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화상회의 플랫폼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연구 -줌, MS 팀즈를 중심으로- = A study on video conferencing program user experience -Focused on Zoom and MS Tea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834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measures to enhance non-face-to-face communication platform services by measuring the user experience elements of major videoconferencing platforms in the non-face-to-face era. As a method of research, the plat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measures to enhance non-face-to-face communication platform services by measuring the user experience elements of major videoconferencing platforms in the non-face-to-face era. As a method of research, the platform of Zoom and MS Teams was selected,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user experience were evaluated in combination with task and Think Aloud, and seven Honeycomb models of Peter Mobil were reconstructed to be analyzed through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for each paragraph. Studies have shown that Zoom has high usability, usability, accessibility and searchability, and MS Teams have excellent attractiveness.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guidelines for video conferencing platform services and the improvement of the interface were presented. Based on this study, we hope that the usability of videoconferencing will be improved, and that various related studies will proceed as follow-up stud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비대면 시대의 주요 화상회의 플랫폼의 사용자 경험 요소를 측정하여 비대면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서비스를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

      본 연구는 비대면 시대의 주요 화상회의 플랫폼의 사용자 경험 요소를 측정하여 비대면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서비스를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국내에서 사용이 많은 줌과 MS 팀즈의 플랫폼을 선정하고, 사용 경험이 없는 피험자 8명에게 사용자 경험의 영향을 주는 요인을 태스크와 씽크얼라우드를 병행하여 수행 평가를 진행하였고, 피터 모빌의 허니콤 모형 7가지를 재구성하여 각 항문 별 설문조사, 심층 인터뷰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줌은 유용성, 사용성, 접근성, 검색성이 높으며 MS 팀즈는 매력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화상회의 플랫폼 서비스의 가이드라인 제공과 인터페이스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화상회의의 사용성이 개선되고, 다양한 관련 연구가 후속 연구로 진행될 것을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승인, "스마트 원격강의 운영에 관한 연구 –시스코 웹엑스 미팅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317-322, 2020

      2 차승화, "국내 사이버대학 디자인 강의에 있어 화상회의 솔루션 활용 방안 고찰"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6 (26): 459-471, 2020

      3 김소영, "간편 결제 서비스의 세대 간 사용자 경험 평가 - 카카오페이와 페이코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453-459, 2020

      4 H. A. Kim, "Zoom to number 1 mobile collaboration tool usage time" Edaily

      5 H. E. Oh, "Working from home with MS Teams makes it intuitive to use, but the limit of protection" Digital Today

      6 M. G. Shin, "Video conferencing tools become life" DongA

      7 S. I. Seol, "Video conferencing special webex called by COVID-19 exceeds 300 million users" ChosunBiz

      8 W. I. Park, "Video conferencing solution that became a big tech battlefield" ChosunBiz

      9 S. H. Nam, "Telecommuting, video conferencing, and services that are notable?" IT DongA

      10 S. I. Seol, "Opening M&A in the Video Conferencing Market Technology and Service Competitiveness Upgrade" ChosunBiz

      1 김승인, "스마트 원격강의 운영에 관한 연구 –시스코 웹엑스 미팅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317-322, 2020

      2 차승화, "국내 사이버대학 디자인 강의에 있어 화상회의 솔루션 활용 방안 고찰"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6 (26): 459-471, 2020

      3 김소영, "간편 결제 서비스의 세대 간 사용자 경험 평가 - 카카오페이와 페이코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453-459, 2020

      4 H. A. Kim, "Zoom to number 1 mobile collaboration tool usage time" Edaily

      5 H. E. Oh, "Working from home with MS Teams makes it intuitive to use, but the limit of protection" Digital Today

      6 M. G. Shin, "Video conferencing tools become life" DongA

      7 S. I. Seol, "Video conferencing special webex called by COVID-19 exceeds 300 million users" ChosunBiz

      8 W. I. Park, "Video conferencing solution that became a big tech battlefield" ChosunBiz

      9 S. H. Nam, "Telecommuting, video conferencing, and services that are notable?" IT DongA

      10 S. I. Seol, "Opening M&A in the Video Conferencing Market Technology and Service Competitiveness Upgrade" ChosunBiz

      11 N. R. Kim, "Number one mobile collaboration tool is Zoom on the video conference app" Asiatoday

      12 H. J. Jeong, "In the non-face-to-face era, the collaboration tool market grew 6.3 times year-on-year" Seoul Business Daily

      13 G. H. Jeon, "How to efficiently conduct non-face-to-face online video conferencing" ZD NET Korea

      14 H. Lee, "Domestic video conferencing solution is on the rise" ET News

      15 G. Y. Gang, "Cisco Doubles WebX Usage The Key to Uncontact Era Security" Aju Business Daily

      16 H. E. Oh,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video lecture platforms directly compared by college students" Ohmynews

      17 Y. J. Lee, "A Video Conference System using Mobile Devices" Hoseo University 2014

      18 Y. J. Joo, "A Study on the Telelecturing/Conferencing System" 5 (5): 16-29,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2-06-01 평가 등재학술지 취소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디지털정책연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3-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디지털정책학회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9 1.59 1.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5 1.34 1.61 0.6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