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원 내 학생참여 및 학습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BK21사업 고등교육정책 개입효과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7691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importance of accountability and quality of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has recently increased, the quality improvement and innovation of graduate school education are also deemed to be important challenges. Accordingly, while the previous studies on BK21 project performance analysis has traditionally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professors' research performance, this study was mainly conducted based upon the student engagement theory which illustrates the logic of students' active engagement in their academic activities and learning outcomes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programs. In other words, this study explored whether the support for the BK21 project could improve the university's supportive environment and hence promote student engagement and mediate the improvement of learning outcomes. This study also tested whether the effects of the educational; policies were effective by comparative analysis. The main research findings at each stag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in the results of various preceding studies targeting undergraduate students, this study probed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niversity's supportive environment, student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depending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graduate students. The main results suggest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university's supportive environment, student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on the basi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major field, degree course, degree period, and program beneficiary period, etc.
      Next, stepwise regression and structural equation (SEM) analysis were conducted to derive the main antecedent factors on the improvement of learning outcomes. As a result of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hen the university's supportive environment, favorable conditions, and student engagement were gradually increased in a statistical term,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also improved. Thus, It was confirmed that student engagement is an important factor tha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erformance improvement overall.
      In addition, a SEM was adopt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university's supportive environment, the student engagement, and the learning outcomes. The results implied that the sub-factors of student engagement,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have positive correlational relationships. In addition,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learning outcomes suggested that the university's supportive environment has a indirect effect of improving learning competencies by promoting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and faculty-student interactions.
      Lastly, in order to test and confirm the policy effect of the BK21 project, the non-beneficiary group was composed of a comparative group that is most similar to the beneficiary group through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and the difference was analyzed to confirm the policy effect of the projec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upportive environment of universities which participated in the BK21 project wa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outperformed and outstanding. Furthermore, student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of graduat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ject were also significantly better than those of non-participating graduate students. In other word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various programs and financial investments provided by the BK21 project could improve the university's supportive environment and student engagement,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learning outcomes.
      Through an additional qualitative analysis such as focused group interview (FGI), various policy implications and caveats were arranged for public administrators and educational policy practitioners such as strategic directions for measuring graduate students' performance and for enhancing their competency appraisal process as well as for establishing a career tracking and management system even long after graduation, all of which could innovate the student and project performance management.
      번역하기

      As the importance of accountability and quality of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has recently increased, the quality improvement and innovation of graduate school education are also deemed to be important challenges. Accordingly, while the previous st...

      As the importance of accountability and quality of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has recently increased, the quality improvement and innovation of graduate school education are also deemed to be important challenges. Accordingly, while the previous studies on BK21 project performance analysis has traditionally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professors' research performance, this study was mainly conducted based upon the student engagement theory which illustrates the logic of students' active engagement in their academic activities and learning outcomes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programs. In other words, this study explored whether the support for the BK21 project could improve the university's supportive environment and hence promote student engagement and mediate the improvement of learning outcomes. This study also tested whether the effects of the educational; policies were effective by comparative analysis. The main research findings at each stag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in the results of various preceding studies targeting undergraduate students, this study probed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niversity's supportive environment, student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depending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graduate students. The main results suggest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university's supportive environment, student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on the basi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major field, degree course, degree period, and program beneficiary period, etc.
      Next, stepwise regression and structural equation (SEM) analysis were conducted to derive the main antecedent factors on the improvement of learning outcomes. As a result of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hen the university's supportive environment, favorable conditions, and student engagement were gradually increased in a statistical term,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also improved. Thus, It was confirmed that student engagement is an important factor tha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erformance improvement overall.
      In addition, a SEM was adopt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university's supportive environment, the student engagement, and the learning outcomes. The results implied that the sub-factors of student engagement,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have positive correlational relationships. In addition,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learning outcomes suggested that the university's supportive environment has a indirect effect of improving learning competencies by promoting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and faculty-student interactions.
      Lastly, in order to test and confirm the policy effect of the BK21 project, the non-beneficiary group was composed of a comparative group that is most similar to the beneficiary group through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and the difference was analyzed to confirm the policy effect of the projec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upportive environment of universities which participated in the BK21 project wa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outperformed and outstanding. Furthermore, student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of graduat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ject were also significantly better than those of non-participating graduate students. In other word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various programs and financial investments provided by the BK21 project could improve the university's supportive environment and student engagement,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learning outcomes.
      Through an additional qualitative analysis such as focused group interview (FGI), various policy implications and caveats were arranged for public administrators and educational policy practitioners such as strategic directions for measuring graduate students' performance and for enhancing their competency appraisal process as well as for establishing a career tracking and management system even long after graduation, all of which could innovate the student and project performance manage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고등교육의 책무성과 교육의 질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대학원 교육의 질제고와 혁신 또한 중요한 당면과제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존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 교수의 연구실적 향상여부에 초점을 둔 BK21사업 성과분석과 달리 ‘대학생활에서 학생들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참여가 학습 성과를 높인다.’는 학생참여이론(Astin, Kuh et al)을 바탕으로 BK21사업의 사업수혜자인 대학원생에게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즉 BK21사업 지원이 대학의 지원환경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학생참여를 촉진시켜 학습성과 향상을 매개하는지를 분석하였고, 사업 미참여대학원생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정책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 단계별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부생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선행연구의 결과에서처럼, 대학원내에서도 대학원생 개인특성에 따라 대학의 지원환경, 학생참여, 학습성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집단별 평균차이 분석(ANOVA)을 통해 확인해보았다. 그 결과, 대학원생의 성별, 전공분야, 학위과정, 학위기간, 사업 수혜기간 등 개인특성에 따라 대학의 지원환경 만족도, 학생참여, 학습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대학원생의 개인특성, 대학의 지원환경, 학생참여 변수 중 고등교육의 최종 목적인 학습성과 향상에 미치는 주요 영향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stepwise regression)과 구조방정식(SEM) 분석을 진행하였다.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대학원생의 학습성과(학습역량, 연구역량) 향상에 학생의 개인특성보다 대학의 지원환경, 학생참여 변수를 단계적으로 투입했을 때, 모델의 설명력이 증가하여 학생참여가 대학원생의 학습성과 향상에 중요한 영향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학의 지원환경, 학생참여의 각 하위요인들과 학습성과와의 구조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대학의 지원환경은 학습성과의 하위요인인 학습역량과 연구역량 모두에서 학생참여 하위요인인 능동적‧협력적 학습,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학습성과에 대한 직‧간접 효과 분석결과, 대학의 지원환경은 학습역량 향상에 직접적인 효과와 더불어 학생참여의 하위요인인 능동적‧협력적 학습과 교수-학생 상호작용 촉진하고, 이를 통해 학습역량을 향상시키는 간접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BK21사업의 정책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사업 미수혜집단을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d Matching, PSM)을 통해 수혜집단과 가장 유사한 비교집단을 구성하여 집단 간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BK21사업에 참여하는 대학의 지원환경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참여 및 학습성과 각 하위요인에서도 사업 참여대학원생이 미참여대학원생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BK21사업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재정투입이 대학의 지원환경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대학원생의 학생참여를 촉진시켜 학습성과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양적 분석결과에 대한 추가적인 질적 분석을 통해, 연구중심대학을 표방하는 BK21사업 참여대학들은 학부중심 사고를 넘어 대학원 교육혁신과 실질적인 대학원생 학생참여가 제고될 수 있도록 교육환경 혁신을 추진해야 한다는 점과 대학원생들의 역량향상 과정에 대한 성과측정 및 졸업 후 진로추적 시스템 구축, 학생성과 중심의 사업 성과관리 방향전환, 연차평가 완화를 통한 대학 간 대학원 교육혁신 성과의 공유․확산 문화 정착 등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최근 고등교육의 책무성과 교육의 질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대학원 교육의 질제고와 혁신 또한 중요한 당면과제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존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 교수...

      최근 고등교육의 책무성과 교육의 질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대학원 교육의 질제고와 혁신 또한 중요한 당면과제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존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 교수의 연구실적 향상여부에 초점을 둔 BK21사업 성과분석과 달리 ‘대학생활에서 학생들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참여가 학습 성과를 높인다.’는 학생참여이론(Astin, Kuh et al)을 바탕으로 BK21사업의 사업수혜자인 대학원생에게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즉 BK21사업 지원이 대학의 지원환경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학생참여를 촉진시켜 학습성과 향상을 매개하는지를 분석하였고, 사업 미참여대학원생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정책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 단계별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부생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선행연구의 결과에서처럼, 대학원내에서도 대학원생 개인특성에 따라 대학의 지원환경, 학생참여, 학습성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집단별 평균차이 분석(ANOVA)을 통해 확인해보았다. 그 결과, 대학원생의 성별, 전공분야, 학위과정, 학위기간, 사업 수혜기간 등 개인특성에 따라 대학의 지원환경 만족도, 학생참여, 학습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대학원생의 개인특성, 대학의 지원환경, 학생참여 변수 중 고등교육의 최종 목적인 학습성과 향상에 미치는 주요 영향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stepwise regression)과 구조방정식(SEM) 분석을 진행하였다.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대학원생의 학습성과(학습역량, 연구역량) 향상에 학생의 개인특성보다 대학의 지원환경, 학생참여 변수를 단계적으로 투입했을 때, 모델의 설명력이 증가하여 학생참여가 대학원생의 학습성과 향상에 중요한 영향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학의 지원환경, 학생참여의 각 하위요인들과 학습성과와의 구조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대학의 지원환경은 학습성과의 하위요인인 학습역량과 연구역량 모두에서 학생참여 하위요인인 능동적‧협력적 학습,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학습성과에 대한 직‧간접 효과 분석결과, 대학의 지원환경은 학습역량 향상에 직접적인 효과와 더불어 학생참여의 하위요인인 능동적‧협력적 학습과 교수-학생 상호작용 촉진하고, 이를 통해 학습역량을 향상시키는 간접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BK21사업의 정책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사업 미수혜집단을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d Matching, PSM)을 통해 수혜집단과 가장 유사한 비교집단을 구성하여 집단 간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BK21사업에 참여하는 대학의 지원환경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참여 및 학습성과 각 하위요인에서도 사업 참여대학원생이 미참여대학원생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BK21사업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재정투입이 대학의 지원환경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대학원생의 학생참여를 촉진시켜 학습성과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양적 분석결과에 대한 추가적인 질적 분석을 통해, 연구중심대학을 표방하는 BK21사업 참여대학들은 학부중심 사고를 넘어 대학원 교육혁신과 실질적인 대학원생 학생참여가 제고될 수 있도록 교육환경 혁신을 추진해야 한다는 점과 대학원생들의 역량향상 과정에 대한 성과측정 및 졸업 후 진로추적 시스템 구축, 학생성과 중심의 사업 성과관리 방향전환, 연차평가 완화를 통한 대학 간 대학원 교육혁신 성과의 공유․확산 문화 정착 등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 1. 연구배경 1
      • 2. 연구목적 6
      •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10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 1. 연구배경 1
      • 2. 연구목적 6
      •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10
      • 1. 연구의 범위 10
      • 2. 연구의 방법 12
      • 제2장 이론적 논의 15
      • 제1절 정책분석, 성과관리 및 성과평가 15
      • 1. 정책분석 16
      • 2. 성과관리 22
      • 3. 성과관리 체계 및 성과의 측정 27
      • 4. 교육훈련 프로그램 성과평가 30
      • 제2절 대학원 교육과 대학원생의 특성 39
      • 1. 대학원 교육의 특성 39
      • 2. 대학원생의 특성 41
      • 제3절 학습역량, 학습성과 및 학생참여 50
      • 1. 학습역량 50
      • 2. 학습성과 55
      • 3. 학생참여 59
      • 제4절 선행연구 검토 65
      • 1. 학습성과 관련 선행연구 65
      • 2. 학생참여 관련 선행연구 68
      • 3. CIPP 평가모형을 활용한 선행연구 74
      • 4. BK21사업 관련 선행연구 76
      • 제3장 제도적 논의 82
      • 제1절 인사혁신과 국가인적자원개발 82
      • 1. 인사혁신 82
      • 2. 국가(공공)인적자원개발 86
      • 제2절 국내․외 인적자원개발 정책 91
      • 1. 우리나라 인적자원개발 정책 91
      • 2. 해외 주요국가의 인적자원개발 정책 96
      • 제3절 BK21사업 개관 및 변천사 103
      • 1. 두뇌한국(Brain Korea21) 사업 개관 103
      • 2. BK21사업 변천사 108
      • 제4장 연구설계 119
      • 제1절 연구모형 119
      • 제2절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123
      • 제3절 연구변수 및 진단 도구 126
      • 1. 학생참여, 학습성과 영향요인 분석 활용 변수 126
      • 2. 성향점수매칭 활용 변수 130
      • 제4절 분석 방법 133
      • 1. 학생참여, 학습성과 영향요인 분석 133
      • 2. 성향점수매칭을 활용한 정책효과 분석 134
      • 3.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한 질적 분석 137
      • 제5장 분석결과 139
      • 제1절 학생참여, 학습성과 영향요인 분석 139
      • 1. 기술통계 139
      • 가. 응답자 특성 139
      • 나. 설문문항의 신뢰도 검증결과 141
      • 2. 분석 결과 144
      • 가. 개인특성이 학생참여,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144
      • 나. 학습성과에 미치는 주요 영향요인 157
      • 다. 대학의 지원환경, 학생참여, 학습성과 간의 구조관계 163
      • 제2절 성향점수 매칭을 통한 정책효과 분석 169
      • 1. 성향점수매칭 분석결과 169
      • 가. 과학기술분야 169
      • 나. 인문사회분야 171
      • 2. 정책효과 분석 결과 174
      • 가. 응답자 특성 174
      • 나. 집단 간 차이분석 결과 175
      • 제3절 FGI를 통한 양적분석 결과에 대한 질적 탐색 181
      • 1. 개인특성이 학생참여,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181
      • 가. 대학의 지원환경 181
      • 나. 학생참여 183
      • 다. 학습성과 185
      • 2. 학습성과에 미치는 주요 영향요인 187
      • 3. 참여대학원생과 미참여대학원생의 비교 189
      • 4. 양적분석 결과 및 BK21사업 관련 제언 192
      • 가. 대학원생 역량진단 모델 구축 192
      • 나. BK21사업의 학생성과 비중 강화 194
      • 다. 4단계 BK21사업 개선방향 197
      • 5. 주요 분석결과 요약 201
      • 제6장 결 론 204
      • 제1절 연구의 요약 204
      • 제2절 연구의 함의 208
      • 1. 이론적 함의 208
      • 2. 정책적 함의 211
      • 제3절 연구의 한계 217
      • 참고문헌 219
      • (부록 1) 대학원생 학습참여 및 학습성과 설문지 258
      • (부록 2) FGI(Focus Group Meeting) 질문지 26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