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 발효 숙성기간을 연장하고 신선도를 오랫동안 유지 할 수 있는 김치발효 starter의 개발을 목적으로 최적숙성기에 있는 김치로부터 bacteriocin생성능이 없는 유산균을 분리하여 동정하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30060652
1997
Korean
475.000
학술저널
163-170(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김치 발효 숙성기간을 연장하고 신선도를 오랫동안 유지 할 수 있는 김치발효 starter의 개발을 목적으로 최적숙성기에 있는 김치로부터 bacteriocin생성능이 없는 유산균을 분리하여 동정하였...
김치 발효 숙성기간을 연장하고 신선도를 오랫동안 유지 할 수 있는 김치발효 starter의 개발을 목적으로 최적숙성기에 있는 김치로부터 bacteriocin생성능이 없는 유산균을 분리하여 동정하였으며,
bacteriocin생성능이 우수한 L.acidophilus 88을 융합시키기 위해 electrofusion에 대한 최적 조건을 검토하였다. 분리균주는 Lactobacillus속으로 동정되어 Lactobacillus sp. JC-7이라 명명하였다. Electrofusion에 의해 생성된 융합주를 식별하기 위해 streptomycin(2.5㎎/ml)에 내성을 나타내는 Lactobacillus sp. JC-7변이주와 kanamycin(600㎍/ml)에 내성을 나타내는 L.acidophilus 88변이주를 분리하였다. Electrofusion을 100V/㎝, 120msec(72ohms,1670 capacitance) 에서 수행했을 때 융합효율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전기장의 세기와 시간이 중가할수록 융합 효율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2가 양이온은 농도가 중가할수록 대체적으로 융합효율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1mM MGCl_2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융합효율이 약간 증가하였다. PEG매개에 의한 융합법의 융합효율을 비교한 결과, 융합효율은 chemical fusion<electrofusion<electrofusion+20% PEG순을 나타내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valuation of Optimum Conditions for the Electrofusion between Lactobacillus sp. JC-7 Isolated from Kimchi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 88. Young-Bae Jo, Hyun-Jung Choi, Hyung-Suk Baik and Hong-Ki Jun*. Department of Microbiology, Pusan National Univ...
Evaluation of Optimum Conditions for the Electrofusion between Lactobacillus sp. JC-7 Isolated from Kimchi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 88. Young-Bae Jo, Hyun-Jung Choi, Hyung-Suk Baik and Hong-Ki Jun*. Department of Microbi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609-735,Korea-A lactic acid bacterium was isolated from kimchi. The isolated strain was identified as the genus Lactobacillus thrugh i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named as Lactobacillus sp. JC-7.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electrofusion between streptomycin(2.5㎎/ml)resistant mutant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88 and kanamycin(600㎍/ml) resistant mutant Lactobacillus sp. JC-7 were evaluated. The highest number of fusants were obtained at a capacitance value of 120msec(1670㎌), a field strength of 100V/㎝,and a pulse controller setting of 72Ω. The potimum pH of elecroporation buffer was 7.5 and the concentration of divalent cation was 1mM MG^2+. Electrofusants were efficiently obtained by addition 20% polyethylene glycol to electroporation buffer. The yield of fusion was better than that of using polyethylene glycol mediated chemical induction.
Growth and Differentation of Rat Mammary Epithelial Cells Cultured in Serum-free Medium
간암세포에서 저산소증에 의해 유도되는 VEGF의 발현기작에 대한 연구
Induction of Apoptosis by Bile Acids in HepG2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