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영종, "후계자 김정은" (주)늘품플러스 2010
2 이관세, "현지지도를 통해 본 김정일의 리더십" 전략과 문화 2009
3 서대숙, "현대 북한의 지도자: 김일성과 김정일" 을유문화사 2000
4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한반도 정세: 2010년 평가와 2011년 전망"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10
5 "한겨레 21"
6 "한겨레"
7 "통일신문"
8 최진욱, "탈사회주의 경제이행 국가의 권력구조 유형과 개혁 경로" 통일연구원 2010
9 "중앙일보"
10 이정철, "조선로동당 3차 당대표자회 평가: 선군이데올로기의 제도화" 코리아연구원 (31) : 2010
11 이기동, "전략적 선택론의 관점에서 본 북한의 권력구조 변화" 북한연구학회 13 (13): 123-144, 2009
12 "위인 김정일" 외국문출판사 2012
13 김봉호, "위대한 선군시대" 평양출판사 2004
14 김경철,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의 혁명투쟁력사는 선군혁명령도의 력사"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54 (54): 2008
15 강충희, "영원히 인민과 함께" 평양출판사 2007
16 "선군태양 김정일장군 4" 평양출판사 2007
17 "선군태양 김정일장군 3" 평양출판사 2006
18 "선군태양 김정일장군 2" 평양출판사 2006
19 "선군태양 김정일장군 1" 평양출판사 2006
20 오현철, "선군과 민족의 운명" 평양출판사 2007
21 이종석, "새로쓴 현대북한의 이해" 역사비평사 2000
22 이우정, "북한체제엘리트의 이동양태 및 갈등분석" 동국대학교 안보연구소 1981
23 김창희, "북한정치와 김정은" 법문사 2012
24 박후건, "북한의 후계체제와 김정일 정권 이후 북한의 정치체제 전망" 북한대학원대학교 13 (13): 83-119, 2010
25 후지모토 겐지, "북한의 후계자 왜 김정은인가?" 맥스 2010
26 정순원, "북한의 후계구도와 북한법의 변화" 북한연구학회 13 (13): 253-277, 2009
27 조대엽, "북한의 체제위기와 사회갈등" 통일연구원 2010
28 박영자, "북한의 집권엘리트(Centralized Power Elites)와 Post 김정일시대" 통일연구원 18 (18): 33-66, 2009
29 전현준, "북한의 제3차 당대표자대회 개최 의미와 전망: 김정은 후계체제 안정적 구축을 위한 포석"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2010
30 정영철, "북한의 ‘후계자’론과 현실: 이론의 형해화와 현실의 계승" 북한연구학회 13 (13): 279-299, 2009
31 변영욱, "북한은 김정은을 어떻게 외부에 보여주고 있는가?: 김정은의 사진 배급 방식 분석" 북한연구소 2011
32 연합뉴스, "북한용어 400선집" 연합뉴스 1999
33 김연철, "북한, 어디로 가는가?" 플래닛미디어 2009
34 이승열, "북한 후계체제 구축의 ‘세 가지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 - 경로의존성을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 14 (14): 153-186, 2010
35 이교덕, "북한 후계자론" 통일연구원 2003
36 김창희, "북한 정치사회의 이해(제4판)" 법문사 2006
37 김연수, "북한 내부 및 대남정책 평가: ‘후계계승의 정치와 정통성 문제’를 중심으로" 2010
38 정성장, "북한 김정은의 실제 영향력, 지도체제의 성격과 핵심 파워 엘리트" 제주평화연구원 (2012-02) : 2012
39 안성호, "북한 김정은 체제와 북한 민주화전망" 한국정치학회 2012
40 백학순, "북한 권력의 역사: 사상·정체성·구조" 한울 2010
41 오경섭, "북한 권력승계의 특징과 3대 세습체제의 지속가능성" 세종연구소 6 (6): 2010
42 송정호, "북한 권력승계문제의 쟁점과 전망- 사회주의 사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북한대학원대학교 7 (7): 7-52, 2005
43 김진하, "북한 권력세습의 안전성 전망" 통일연구원 2010
44 김인수, "북한 권력 엘리트의 직위변동 구조와 정권의 안정성" 북한연구학회 13 (13): 77-96, 2009
45 허인혜, "북한 경제개방의 사상적 딜레마" 한국정치학회 45 (45): 201-227, 2011
46 김근식, "북한 ‘실리 사회주의’의 추진과 좌절:북한변화에의 함의" 북한연구학회 14 (14): 1-21, 2010
47 이승열, "북한 ‘수령체제’의 변화와 ‘3대 세습’의 구조적 한계" 북한연구학회 13 (13): 109-137, 2009
48 이종수, "막스 베버의 학문과 사상" 한길사 1983
49 "로동신문"
50 박형중, "당대표자회와 과도적 권력체계의 출범" 통일연구원 2010
51 김현환, "김정일장군 조선민족제일주의론" 평양출판사 2003
52 김인옥, "김정일장군 선군정치리론" 평양출판사 2003
53 윤황, "김정일의 선군영도체계 구축에 따른 선군정치의 기능 분석: 『로동신문』의 담론을 중심으로" 한국동북아학회 15 (15): 213-239, 2010
54 김창희, "김정일의 딜레마" 인물과 사상사 2004
55 오일환, "김정일시대의 북한정치경제" 을유문화사 1999
56 이수석, "김정일 후계구도와 북한체제 전망" 국가관리연구원 14 (14): 33-62, 2010
57 통일연구원, "김정일 현지지도 동향 1994∼2011" 통일연구원 2011
58 김창희, "김정일 체제의 권력구조 변화와 후계문제" 한국정치정보학회 13 (13): 1-22, 2010
59 김창희, "김정일 체제와 ‘선군정치’의 함의와 평가"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32 (32): 2008
60 김갑식, "김정일 정권의 권력구조" 한국학술정보(주) 2005
61 정성장, "김정일 시대 북한 국방위원회의 위상·역할·엘리트" 세종연구소 6 (6): 2010
62 김갑식, "김정일 시대 권력엘리트 변화" 서울대학교통일평화연구소 (2) : 2009
63 정성장, "김정은 후계체계의 공식화와 북한 권력체계 변화" 북한연구학회 14 (14): 159-188, 2010
64 백승주, "권력이 세습되는 북한"
65 이우정, "권력승계와 정당성: 사회주의 체제의 정치변동" 도서출판 신양사 1997
66 한기범, "권력승계 시기 북한의 지배구조와 대내외 정책 전망" 통일연구원 19 (19): 81-106, 2010
67 이기동, "강성대국론의 허와 실"
68 Lind, Jennifer, "The Once and Future Kim: Succession and Stasis in North Korea" 89 : 2010
69 Dae-Sook Suh, "Political Leadership in Korea"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76
70 Michishita Narushige, "North Korea's Military-Diplomatic Campaigns, 1966-2008" Routledge 2010
71 The Economist, "Country Report: North Korea" Economist Intelligence Unit 2010
72 Lankov Andrei, "Changing North Korea: An Information Campaign Can Beat the Regime" 88 (88): 2009
73 류경원, "3대세습,“후계문제”들에 직면하게 될 조선의 정권" 림진강출판사 (4) : 2009
74 통일연구원, "2010 북한 기관별 주요 인물정보" 통일연구원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