프, 푸시킨 등은 그래서 어느 순간 고전의 매력과 힘을 상실한 채 공허한 말장난으로 변질되고 만다.
(출처: RISS,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577f7c5e44a854c3ffe0bdc3ef48d419)
국문 초록 (Abstract)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의 원자료이다. 위 작품은 연구주제와 관련하여 분석의 대상으로 삼는 자료이다. 위 작품들은 불가코프의 극작품들 중 ‘메타드라마’로 간주할 수 ...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의 원자료이다.
위 작품은 연구주제와 관련하여 분석의 대상으로 삼는 자료이다. 위 작품들은 불가코프의 극작품들 중 ‘메타드라마’로 간주할 수 있는 작품들로 이들 작품 속에 드러난 ‘메타드라마’적 특성을 밝히고, 그것들이 어떤 식으로 발전, 진화하는가를 살펴보고, 그 내적 맥락과 동력을 분석함으로써 불가코프가 인식한 현실세계의 정체와 그 의미, 그리고 예술과 현실이 맞닿는 지점과 그 관계를 알아보는데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