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금세탁범죄에 관계된 범죄수익 등의 몰수・추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isciplinary forfeiture and additional collection on criminal proceeds that related to money laundering crim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f the various motives that criminals commit grave crimes, the most important is by far “money.” Money laundering, which involves hiding money earned from crime and making profits, is a decisive factor that causes criminals to fall into the swamp of crime again.
      Korea is striving in many ways to eradicate money laundering, including joining international organizations, enacting and implementing legislation, but we are still focusing on how much profit criminals have gained from the money laundering, but we have not expanded the scope of interest to how to punish criminals for money laundering to prevent repeat offenses.
      Any criminal proceeds or illegal profits related to money laundering crimes must be stripped, and accomplices involved in such crimes shall also be liable for such acts. Our Supreme Court recognizes ‘Disciplinary collection’ very strictly for several legal collections. However, in the case of recovery of criminal proceeds related to money laundering crimes, For various reasons, the legal nature will be understood as punitive confiscation and collection, and it is necessary to study it more specifically and apply it in practice.
      번역하기

      Of the various motives that criminals commit grave crimes, the most important is by far “money.” Money laundering, which involves hiding money earned from crime and making profits, is a decisive factor that causes criminals to fall into the swamp ...

      Of the various motives that criminals commit grave crimes, the most important is by far “money.” Money laundering, which involves hiding money earned from crime and making profits, is a decisive factor that causes criminals to fall into the swamp of crime again.
      Korea is striving in many ways to eradicate money laundering, including joining international organizations, enacting and implementing legislation, but we are still focusing on how much profit criminals have gained from the money laundering, but we have not expanded the scope of interest to how to punish criminals for money laundering to prevent repeat offenses.
      Any criminal proceeds or illegal profits related to money laundering crimes must be stripped, and accomplices involved in such crimes shall also be liable for such acts. Our Supreme Court recognizes ‘Disciplinary collection’ very strictly for several legal collections. However, in the case of recovery of criminal proceeds related to money laundering crimes, For various reasons, the legal nature will be understood as punitive confiscation and collection, and it is necessary to study it more specifically and apply it in practi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범죄자들이 중대한 범죄를 저지르는 다양한 동기 중, 가장 중요한 것이 단연 ‘돈’이다. 범죄로 벌어들인 돈을 숨겨 이익을 남기도록 하는 자금세탁행위는 범죄자들이 또다시 범죄의 늪에 빠져들게 하는 결정적인 유인이 된다.
      우리나라는 자금세탁행위의 근절을 위해 국제기구가입, 이행입법 제정・시행 등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으나, 우리는 여전히 자금세탁의 전제범죄로 범죄자가 얼마만큼의 이익을 얻었는지에 집중하고 있을 뿐, 범죄자의 자금세탁행위를 어떻게 징벌하여 재범을 방지할 것인지까지 그 관심의 영역을 넓히지 못하고 있다.
      자금세탁범죄에 관계된 범죄수익 또는 불법수익은 반드시 박탈하여야 하고, 그와 같은 범행에 가담하는 공범들 또한 그와 같은 행위에 책임을 부담해야 마땅하다. 우리 판례는 몇 가지의 법률상 추징에 한해 매우 엄격하게 ‘징벌적 추징’을 인정하고 있다. 그런데, 자금세탁범죄에 관계된 범죄수익 환수의 경우, 관련 법률의 입법목적과 제정취지와 법률 규정의 형식, 논리적으로 범행으로 인한 이익의 취득이 전제되지 않는 자금세탁범행의 특징 및 자금세탁범죄가 보호하고자 하는 보호법익의 측면에서 그 법적 성격을 징벌적 몰수・추징으로 이해함이 상당하다 할 것이고,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연구하여 실무적으로 적용시킬 필요가 있다 하겠다.
      번역하기

      범죄자들이 중대한 범죄를 저지르는 다양한 동기 중, 가장 중요한 것이 단연 ‘돈’이다. 범죄로 벌어들인 돈을 숨겨 이익을 남기도록 하는 자금세탁행위는 범죄자들이 또다시 범죄의 늪에 ...

      범죄자들이 중대한 범죄를 저지르는 다양한 동기 중, 가장 중요한 것이 단연 ‘돈’이다. 범죄로 벌어들인 돈을 숨겨 이익을 남기도록 하는 자금세탁행위는 범죄자들이 또다시 범죄의 늪에 빠져들게 하는 결정적인 유인이 된다.
      우리나라는 자금세탁행위의 근절을 위해 국제기구가입, 이행입법 제정・시행 등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으나, 우리는 여전히 자금세탁의 전제범죄로 범죄자가 얼마만큼의 이익을 얻었는지에 집중하고 있을 뿐, 범죄자의 자금세탁행위를 어떻게 징벌하여 재범을 방지할 것인지까지 그 관심의 영역을 넓히지 못하고 있다.
      자금세탁범죄에 관계된 범죄수익 또는 불법수익은 반드시 박탈하여야 하고, 그와 같은 범행에 가담하는 공범들 또한 그와 같은 행위에 책임을 부담해야 마땅하다. 우리 판례는 몇 가지의 법률상 추징에 한해 매우 엄격하게 ‘징벌적 추징’을 인정하고 있다. 그런데, 자금세탁범죄에 관계된 범죄수익 환수의 경우, 관련 법률의 입법목적과 제정취지와 법률 규정의 형식, 논리적으로 범행으로 인한 이익의 취득이 전제되지 않는 자금세탁범행의 특징 및 자금세탁범죄가 보호하고자 하는 보호법익의 측면에서 그 법적 성격을 징벌적 몰수・추징으로 이해함이 상당하다 할 것이고,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연구하여 실무적으로 적용시킬 필요가 있다 하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승현, "특별법상 추징의 법적 성격" 한국형사판례연구회 18 : 640-675, 2010

      2 강석구, "추징금 집행제도 운영 및 개선방안 연구" 대검찰청 2016

      3 홍찬기, "징벌적 추징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법학연구소 37 (37): 701-734, 2013

      4 김대휘, "징벌적 추징에 대하여" 8 : 2000

      5 법무부, "자금세탁범죄 해설과 판례"

      6 장일석, "자금세탁방지제도의 이해" 박영사 2011

      7 함정호, "우리나라의 자금세탁 방지제도와 정책과제 - 금융기관의 역할 강화 방안을 중심으로" 한국부패학회 17 (17): 113-145, 2012

      8 서울중앙지방검찰청 범죄수익환수부, "범죄수익환수 실무연구" 2019

      9 법무부, "범죄수익은닉의규제및처벌등에관한법률해설"

      10 홍찬기, "범죄수익 몰수·추징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형사법학회 26 (26): 193-229, 2014

      1 이승현, "특별법상 추징의 법적 성격" 한국형사판례연구회 18 : 640-675, 2010

      2 강석구, "추징금 집행제도 운영 및 개선방안 연구" 대검찰청 2016

      3 홍찬기, "징벌적 추징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법학연구소 37 (37): 701-734, 2013

      4 김대휘, "징벌적 추징에 대하여" 8 : 2000

      5 법무부, "자금세탁범죄 해설과 판례"

      6 장일석, "자금세탁방지제도의 이해" 박영사 2011

      7 함정호, "우리나라의 자금세탁 방지제도와 정책과제 - 금융기관의 역할 강화 방안을 중심으로" 한국부패학회 17 (17): 113-145, 2012

      8 서울중앙지방검찰청 범죄수익환수부, "범죄수익환수 실무연구" 2019

      9 법무부, "범죄수익은닉의규제및처벌등에관한법률해설"

      10 홍찬기, "범죄수익 몰수·추징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형사법학회 26 (26): 193-229, 2014

      11 신영호, "몰수의 법적 성격에 대하여-징벌적 몰수・추징의 개념사용을 보며"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41 (41): 2000

      12 서보학, "공범 간에 취득한 이익이 다른 경우의 추징방법" 형사판례연구회 8 : 2000

      13 김정환, "공무원범죄몰수법의 운영현황과 개선방향"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 (20): 27-56,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Contemporary Review of Criminal Law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1 1.41 1.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0.96 1.314 0.5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