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 권력승계의 정치: 이념·제도화·인적기반·사회화 = Politics of Power Succession in North Korea: Ideology・Institutionalization・Human Resource・Socializ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386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fter the 6th convention of the Workers Party in 1980, 'Kim Il Sung-leading and Kim Jung Il-controling' system was settled. The convention saw Kim Jung Il called 'Center of the Party' was enthroned as an official successor. Kim Jung Eun was appointed as vice chairman of the Central Military Commission in the 3rd representative convention of the party, which meant the official confirmation of him as a successor.
      This research is to tak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succession processes of Kim Il Sung-Kim Jung Il-Kim Jung Eun with considering power succession as the core theme of political process of North Korea. The institutionalization by a political ideology and the amendment of constitutional law and party rules, the political power elite as a guardian and supporter, and a political socialization process are set as variables for the research.
      Regarding that ideology is a fundamental foundation for unifying people, an emphasis on ideology is prerequisite to power succession and the priority is granted to 'Juche' and 'Military First' ideologies. From Juche to Military First ideology, Kim Jung Il and Kim Jung Eun have taken the leading role in institutionalizing two ideologies and a logical base for their achievements has lain on the Baekdu lineage.
      After power concentration by the constitutional law of the pillar of a state, Kim Il Sung transferred practical control over the party and, just before his death, authority over military to his son. In Kim Jung Il's case, he was renamed as from national defense minister to 'Sumprem Leader' by the 2009 constitutional amendment and secretary general became the head of the party through the 2010 revision of party rules. Sustaining both positions, he appointed Kim Jung Eun to vice chairman of the Central Military Commission in the sake of emergency succession. In this process, the so called 1st generation of revolution took the central role in guarding Kim Jung Il and he tried to establish a succession system by changing the power elite and fostering its mutual supplementation.
      The task to incorporate heir's legitimacy into the public is a political socialization process and the fundamental contents for it have been Juche, Chongdae and CNC. Like immortalizing Kim Il Sung after his death, the immortalization of Kim Jung Il as 'the Sun of 21st Century' is promptly carrying out.
      번역하기

      After the 6th convention of the Workers Party in 1980, 'Kim Il Sung-leading and Kim Jung Il-controling' system was settled. The convention saw Kim Jung Il called 'Center of the Party' was enthroned as an official successor. Kim Jung Eun was appointed ...

      After the 6th convention of the Workers Party in 1980, 'Kim Il Sung-leading and Kim Jung Il-controling' system was settled. The convention saw Kim Jung Il called 'Center of the Party' was enthroned as an official successor. Kim Jung Eun was appointed as vice chairman of the Central Military Commission in the 3rd representative convention of the party, which meant the official confirmation of him as a successor.
      This research is to tak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succession processes of Kim Il Sung-Kim Jung Il-Kim Jung Eun with considering power succession as the core theme of political process of North Korea. The institutionalization by a political ideology and the amendment of constitutional law and party rules, the political power elite as a guardian and supporter, and a political socialization process are set as variables for the research.
      Regarding that ideology is a fundamental foundation for unifying people, an emphasis on ideology is prerequisite to power succession and the priority is granted to 'Juche' and 'Military First' ideologies. From Juche to Military First ideology, Kim Jung Il and Kim Jung Eun have taken the leading role in institutionalizing two ideologies and a logical base for their achievements has lain on the Baekdu lineage.
      After power concentration by the constitutional law of the pillar of a state, Kim Il Sung transferred practical control over the party and, just before his death, authority over military to his son. In Kim Jung Il's case, he was renamed as from national defense minister to 'Sumprem Leader' by the 2009 constitutional amendment and secretary general became the head of the party through the 2010 revision of party rules. Sustaining both positions, he appointed Kim Jung Eun to vice chairman of the Central Military Commission in the sake of emergency succession. In this process, the so called 1st generation of revolution took the central role in guarding Kim Jung Il and he tried to establish a succession system by changing the power elite and fostering its mutual supplementation.
      The task to incorporate heir's legitimacy into the public is a political socialization process and the fundamental contents for it have been Juche, Chongdae and CNC. Like immortalizing Kim Il Sung after his death, the immortalization of Kim Jung Il as 'the Sun of 21st Century' is promptly carrying ou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80년 로동당 제6차대회 이후 북한의 정치는 ‘김일성 영도-김정일 관리’체제가 되었다. 이 대회를 통하여 그동안 ‘당중앙’으로 불리던 김정일은 당의 제2인자로 부상하면서 공식적인 후계자가 된 것이다. ‘청년대장’으로 불리던 김정은은 2010년 로동당 제3차 대표자회에서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추대되었고, 이는 후계자로의 공식화를 의미한 것이었다.
      본 연구는 북한 정치과정의 핵심 주제를 권력승계로 보고 김일성-김정일-김정은으로 이어지는 후계체제구축과정을 비교 분석해 보려는 것이다. 이 비교를 통해 향후 북한의 정치방향도 예견해 본다. 이를 위해 정치이념과 헌법․당규약 개정 등을 통한 제도화, 후견과 지지자로서 정치권력엘리트, 세습을 위한 정치사회화 과정을 비교변수로 설정하였다.
      북한에서 통치이념은 인민들을 하나로 가져가는 근본적인 초석이다. 정치권력승계에서도 사상중시는 선결요건이고, 주체사상과 선군사상이 그 중심에 있다. 이 두 이념이 이어지는 가운데 김정일과 김정은은 그것을 체계화한 주역이 되었고, 이는 백두혈통이기 때문에 가능하다는 논리를 펼쳤다.
      김일성은 주석제 헌법으로 권력을 한 곳에 모으고, 당의 실제적인 운영을 그의 아들에게 넘겼다. 김일성 사망 전에 군통수권도 이양하였다. 김정일은 2009년 헌법 개정으로 국방위원장을 ‘최고영도자’로, 2010년 당규약 개정에서는 총비서를 당의 수반으로서 영도권 부여하고 양직을 유지하였다. 김정은에게는 당중앙군사회원회 부위원장을 직책을 부여하였고, 유사시에 김정은이 당과 국가의 영도권을 승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어떠한 권력엘리트를 어떻게 배치하는냐는 권력승계과정에 있어 중요한 문제이다. 권력승계과정에서 김일성은 소위 혁명 1세대들을 김정일 옹위세력의 중심에 두었고, 김정일은 권력엘리트의 교체와 상호보완을 통해 김정은 후계체제를 구축하려고 하였다.
      후계자의 정통성과 정당성을 인민들에게 내면화 시키는 작업이 정치사회화 과정이고, 그 기본적인 내용이 주체와 총대 그리고 CNC였다. 김일성 사후에 김일성을 영생화했던 것처럼, 김정은은 빠른 속도로 ‘21세기의 태양’으로 김정일 영생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번역하기

      1980년 로동당 제6차대회 이후 북한의 정치는 ‘김일성 영도-김정일 관리’체제가 되었다. 이 대회를 통하여 그동안 ‘당중앙’으로 불리던 김정일은 당의 제2인자로 부상하면서 공식적인 후...

      1980년 로동당 제6차대회 이후 북한의 정치는 ‘김일성 영도-김정일 관리’체제가 되었다. 이 대회를 통하여 그동안 ‘당중앙’으로 불리던 김정일은 당의 제2인자로 부상하면서 공식적인 후계자가 된 것이다. ‘청년대장’으로 불리던 김정은은 2010년 로동당 제3차 대표자회에서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추대되었고, 이는 후계자로의 공식화를 의미한 것이었다.
      본 연구는 북한 정치과정의 핵심 주제를 권력승계로 보고 김일성-김정일-김정은으로 이어지는 후계체제구축과정을 비교 분석해 보려는 것이다. 이 비교를 통해 향후 북한의 정치방향도 예견해 본다. 이를 위해 정치이념과 헌법․당규약 개정 등을 통한 제도화, 후견과 지지자로서 정치권력엘리트, 세습을 위한 정치사회화 과정을 비교변수로 설정하였다.
      북한에서 통치이념은 인민들을 하나로 가져가는 근본적인 초석이다. 정치권력승계에서도 사상중시는 선결요건이고, 주체사상과 선군사상이 그 중심에 있다. 이 두 이념이 이어지는 가운데 김정일과 김정은은 그것을 체계화한 주역이 되었고, 이는 백두혈통이기 때문에 가능하다는 논리를 펼쳤다.
      김일성은 주석제 헌법으로 권력을 한 곳에 모으고, 당의 실제적인 운영을 그의 아들에게 넘겼다. 김일성 사망 전에 군통수권도 이양하였다. 김정일은 2009년 헌법 개정으로 국방위원장을 ‘최고영도자’로, 2010년 당규약 개정에서는 총비서를 당의 수반으로서 영도권 부여하고 양직을 유지하였다. 김정은에게는 당중앙군사회원회 부위원장을 직책을 부여하였고, 유사시에 김정은이 당과 국가의 영도권을 승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어떠한 권력엘리트를 어떻게 배치하는냐는 권력승계과정에 있어 중요한 문제이다. 권력승계과정에서 김일성은 소위 혁명 1세대들을 김정일 옹위세력의 중심에 두었고, 김정일은 권력엘리트의 교체와 상호보완을 통해 김정은 후계체제를 구축하려고 하였다.
      후계자의 정통성과 정당성을 인민들에게 내면화 시키는 작업이 정치사회화 과정이고, 그 기본적인 내용이 주체와 총대 그리고 CNC였다. 김일성 사후에 김일성을 영생화했던 것처럼, 김정은은 빠른 속도로 ‘21세기의 태양’으로 김정일 영생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종, "후계자 김정은" (주)늘품플러스 2010

      2 이관세, "현지지도를 통해 본 김정일의 리더십" 전략과 문화 2009

      3 서대숙, "현대 북한의 지도자: 김일성과 김정일" 을유문화사 2000

      4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한반도 정세: 2010년 평가와 2011년 전망"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10

      5 "한겨레 21"

      6 "한겨레"

      7 "통일신문"

      8 최진욱, "탈사회주의 경제이행 국가의 권력구조 유형과 개혁 경로" 통일연구원 2010

      9 "중앙일보"

      10 이정철, "조선로동당 3차 당대표자회 평가: 선군이데올로기의 제도화" 코리아연구원 (31) : 2010

      1 이영종, "후계자 김정은" (주)늘품플러스 2010

      2 이관세, "현지지도를 통해 본 김정일의 리더십" 전략과 문화 2009

      3 서대숙, "현대 북한의 지도자: 김일성과 김정일" 을유문화사 2000

      4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한반도 정세: 2010년 평가와 2011년 전망"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10

      5 "한겨레 21"

      6 "한겨레"

      7 "통일신문"

      8 최진욱, "탈사회주의 경제이행 국가의 권력구조 유형과 개혁 경로" 통일연구원 2010

      9 "중앙일보"

      10 이정철, "조선로동당 3차 당대표자회 평가: 선군이데올로기의 제도화" 코리아연구원 (31) : 2010

      11 이기동, "전략적 선택론의 관점에서 본 북한의 권력구조 변화" 북한연구학회 13 (13): 123-144, 2009

      12 "위인 김정일" 외국문출판사 2012

      13 김봉호, "위대한 선군시대" 평양출판사 2004

      14 김경철,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의 혁명투쟁력사는 선군혁명령도의 력사"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54 (54): 2008

      15 강충희, "영원히 인민과 함께" 평양출판사 2007

      16 "선군태양 김정일장군 4" 평양출판사 2007

      17 "선군태양 김정일장군 3" 평양출판사 2006

      18 "선군태양 김정일장군 2" 평양출판사 2006

      19 "선군태양 김정일장군 1" 평양출판사 2006

      20 오현철, "선군과 민족의 운명" 평양출판사 2007

      21 이종석, "새로쓴 현대북한의 이해" 역사비평사 2000

      22 이우정, "북한체제엘리트의 이동양태 및 갈등분석" 동국대학교 안보연구소 1981

      23 김창희, "북한정치와 김정은" 법문사 2012

      24 박후건, "북한의 후계체제와 김정일 정권 이후 북한의 정치체제 전망" 북한대학원대학교 13 (13): 83-119, 2010

      25 후지모토 겐지, "북한의 후계자 왜 김정은인가?" 맥스 2010

      26 정순원, "북한의 후계구도와 북한법의 변화" 북한연구학회 13 (13): 253-277, 2009

      27 조대엽, "북한의 체제위기와 사회갈등" 통일연구원 2010

      28 박영자, "북한의 집권엘리트(Centralized Power Elites)와 Post 김정일시대" 통일연구원 18 (18): 33-66, 2009

      29 전현준, "북한의 제3차 당대표자대회 개최 의미와 전망: 김정은 후계체제 안정적 구축을 위한 포석"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2010

      30 정영철, "북한의 ‘후계자’론과 현실: 이론의 형해화와 현실의 계승" 북한연구학회 13 (13): 279-299, 2009

      31 변영욱, "북한은 김정은을 어떻게 외부에 보여주고 있는가?: 김정은의 사진 배급 방식 분석" 북한연구소 2011

      32 연합뉴스, "북한용어 400선집" 연합뉴스 1999

      33 김연철, "북한, 어디로 가는가?" 플래닛미디어 2009

      34 이승열, "북한 후계체제 구축의 ‘세 가지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 - 경로의존성을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 14 (14): 153-186, 2010

      35 이교덕, "북한 후계자론" 통일연구원 2003

      36 김창희, "북한 정치사회의 이해(제4판)" 법문사 2006

      37 김연수, "북한 내부 및 대남정책 평가: ‘후계계승의 정치와 정통성 문제’를 중심으로" 2010

      38 정성장, "북한 김정은의 실제 영향력, 지도체제의 성격과 핵심 파워 엘리트" 제주평화연구원 (2012-02) : 2012

      39 안성호, "북한 김정은 체제와 북한 민주화전망" 한국정치학회 2012

      40 백학순, "북한 권력의 역사: 사상·정체성·구조" 한울 2010

      41 오경섭, "북한 권력승계의 특징과 3대 세습체제의 지속가능성" 세종연구소 6 (6): 2010

      42 송정호, "북한 권력승계문제의 쟁점과 전망- 사회주의 사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북한대학원대학교 7 (7): 7-52, 2005

      43 김진하, "북한 권력세습의 안전성 전망" 통일연구원 2010

      44 김인수, "북한 권력 엘리트의 직위변동 구조와 정권의 안정성" 북한연구학회 13 (13): 77-96, 2009

      45 허인혜, "북한 경제개방의 사상적 딜레마" 한국정치학회 45 (45): 201-227, 2011

      46 김근식, "북한 ‘실리 사회주의’의 추진과 좌절:북한변화에의 함의" 북한연구학회 14 (14): 1-21, 2010

      47 이승열, "북한 ‘수령체제’의 변화와 ‘3대 세습’의 구조적 한계" 북한연구학회 13 (13): 109-137, 2009

      48 이종수, "막스 베버의 학문과 사상" 한길사 1983

      49 "로동신문"

      50 박형중, "당대표자회와 과도적 권력체계의 출범" 통일연구원 2010

      51 김현환, "김정일장군 조선민족제일주의론" 평양출판사 2003

      52 김인옥, "김정일장군 선군정치리론" 평양출판사 2003

      53 윤황, "김정일의 선군영도체계 구축에 따른 선군정치의 기능 분석: 『로동신문』의 담론을 중심으로" 한국동북아학회 15 (15): 213-239, 2010

      54 김창희, "김정일의 딜레마" 인물과 사상사 2004

      55 오일환, "김정일시대의 북한정치경제" 을유문화사 1999

      56 이수석, "김정일 후계구도와 북한체제 전망" 국가관리연구원 14 (14): 33-62, 2010

      57 통일연구원, "김정일 현지지도 동향 1994∼2011" 통일연구원 2011

      58 김창희, "김정일 체제의 권력구조 변화와 후계문제" 한국정치정보학회 13 (13): 1-22, 2010

      59 김창희, "김정일 체제와 ‘선군정치’의 함의와 평가"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32 (32): 2008

      60 김갑식, "김정일 정권의 권력구조" 한국학술정보(주) 2005

      61 정성장, "김정일 시대 북한 국방위원회의 위상·역할·엘리트" 세종연구소 6 (6): 2010

      62 김갑식, "김정일 시대 권력엘리트 변화" 서울대학교통일평화연구소 (2) : 2009

      63 정성장, "김정은 후계체계의 공식화와 북한 권력체계 변화" 북한연구학회 14 (14): 159-188, 2010

      64 백승주, "권력이 세습되는 북한"

      65 이우정, "권력승계와 정당성: 사회주의 체제의 정치변동" 도서출판 신양사 1997

      66 한기범, "권력승계 시기 북한의 지배구조와 대내외 정책 전망" 통일연구원 19 (19): 81-106, 2010

      67 이기동, "강성대국론의 허와 실"

      68 Lind, Jennifer, "The Once and Future Kim: Succession and Stasis in North Korea" 89 : 2010

      69 Dae-Sook Suh, "Political Leadership in Korea"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76

      70 Michishita Narushige, "North Korea's Military-Diplomatic Campaigns, 1966-2008" Routledge 2010

      71 The Economist, "Country Report: North Korea" Economist Intelligence Unit 2010

      72 Lankov Andrei, "Changing North Korea: An Information Campaign Can Beat the Regime" 88 (88): 2009

      73 류경원, "3대세습,“후계문제”들에 직면하게 될 조선의 정권" 림진강출판사 (4) : 2009

      74 통일연구원, "2010 북한 기관별 주요 인물정보" 통일연구원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