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기간 1994년 1월 5일부터 2004년 6월 30일까지 일별 종합주가지수및 대형주, 중형주, 소형주 지수를 이용하여 거래량의 증가에 따른 구조변화가 발생하였는가를 먼저 검증하고자 한다. 전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48762
200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기간 1994년 1월 5일부터 2004년 6월 30일까지 일별 종합주가지수및 대형주, 중형주, 소형주 지수를 이용하여 거래량의 증가에 따른 구조변화가 발생하였는가를 먼저 검증하고자 한다. 전체...
연구기간 1994년 1월 5일부터 2004년 6월 30일까지 일별 종합주가지수및 대형주, 중형주, 소형주 지수를 이용하여 거래량의 증가에 따른 구조변화가 발생하였는가를 먼저 검증하고자 한다. 전체기간, 1994년부터 1998년 까지, 및 1999년부터 2004년 6월까지 각각 식(1)에 의해 추정된 추정계수 값을 비교하여 Chow test로 구조변화를 검증하고자 하며, 식(1)에 더미변수를 추가한 식(2c)를 이용하여 구조변화를 검증하고자 한다. 식(2c)에서 는 더미변수로 1999년 이후이면 1, 이전이면 0을 부여하였다. 이를 통해 구조변화가 존재하였는가를 알 수 있으며, 또한 거래량 증가의 변화가 민감도 계수, 지속성 계수 및 비대칭성의 계수 값이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가를 알 수 있다.
비대칭성 변동성의 원인이 검증하기 위해 Lamoureux and Lastrapes(1990)는 식 (3a)의 모형을 통해 변동성의 지속성을 혼합분포가설로 검증하여 분산식에 거래량을 추가하면 변동성의 지속성이 감소 또는 없어지므로 변동성의 지속성이 거래량에 기인한다고 하였다.
단 Vt는 거래량을 의미하며, 수익률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로그차분하여 구한다. 정보가 많이 발생할수록 투자자의 의견 차이는 더 크게 되며, 따라서 투자자의 의견차이가 크면 클수록 거래량은 증가한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또한 거래량이 비대칭성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식 (4)와 같은 모형을 이용한다.
이를 식(1)의 결과 의 계수 값을 비교함으로써 거래량이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과잉반응 및 Disposition effect 등을 검증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모형을 이용한다.
단 MAt는 reference point의 대용치로 5일 이동주가평균에 대한 더미변수로 현재주가에 비해 이동평균가 낮으면 즉 최근 일정기간 수익률이 증가하였다면 1을 부여하고 그렇치 않으면 0을 부여하였다.
각 모형의 연구대상은 종합주가지수, 및 규모 지수 뿐만 아니라, 94년부터 2004년 6월까지 계속 상장된 모든 기업을 포함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거래량이 활발한 종목에 한하여 검증하였으나 거래량 집단별로 뚜렷한 차이가 있으므로 이를 세분하여 분석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