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자기 탐색 진로코칭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적용해 봄으로써 초등학생의 진로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 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진로코칭 프로그램은 5단계의 코칭대화 ...
이 연구에서는 자기 탐색 진로코칭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적용해 봄으로써 초등학생의 진로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 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진로코칭 프로그램은 5단계의 코칭대화 프로세스 모형으로 구성되었다.
1단계는 관계 맺기로 코칭에 대한 내용을 안내하고 친밀감을 형성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2단계는 자기 탐색으로 자기 이해를 위해 성격과 흥미, 가치관 등을 파악하고 또래코칭을 활용해 자신의 상황, 환경 등을 점검하면서 또래와의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3단계는 정보탐색으로 미래사회와 미래직업 세계의 변화에 대한 내용을 바탕으로 다양한 예측을 통해 새로운 직업 만들기 등의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4단계는 목표설정 및 실행계획으로 자신의 흥미와 관련된 관심직업을 탐색하고 자신만의 관심직업 카드 북을 만들어 직업에 필요한 능력 등을 고려하여 실행해야 할 우선순위를 정해보고 비전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5단계는 실행 지지로 자신의 계획을 잘 실행할 수 있도록 또래의 지지와 응원을 통해 실천 의지를 다지도록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충남 서산시에 위치한 S 학습센터에서 운영하는 주말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학생 22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1명에게 매주 50분씩 10회기로 진로코칭 프로그램을 운영하였고, 비교집단 11명에게는 진로와 관련되지 않은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진로 인식 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Statistic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유의수준 p<.05에서 t-검증을 하였다. 이와 같은 내용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게 되었다.
첫째, 자기 탐색 진로코칭 프로그램 적용은 초등학생의 진로 인식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진로 인식 효과를 하위척도별로 나누어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평균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진로 인식의 3가지 하위척도인 자기 이해, 직업 세계인식, 진로 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자기 이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얻었다는 것이다. 실험집단의 자기 이해 척도의 하위영역 중 자기 탐색과 의사결정성향 수준은 유의수준에서 향상을 보였으며, 비교집단과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것은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고 잠재적 가치를 발견함으로써 진로코칭에서의 핵심인 자기 이해에 대한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실행계획 세우기 활동은 자신을 이해하고 스스로 진로를 설계하고자 하는 동기부여 및 진로 태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줄 수 있다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자기 탐색 진로코칭 프로그램의 적용이 초등학생 각자의 가치를 발견하고 성장해 가는 것을 돕고, 진로코칭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과정에서의 경험을 통해 앞으로의 진로에 적극적인 태도를 길러, 올바른 선택을 실현하는 행복한 개인으로 만족한 삶을 살 수 있도록 진로교육의 유용한 도구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