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병주 소설의 문학법리학적 연구 = A Literary Jurisprudential Study on the Fictions of Lee Byeong-Jo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194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법과 문학>의 전망 하에서 이병주의 문학을 검토한 것이다. 학제적 연구방법으로서의 <법과 문학>은 현재 문학 쪽에서 문학법리학이라는 이름으로 부상하고 있어 이 제목을 취했다. 작가 이병주는 등단작 「소설ㆍ알렉산 드리아」(1965)에서부터 개인적 복수의 정당성의 문제와 소급법의 문제, 그리고 사형제도의 비인간성 등을 고발한 작가로, 이후 일련의 작품을 통해 법적 정의에 의문을 제기하고, 법의 존재를 둘러싼 다양한 물음을 제기한 작가다.
      이병주는 초기소설에서 의사-법률이야기 혹은 대항적 법률이야기(counter-legal story)를 집중적으로 창작하는데, 그 핵심은 법이 그 자체로 일관되고 완전한 연역적 체계이지만 더 근본적으로는 어떤 사회를 유지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사회적 허구(fiction)의 일종이며, 그런 만큼 법리 자체에 대한 회의가 있을 수 있고 또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는 것이다. 법이 한 사회의 제도적 허구의 일환이라는 점, 그리고 그런 만큼 대항적 허구에 의해 스스로를 갱신하지 않는 한 그 법은 맹목일 수밖에 없으며, 그런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은 근본적으로 부조리 한 것이 될 수밖에 없다는 인식을 이병주는 초기 소설에서 집요하게 거론하고 있다.
      이병주는 이처럼 현실적으로 구속력을 갖는 법리 자체에 대한 끝없는 반성을 자신의 소설을 통해 촉구한 것인데, 이 점에서 그는 법적 허구와 맞서는 문학적 허구의 본질적으로 대항적인 성격을 인식한 거의 최초의 작가로서, 우리문학에 대한 문학법리학적 고찰에 가장 적절한 작가라 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법과 문학>의 전망 하에서 이병주의 문학을 검토한 것이다. 학제적 연구방법으로서의 <법과 문학>은 현재 문학 쪽에서 문학법리학이라는 이름으로 부상하고 있어 이 제...

      이 논문은 <법과 문학>의 전망 하에서 이병주의 문학을 검토한 것이다. 학제적 연구방법으로서의 <법과 문학>은 현재 문학 쪽에서 문학법리학이라는 이름으로 부상하고 있어 이 제목을 취했다. 작가 이병주는 등단작 「소설ㆍ알렉산 드리아」(1965)에서부터 개인적 복수의 정당성의 문제와 소급법의 문제, 그리고 사형제도의 비인간성 등을 고발한 작가로, 이후 일련의 작품을 통해 법적 정의에 의문을 제기하고, 법의 존재를 둘러싼 다양한 물음을 제기한 작가다.
      이병주는 초기소설에서 의사-법률이야기 혹은 대항적 법률이야기(counter-legal story)를 집중적으로 창작하는데, 그 핵심은 법이 그 자체로 일관되고 완전한 연역적 체계이지만 더 근본적으로는 어떤 사회를 유지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사회적 허구(fiction)의 일종이며, 그런 만큼 법리 자체에 대한 회의가 있을 수 있고 또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는 것이다. 법이 한 사회의 제도적 허구의 일환이라는 점, 그리고 그런 만큼 대항적 허구에 의해 스스로를 갱신하지 않는 한 그 법은 맹목일 수밖에 없으며, 그런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은 근본적으로 부조리 한 것이 될 수밖에 없다는 인식을 이병주는 초기 소설에서 집요하게 거론하고 있다.
      이병주는 이처럼 현실적으로 구속력을 갖는 법리 자체에 대한 끝없는 반성을 자신의 소설을 통해 촉구한 것인데, 이 점에서 그는 법적 허구와 맞서는 문학적 허구의 본질적으로 대항적인 성격을 인식한 거의 최초의 작가로서, 우리문학에 대한 문학법리학적 고찰에 가장 적절한 작가라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reatise is an exemplary study on the fictions of Lee Beong-Joo in the perspective of the Law and Literature. As an interdisciplinary study, ‘law and literature’ is nowadays accepted as a meaningful approach to literature. Literary Jurisprudence is another term of ‘law and literature’ approach in terms of perspective of “public imagination” which is given by M. Nussbaum.
      In the perspective of literary jurisprudence, novel is accepted as a public genre which come into question of the legal system of society. Lee Beong-Joo is a pioneer writer who raised the problem of the nature of law through his fiction writing in modern Korean literature. Many of his fictions shows literary fiction is a counter-discourse to legal discourse in a society, and his fictions can be estimated as counter-legal story against the stubborn legal discourse of Korea.
      Lee Beong-Joo often creates a writer as a character and contrasts him against a lawyer character, and emphasize the constant renewal of law through their dialogues and many sorts of legal stories. Death penalty and retroactive law is representative laws he had disputed through his works of fiction. His initiative works of this theme can be the first and relevant literary properties of literary jurisprudence of modern Korean literature.
      번역하기

      This treatise is an exemplary study on the fictions of Lee Beong-Joo in the perspective of the Law and Literature. As an interdisciplinary study, ‘law and literature’ is nowadays accepted as a meaningful approach to literature. Literary Jurisprude...

      This treatise is an exemplary study on the fictions of Lee Beong-Joo in the perspective of the Law and Literature. As an interdisciplinary study, ‘law and literature’ is nowadays accepted as a meaningful approach to literature. Literary Jurisprudence is another term of ‘law and literature’ approach in terms of perspective of “public imagination” which is given by M. Nussbaum.
      In the perspective of literary jurisprudence, novel is accepted as a public genre which come into question of the legal system of society. Lee Beong-Joo is a pioneer writer who raised the problem of the nature of law through his fiction writing in modern Korean literature. Many of his fictions shows literary fiction is a counter-discourse to legal discourse in a society, and his fictions can be estimated as counter-legal story against the stubborn legal discourse of Korea.
      Lee Beong-Joo often creates a writer as a character and contrasts him against a lawyer character, and emphasize the constant renewal of law through their dialogues and many sorts of legal stories. Death penalty and retroactive law is representative laws he had disputed through his works of fiction. His initiative works of this theme can be the first and relevant literary properties of literary jurisprudence of modern Korean litera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대항적 법률이야기의 창조
      • 3. 법적 정의에 대한 문제제기
      • 4. 결론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대항적 법률이야기의 창조
      • 3. 법적 정의에 대한 문제제기
      • 4. 결론
      • 〈참고문헌〉
      • 영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광호, "李炳注 小說에 나타난 테러리즘의 問題"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1 (41): 233-249, 2013

      2 김경수, "현대소설의 유형" 솔출판사 1997

      3 김경수, "현대사회와 인문학적 상상력" 서강대출판부 2007

      4 이재선, "현대 한국소설사 1945-1990" 민음사 1991

      5 김윤식, "한일학병세대의 빛과 어둠" 문학사상사 2012

      6 이병주, "조국의 부재" 새벽 1960

      7 노현주, "정치 부재의 시대와 정치적 개인 - 이병주 단편소설에 나타난 정치서사의 양상" 현대문학이론학회 49 : 73-110, 2012

      8 김윤식, "일제말기 한국인 학병세대의 체험적 글쓰기론" 서울대출판부 2007

      9 이병주, "이병주전집" 한길사 2006

      10 안경환, "이병주의 상해" 문예운동사 71 : 2011

      1 이광호, "李炳注 小說에 나타난 테러리즘의 問題"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1 (41): 233-249, 2013

      2 김경수, "현대소설의 유형" 솔출판사 1997

      3 김경수, "현대사회와 인문학적 상상력" 서강대출판부 2007

      4 이재선, "현대 한국소설사 1945-1990" 민음사 1991

      5 김윤식, "한일학병세대의 빛과 어둠" 문학사상사 2012

      6 이병주, "조국의 부재" 새벽 1960

      7 노현주, "정치 부재의 시대와 정치적 개인 - 이병주 단편소설에 나타난 정치서사의 양상" 현대문학이론학회 49 : 73-110, 2012

      8 김윤식, "일제말기 한국인 학병세대의 체험적 글쓰기론" 서울대출판부 2007

      9 이병주, "이병주전집" 한길사 2006

      10 안경환, "이병주의 상해" 문예운동사 71 : 2011

      11 이호규, "이병주 초기 소설의 자유주의적 성격 연구 -작가의식과 작중 인물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학회 (45) : 439-473, 2011

      12 김항, "예외상태" 새물결출판사 2009

      13 이보영, "역사적 상황과 윤리-이병주론(상)" 1977

      14 배종대, "사회안전법 및 보안관찰법에 관한 비판적 고찰" 1 (1): 1989

      15 이병주, "법과 알레르기" 신동아 1967

      16 이병주, "백지의 유혹" 남강출판사 1973

      17 황호덕, "끝나지 않는 전쟁의 산하, 끝낼 수 없는 겹쳐 읽기-식민지에서 분단까지, 이병주의 독서편력과 글쓰기"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10 : 9-62, 2011

      18 유종호, "作壇時感-이병주 작 <알렉산드리아>"

      19 Jerome Bruner, "Making Stories, - Law, Literature, Life" Harvard U.P 2005

      20 김경민, "60년대 文學의 對抗的 人權談論 형성 -「소설․알렉산드리아」와 「인간단지」를 중심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0 (40): 273-294, 2012

      21 김한주, "1989년도 인권보고서" 대한변호사협회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The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91 1.388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