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Trade Routes Connectivity through Belt and Road Initiative and Its Implications = “벨트 및 로드 이니셔티브”를 통한 무역 루트와 시사점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838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 정부에 의해 추진되고 있는 Belt and Road initiative”는 65개 국가와 세계 인구의 약 63%를 포함하는 거대한 프로젝트로 많은 국가들이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니셔티브를 통해 중국은 세계의 운송로를 연결하고 아시아와 유럽 그리고 아프리카를 연결하는 육상 및 해상 기반의 실크로드를 따라 무역을 확대하고자 한다. 도로, 철로, 파이프라인, 항만, 공항 그리고 내륙 통신의 연결은 유럽은 물론 아시아 국가 간의 인적 교류 및 경제적 거래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일대일로 프로젝트는 상호 교류 및 협력에 근거한 글로벌 경제 및 문화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을 의미한다. 중국은 유류 및 가스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신뢰할만한 운송로와 유류 및 천연가스를 운송하기 위한 다양한 운송로의 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논문은 말라카해협과 수에즈 운하를 경유하여 아시아에서 유럽까지 OBOR의 잠재적 무역 경로를 조사하고자 한다. 이집트는 아시아와 유렵을 연결하는 전략적인 지리적 위치의 이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무역루트를 통해 이집트는 중국의 일대일로 이니셔티브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둘째, 이 논문은 미얀마를 경유하여 중동과 중국을 연결하는 유류 및 가스 수입 무역루트에 대해서도 조사한다. 이러한 무역루트는 중국이 말라카해협을 경유하지 않고 중동 및 아프리카로부터 원유를 수입할 수 있게 해 준다. 추가적으로 이 논문은 크라 운하의 역할과 가능성에 대해서도 언급한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정부에서 추진했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의 협력의 가능성과 한반도에 평화 및 신뢰를 촉진하기 위한 실크로드 익스프레스와 대륙철도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추가적으로 이 연구는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남아시아는 물론 러시아를 경유하면서 중국과 유럽 간에 더 신속한 연계를 지원하는 무역 경로에 대해서도 조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논문은 실증 분석이 미흡하다. 추후 구체적 실증분석이나 설문조사 등을 사용하여 연구의 한계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중국 정부에 의해 추진되고 있는 Belt and Road initiative”는 65개 국가와 세계 인구의 약 63%를 포함하는 거대한 프로젝트로 많은 국가들이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니셔티브를 통해 중...

      중국 정부에 의해 추진되고 있는 Belt and Road initiative”는 65개 국가와 세계 인구의 약 63%를 포함하는 거대한 프로젝트로 많은 국가들이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니셔티브를 통해 중국은 세계의 운송로를 연결하고 아시아와 유럽 그리고 아프리카를 연결하는 육상 및 해상 기반의 실크로드를 따라 무역을 확대하고자 한다. 도로, 철로, 파이프라인, 항만, 공항 그리고 내륙 통신의 연결은 유럽은 물론 아시아 국가 간의 인적 교류 및 경제적 거래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일대일로 프로젝트는 상호 교류 및 협력에 근거한 글로벌 경제 및 문화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을 의미한다. 중국은 유류 및 가스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신뢰할만한 운송로와 유류 및 천연가스를 운송하기 위한 다양한 운송로의 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논문은 말라카해협과 수에즈 운하를 경유하여 아시아에서 유럽까지 OBOR의 잠재적 무역 경로를 조사하고자 한다. 이집트는 아시아와 유렵을 연결하는 전략적인 지리적 위치의 이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무역루트를 통해 이집트는 중국의 일대일로 이니셔티브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둘째, 이 논문은 미얀마를 경유하여 중동과 중국을 연결하는 유류 및 가스 수입 무역루트에 대해서도 조사한다. 이러한 무역루트는 중국이 말라카해협을 경유하지 않고 중동 및 아프리카로부터 원유를 수입할 수 있게 해 준다. 추가적으로 이 논문은 크라 운하의 역할과 가능성에 대해서도 언급한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정부에서 추진했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의 협력의 가능성과 한반도에 평화 및 신뢰를 촉진하기 위한 실크로드 익스프레스와 대륙철도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추가적으로 이 연구는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남아시아는 물론 러시아를 경유하면서 중국과 유럽 간에 더 신속한 연계를 지원하는 무역 경로에 대해서도 조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논문은 실증 분석이 미흡하다. 추후 구체적 실증분석이나 설문조사 등을 사용하여 연구의 한계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용정, "사회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항만경제학 분야 공동연구의 중심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섬)학회 29 (29): 95-110, 2017

      2 "www.suezcanal.gov.eg/English/Pages/default.aspx"

      3 "www.mofa.go.kr"

      4 "www.connaissancedesenergies.org"

      5 Huang, Y, "Understanding China’s Belt & Road Initiative: Motivation, Framework and assessment" 20 (20): 2-13, 2016

      6 Dijk, M. P.V., "The Silk Road and Chinese Interests in Central Asia and the Caucasus: The case of Georgia" Maastricht School 4-5, 2016

      7 Fallon, T., "The New Silk Road: Xi Jinping’s Grand Strategy for Eurasia" 37 (37): 140-147, 2015

      8 모수원, "The Export Structure of Six Counties in Jeonnam" 한국도서(섬)학회 29 (29): 353-371, 2017

      9 Wizarat, T. A., "Reviving Historical Trade Routes: A Case Study of the Silk Road – Gateway to China" 34 and 35 (34 and 35): 18-34, 2015

      10 Wang, Y, "Offensive for Defensive: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and China's New Grand Strategy" 57 : 2-3, 2016

      1 손용정, "사회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항만경제학 분야 공동연구의 중심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섬)학회 29 (29): 95-110, 2017

      2 "www.suezcanal.gov.eg/English/Pages/default.aspx"

      3 "www.mofa.go.kr"

      4 "www.connaissancedesenergies.org"

      5 Huang, Y, "Understanding China’s Belt & Road Initiative: Motivation, Framework and assessment" 20 (20): 2-13, 2016

      6 Dijk, M. P.V., "The Silk Road and Chinese Interests in Central Asia and the Caucasus: The case of Georgia" Maastricht School 4-5, 2016

      7 Fallon, T., "The New Silk Road: Xi Jinping’s Grand Strategy for Eurasia" 37 (37): 140-147, 2015

      8 모수원, "The Export Structure of Six Counties in Jeonnam" 한국도서(섬)학회 29 (29): 353-371, 2017

      9 Wizarat, T. A., "Reviving Historical Trade Routes: A Case Study of the Silk Road – Gateway to China" 34 and 35 (34 and 35): 18-34, 2015

      10 Wang, Y, "Offensive for Defensive: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and China's New Grand Strategy" 57 : 2-3, 2016

      11 Haralambides, HE, "OBOR Networks & Maritime Geopolitics: The Century of Eurasia, HKTDC, Belt & Road" 40 (40): 120-127, 2016

      12 Kevin X. Li, "Korean Connectivity of Container Transportation with OBOR Initiative" 10-11, 2016

      13 Zeng, Q., "Impacts of Carat Canal on the evolution of hub ports along the 21st Century Maritime Silk Road" 2-5, 2016

      14 Xinhua, "China's Belt and Road Initiative Promotes Cconnectivity, Development along Ancient Route"

      15 Christopher Len, "China's 21st Century Maritime Silk Road Initiative, Energy Security and SLOC Access" 11 (11): 1-18, 2015

      16 Swaine, M.D., "China Views and Commentary on the One Belt, One Road Initiative" 47 : 22-23, 2012

      17 Huang, A,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of the One Belt and One Road Initiative" 1-4, 2016

      18 Oh, Sung-Dong,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of Gwang-Yang Port for becoming the Northeast Asian Hub-Port" 18 (18): 25-40,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3 0.57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