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개정 초등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6개의 역량 중 음악적 창의․융합 사고 역량은 음악 분야의 전문 지식과 소양을 토대로 새롭고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산출해 내고, 자신이 학습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045399
곽현규 (춘천교육대학교)
2017
Korean
music making ; Golden section ; Fibonacci sequence ; 음악 만들기 ; 피보나치수열 ; 황금분할
KCI등재
학술저널
151-166(16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015 개정 초등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6개의 역량 중 음악적 창의․융합 사고 역량은 음악 분야의 전문 지식과 소양을 토대로 새롭고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산출해 내고, 자신이 학습하...
2015 개정 초등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6개의 역량 중 음악적 창의․융합 사고 역량은 음악 분야의 전문 지식과 소양을 토대로 새롭고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산출해 내고, 자신이 학습하거나 경험한 음악 정보들을 다양한 현상에 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말한다. 이러한 역량을 키워주기 위해서는 새로운 교수ㆍ학습 방법뿐만 아니라 수업자료가 개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 음악과 ‘표현’ 영역 중 음악 만들기 활동에 적용하기 위해 황금분할과 피보나치수열을 활용한 수업자료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에서는 음악과 수학의 관련성을 살펴보았으며 황금분할과 피보나치수열을 활용한 음악의 예를 제시하였다. 수학적 개념을 적용한 음악 만들기 수업자료 개발은 음악학습에 흥미와 자신감을 잃은 학생들이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돕고, 음악 만들기 수업 활동을 지도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교사들에게는 조금이나마 해법의 대안이 되길 바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mong 6 capabilities suggested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music curriculum, musical creativityㆍconvergence thinking capability means the capability to make new and creative idea based on specialized knowledge and refinement in music field...
Among 6 capabilities suggested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music curriculum, musical creativityㆍconvergence thinking capability means the capability to make new and creative idea based on specialized knowledge and refinement in music field and to utilize musical information learnt or experienced by oneself in a convergent manner on various phenomena. It is required to develop not only new teachingㆍlearning method but also teaching materials in order to foster such capability.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teaching materials using Fibonacci sequence in order to apply to “music making activities“ in the 'expression' field of the elementary school music curriculum. For this, investigation of relationships between music and mathematics was conducted from the aspect of theoretical background and examples of music were suggested using Golden section and Fibonacci sequence. It is expected that development of music making activities teaching materials to which mathematical conception was applied will be helpful for students without interest and confidence in music study to easily approach the study and also will be a small alternative to teachers who feel burden of guiding music making activities.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오성, "한국음악미의 수리적 조화의 원칙" 한국미학예술학회 17 : 75-92, 2003
2 박지현,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한 음악 만들기 활동 수업 모형 개발" 한국음악교육학회 45 (45): 149-168, 2016
3 박지현, "초등학생의 음악 창작활동 과정 및 지도방안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20 (20): 5-18, 2011
4 최미영, "초등학교 음악수업에서음악과 언어 영역과의 통합적 접근의 탐색" 한국음악교육공학회 (10) : 41-56, 2010
5 이진희, "청소년의 대중가요 선호 현상 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윤리학회 1 (1): 21-46, 2007
6 박재성, "음악에 있어서의 수학적 시흥, 음악논단" 10 : 287-302, 1996
7 석문주, "음악교육의 이해와 실천" 교육과학사 2006
8 이인원, "음악과 수학 통합 활동이유아의 음악능력과 수학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305-329, 2006
9 이상미, "음악과 수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과 수학적 태도 및 음악적 흥미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117-139, 2011
10 김미영, "음악과 수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 및 음악적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393-413, 2009
1 권오성, "한국음악미의 수리적 조화의 원칙" 한국미학예술학회 17 : 75-92, 2003
2 박지현,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한 음악 만들기 활동 수업 모형 개발" 한국음악교육학회 45 (45): 149-168, 2016
3 박지현, "초등학생의 음악 창작활동 과정 및 지도방안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20 (20): 5-18, 2011
4 최미영, "초등학교 음악수업에서음악과 언어 영역과의 통합적 접근의 탐색" 한국음악교육공학회 (10) : 41-56, 2010
5 이진희, "청소년의 대중가요 선호 현상 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윤리학회 1 (1): 21-46, 2007
6 박재성, "음악에 있어서의 수학적 시흥, 음악논단" 10 : 287-302, 1996
7 석문주, "음악교육의 이해와 실천" 교육과학사 2006
8 이인원, "음악과 수학 통합 활동이유아의 음악능력과 수학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305-329, 2006
9 이상미, "음악과 수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과 수학적 태도 및 음악적 흥미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117-139, 2011
10 김미영, "음악과 수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 및 음악적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393-413, 2009
11 김은정, "유아 수학과 음악의 통합교육을 위한 이론적 고찰"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201-220, 2005
12 승윤희, "에비교사와 현장교사를 위한 초등 음악교육" 학지사 2013
13 김용희, "아츠 프로펠러의 수행평가" 18 : 159-183, 1999
14 박경미, "수학콘서트" 동아시아 2006
15 박인숙, "바르톡 벨라(B?rtok B?la) 생애와 음악 - 음악사적 영향을 중심으로" 동유럽발칸연구소 11 (11): 27-35, 2002
16 홍정수, "두길 서양음악사2" 나남출판 454-456, 2006
17 교육과학기술부,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2] 초등학교 교육과정"
18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 "교육과정 원문 및 해설서"
19 L. Erno, "Bela Bartok : An Analysis of his Music" 재순악보출판사 1978
20 김정길, "20세기 피아노 음악"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8
21 이종구, "20세기 시대정신과 현대음악" 한양대학교 출판부 1999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른 음악과 교수역량 교과목 연구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오페라 체험 수업의 효과 연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8-10-1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Music Educational Technology -> Journal of Music Education Science | ![]() |
2008-10-15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컴퓨터음악교육학회 -> 한국음악교육공학회영문명 : The Korean Computer Music Education Society -> The Korean Society of Music Education Technology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 | 0.7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5 | 0.67 | 0.785 | 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