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마스크 선택에 따른 직장인의 구취 관련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Bad Breath in Office Workers According to Mask Sele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834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subjective bad breath-related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orts masks printed with natural minerals compared with quarantine masks and cotton masks. The study subjects were divided into 30 people in the Sports Mask Group, 30 people in the KF Mask Group (KMG), and 30 people in the cotton mask group (CMG), and a total of 90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tudy. It was randomly sent to use 1 mask per day and 3 masks for 3 days. The study period was conducted from October 15, 2020 to October 30, 2020.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use of masks between the three groups in terms of bad breath health and dry mouth. However, the sports mask was superior to other masks in oral respiration and bad breath angle. As a result of analyzing psychological factor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3 groups for depression. However, in the stress factor, sports masks were superior to other masks in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valuable as suggesting the direction of use of functional masks, and we hope that the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functional mask research to be studied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subjective bad breath-related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orts masks printed with natural minerals compared with quarantine masks and cotton masks. The study sub...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subjective bad breath-related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orts masks printed with natural minerals compared with quarantine masks and cotton masks. The study subjects were divided into 30 people in the Sports Mask Group, 30 people in the KF Mask Group (KMG), and 30 people in the cotton mask group (CMG), and a total of 90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tudy. It was randomly sent to use 1 mask per day and 3 masks for 3 days. The study period was conducted from October 15, 2020 to October 30, 2020.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use of masks between the three groups in terms of bad breath health and dry mouth. However, the sports mask was superior to other masks in oral respiration and bad breath angle. As a result of analyzing psychological factor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3 groups for depression. However, in the stress factor, sports masks were superior to other masks in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valuable as suggesting the direction of use of functional masks, and we hope that the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functional mask research to be studied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천연광물질로 나염 처리된 스포츠마스크가 방역마스크와 면마스크와 비교하여 주관적인 구취관련특성과 심리적 특성에서 차이가 있는 지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스포츠마스크 군(Sports Mask Group) 30명, 방역마스크 군(KF Mask Group, KMG) 30명과 면 마스크 군(cotton mask group, CMG) 30명으로 나누어 총 90명의 대상자가 연구에 참가하였으며, 하루 1개, 3일 간 3개의 마스크를 사용하게 하였다. 또한 연구 기간은 2020년 10월 15일부터 2020년 10월 30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구취건강과 구강건조 항목에서는 3군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구강호흡과 구취자각도에서는 스포츠 마스크가 다른 마스크에 비하여 우수하게 나타났다. 심리적 요인을 분석한 결과 우울증은 3군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스트레스 요인에서는 스포츠마스크가 다른 마스크보다 스트레스지수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는 기능성 마스크의 활용 방향성을 제시한 것으로써 가치가 있으며, 향후 연구될 기능성 마스크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길 바라는 바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천연광물질로 나염 처리된 스포츠마스크가 방역마스크와 면마스크와 비교하여 주관적인 구취관련특성과 심리적 특성에서 차이가 있는 지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스포츠...

      본 연구는 천연광물질로 나염 처리된 스포츠마스크가 방역마스크와 면마스크와 비교하여 주관적인 구취관련특성과 심리적 특성에서 차이가 있는 지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스포츠마스크 군(Sports Mask Group) 30명, 방역마스크 군(KF Mask Group, KMG) 30명과 면 마스크 군(cotton mask group, CMG) 30명으로 나누어 총 90명의 대상자가 연구에 참가하였으며, 하루 1개, 3일 간 3개의 마스크를 사용하게 하였다. 또한 연구 기간은 2020년 10월 15일부터 2020년 10월 30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구취건강과 구강건조 항목에서는 3군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구강호흡과 구취자각도에서는 스포츠 마스크가 다른 마스크에 비하여 우수하게 나타났다. 심리적 요인을 분석한 결과 우울증은 3군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스트레스 요인에서는 스포츠마스크가 다른 마스크보다 스트레스지수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는 기능성 마스크의 활용 방향성을 제시한 것으로써 가치가 있으며, 향후 연구될 기능성 마스크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길 바라는 바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미숙, "한국성인의주관적구취자각증상에대한연구" 한국치위생과학회 8 (8): 123-129, 2008

      2 채영란,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구강위생관리, 구취, 대인관계 및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19 (19): 229-236, 2019

      3 한상윤, "전기방사 나노섬유 필터를 활용한 미세먼지 마스크의 구조 분석 및 디자인 제안" 한국결정성장학회 27 (27): 191-195, 2017

      4 권준호, "자전거 이용자를 위한 일회용 미세먼지 마스크 디자인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571-577, 2018

      5 한지선, "일부 성인에서 자가 구취 인식도와의 관련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1 (11): 347-356, 2011

      6 이미라, "일부 군인의 구취관련요인에 따른 구취자각도" 보건의료산업학회 7 (7): 125-135, 2013

      7 김종규, "은나노입자에 대한 방진마스크 포집효율 및 총누설율" 한국산업보건학회 26 (26): 367-376, 2016

      8 박희정, "우리나라 청소년의 구취증상 경험과 스트레스 및 심리상태와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264-273, 2016

      9 이정순, "소비자 요구 분석 기반의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 디자인 개발 -어린이 및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43 (43): 579-591, 2019

      10 마린, "사용자 중심 디자인개념에 기초한 보건용 마스크의 구매 경향성에 관한 연구 - 마스크의 형태와 색상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 11 (11): 143-154, 2020

      1 윤미숙, "한국성인의주관적구취자각증상에대한연구" 한국치위생과학회 8 (8): 123-129, 2008

      2 채영란,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구강위생관리, 구취, 대인관계 및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19 (19): 229-236, 2019

      3 한상윤, "전기방사 나노섬유 필터를 활용한 미세먼지 마스크의 구조 분석 및 디자인 제안" 한국결정성장학회 27 (27): 191-195, 2017

      4 권준호, "자전거 이용자를 위한 일회용 미세먼지 마스크 디자인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571-577, 2018

      5 한지선, "일부 성인에서 자가 구취 인식도와의 관련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1 (11): 347-356, 2011

      6 이미라, "일부 군인의 구취관련요인에 따른 구취자각도" 보건의료산업학회 7 (7): 125-135, 2013

      7 김종규, "은나노입자에 대한 방진마스크 포집효율 및 총누설율" 한국산업보건학회 26 (26): 367-376, 2016

      8 박희정, "우리나라 청소년의 구취증상 경험과 스트레스 및 심리상태와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264-273, 2016

      9 이정순, "소비자 요구 분석 기반의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 디자인 개발 -어린이 및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43 (43): 579-591, 2019

      10 마린, "사용자 중심 디자인개념에 기초한 보건용 마스크의 구매 경향성에 관한 연구 - 마스크의 형태와 색상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 11 (11): 143-154, 2020

      11 조은숙, "만성신부전증 환자의 자가 구취인식이 구강건강관련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607-614, 2013

      12 Y. P. Yoon, "⌜Hwangsa-Swine Flu ⌟ What mask will protect me?"

      13 "http://www.7wingssports.co.kr/product/detail.html?product_no=17&cate_no=27&display_group=1"

      14 Park, Hee-Ju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bad breath symptoms in Korean adolescents and their stress and psychological state" 17 (17): 264-273, 2016

      15 J. Tonzetich, "Production and origin of oral malodor: a review of mechanism and methods of analysis" 48 (48): 13-20, 1977

      16 F. Romano, "Patient’Self-Assessment of oral Malodous and Its Relationship with organoleptic Scores and Oral Condition" 8 (8): 41-46, 2010

      17 J. S. Kim, "Fusion Halitosis story" Kyung hee university Pub 18-19, 2006

      18 Y. J. Go, "Effects of Laughter Therapy Program on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Stress Response of Married Migrant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Experimental Study" Chung-Ang University 2014

      19 S. D. Bae, "Composition comprising natural mineral powders for cosmetic, antibacterial or deodoring use, and cosmetics, food packing material, and clothing comprising the same"

      20 Y. G. Kim, "Bad breath:research perspectives" Shinheung international 1-23, 1998

      21 J. H. Kwon,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malodor and periodontal disease" 30 (30): 203-212,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2-06-01 평가 등재학술지 취소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디지털정책연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3-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디지털정책학회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9 1.59 1.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5 1.34 1.61 0.6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