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각 나라별 증권수익률을 설명하는 요인(factor)간의 국제적인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장기 안정적인 관계와 각 요인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다른 나라로 전이되는 과정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36611
-
2012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각 나라별 증권수익률을 설명하는 요인(factor)간의 국제적인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장기 안정적인 관계와 각 요인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다른 나라로 전이되는 과정에 ...
본 논문에서는 각 나라별 증권수익률을 설명하는 요인(factor)간의 국제적인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장기 안정적인 관계와 각 요인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다른 나라로 전이되는 과정에 집중하여 살펴보았는데, 주요한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나라별 요인 지수는 각 요인수준에서 공적분 관계가 존재하는데, 이는 각 나라별 요인지수가 국제적으로 장기안정적 관계가 존재하면서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미국의 경우 시장 요인 시스템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친다. 그러나, 규모와 가치요인 시스템의 경우 일본이 모멘텀 시스템의 경우에는 영국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시장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investigate the international linkages among local stock market factors, focusing on their equilibrium relationship and cross-border transmission of factor innovations. The key findings are: First, local factor indices, constructed from the cumulat...
We investigate the international linkages among local stock market factors, focusing on their equilibrium relationship and cross-border transmission of factor innovations. The key findings are: First, local factor indices, constructed from the cumulative factor returns, are cointegrated for each of the four factor classes, implying that local factors are globally bound to each other through a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 Second, the U.S. is dominant in the market factor system, which is consistent with previous findings. However, Japan is the most influential in the size and value factor systems while the U.K. is the most influential in the momentum factor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