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장서각전적 및 수집고문서 기초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529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Ⅱ. 연구방법 및 내용

      1. 연구방법
      1) 단계별 추진 전략
      1단계-대상 선정 및 복사 : 각 분야별 정리시안 구성위원회의 검토를 거쳐 대상 자료를 선정하고 복사함.
      2단계-분류 및 기초목록 작성 : 장서각 전적 및 수집 고서자료를 각각 학문분야, 소장처별로 분류하고 기초목록을 작성함.
      3단계-상세목록 및 해제원고 작성 : 기초목록을 바탕으로 상세목록을 작성한 다음, 학문분야별로 재분류하고 이에 대한 해제원고를 작성함.
      4단계-목록집(CD-ROM 포함) 및 해제집 간행 : 각 분야별 목록을 전산화하고 목록집과 학문분야별 해제집을 간행함.
      2) 세부 연구방법
      - 자료 성격에 따라 ① 고문서 목록·색인 ② 수집고문서·고서 해제 ③ 장서각 전적 해제로 구성하며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음.
      ① 고문서 목록·색인
      - 대상선정 및 자료복사 : 정리시안(목록) 구성위원회를 거쳐 대상 자료를 선정하고 복사함.
      - 기초목록 작성 : 소장처별로 고문서에 대한 기초목록을 작성함.
      - 상세목록 작성 : 각 문서의 연대, 발급자, 수급자, 작성자, 발급목적, 지질, 印記, 규격, 서체, 장정형태, 훼손정도, 관련문서, 해당 문서의 연구 및 소개현황 등 문서와 관련된 모든 내용, 서지 사항을 정리함.
      - 목록의 전산화 : 목록은 엑셀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보화함으로써 주제별, 인명별, 내용별, 시기별, 소장처별로 색인 가능하도록 DB를 구축함.
      ② 수집고문서·고서 해제
      - 수집고문서 해제
      ·대상선정 및 자료복사 : 정리시안(해제) 구성위원회를 거쳐 대상 자료를 선정하고 복사함.
      ·기초목록 작성 : 소장처별 고문서를 학문분야에 따라 분류하여 기초목록을 작성함.
      ·분야별 해제 작성 : 사회사, 경제사, 민속사, 행정사, 교육사, 한문학사 분야로 나누어 분야별 해제원고를 작성함. 학술적으로 가치 있는 내용은 원문을 탈초하여 싣고 주석을 병기함.
      - 수집고서 해제
      ·소장처별 ·유형별 해제 작성 : 소장처별로 해제 원고를 작성하여 조선시대 명가의 서책 소장 실태를 파악할 수 있게 함. 소설자료 및 구비자료는 유형별로 분류하여 목록을 작성하고 해제함.
      ·수집고소설 ·구비자료 해제 : 수집고소설은 소장처별로 목록을 작성하고 작품별로 철저한 이본조사를 위주로 하여 해제 원고를 작성함. 구비자료는 유형별로 분류하고 목록화하고 지역, 시기 등에 따른 전형적인 성격을 밝호?
      ③ 장서각 전적 해제
      ·대상선정 및 자료 복사 : 정리시안(해제) 구성위원회를 거쳐 대상 자료를 선정하고 복사함.
      ·분야별 기초목록 작성 : 장서각 고도서를 經史子集으로 분류하고 이를 다시 근대학문 분야로 분류하여 분야별 기초목록을 작성함.
      ·전문분야별 해제 작성 : 경제사자료, 日記類자료, 野史雜史자료, 古蹟類, 天文曆書類, 건축사자료, 회화사자료, 음악자료, 한문학자료, 시가사자료, 文集善本자료 등으로 분류하고 분야별 상세 해제를 작성함.

      2. 연구내용

      ① 고문서 목록·색인
      ·고문서 목록의 워크시트를 작성 : 고문서와 고서분야로 나누어 정리내용에 대한 워크시트를 작성하고 전산화함. 축적된 결과물은 DB를 구축, 목록집 간행과 전자출판(CD롬)을 병행함.
      ·고문서의 목록·색인 : 각 지방의 名家, 書院·鄕校, 寺刹 등지에서 조사·수집한 고전적(수집분량 : 100여 만점) 가운데 매년 약 40,000점(개별·성책고문서, 고서포함)을 목록·색인함

      [고문서 목록·색인 표준화안 : 고문서분야의 경우(試案 요약부분)]
      ·일반정보 : 자료명칭, 소장처, 정리·촬영일자, M.F번호 등
      ·기본정보 : 분류별, 문서명, 年代사항, 發給者·撰者, 受給者, 證人·집필인 등
      ·서지정보 : 규격, 形態사항, 보존상태, 판종, 材質, 署名·도장, 文字사항, 粘連·添附문서 등
      ·내용정보 : 주요인물, 내용요약, 중요부분 목차, 핵심용어, 관련연구 등

      ② 수집고문서·고서 해제
      ·경제사(물가사) 분야 해제 : 기간행된 고문서집성을 바탕으로 경제사관련 置簿記錄類를 통계분석방법을 원용, 전통사회의 物價와 度量衡, 회계장부양식등을 총체적으로 정리·해제함.
      ·향촌사회조직운영 관련자료 해제 : 鄕約·契案·扶助記 등 향촌사회 운영과 상호부조에 관련된 고문서를 유교 이념의 실현이라는 입장에서 체계적으로 정리·해제함.
      ·민속자료 해제 : 민속 관련 고문서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해제함으로써 전통사회의 사실적인 생활상을 재구성하며 나아가 조선시기 민속에 대하여 문헌고증적으로 연구한다.
      ·민원소송관련 자료 해제 : 所志類 고문서와 立案·通文·完文·節目 등 관련문서를 유기적으로 분석하여 향촌사회의 실상과 변화과정, 국가 對民支配方式의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해제함.
      ·향교·서원 등 교육관련 자료 해제 : 향교·서원·書堂 등
      번역하기

      Ⅱ. 연구방법 및 내용 1. 연구방법 1) 단계별 추진 전략 1단계-대상 선정 및 복사 : 각 분야별 정리시안 구성위원회의 검토를 거쳐 대상 자료를 선정하고 복사함. 2단계-분류 및 기초목록 ...

      Ⅱ. 연구방법 및 내용

      1. 연구방법
      1) 단계별 추진 전략
      1단계-대상 선정 및 복사 : 각 분야별 정리시안 구성위원회의 검토를 거쳐 대상 자료를 선정하고 복사함.
      2단계-분류 및 기초목록 작성 : 장서각 전적 및 수집 고서자료를 각각 학문분야, 소장처별로 분류하고 기초목록을 작성함.
      3단계-상세목록 및 해제원고 작성 : 기초목록을 바탕으로 상세목록을 작성한 다음, 학문분야별로 재분류하고 이에 대한 해제원고를 작성함.
      4단계-목록집(CD-ROM 포함) 및 해제집 간행 : 각 분야별 목록을 전산화하고 목록집과 학문분야별 해제집을 간행함.
      2) 세부 연구방법
      - 자료 성격에 따라 ① 고문서 목록·색인 ② 수집고문서·고서 해제 ③ 장서각 전적 해제로 구성하며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음.
      ① 고문서 목록·색인
      - 대상선정 및 자료복사 : 정리시안(목록) 구성위원회를 거쳐 대상 자료를 선정하고 복사함.
      - 기초목록 작성 : 소장처별로 고문서에 대한 기초목록을 작성함.
      - 상세목록 작성 : 각 문서의 연대, 발급자, 수급자, 작성자, 발급목적, 지질, 印記, 규격, 서체, 장정형태, 훼손정도, 관련문서, 해당 문서의 연구 및 소개현황 등 문서와 관련된 모든 내용, 서지 사항을 정리함.
      - 목록의 전산화 : 목록은 엑셀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보화함으로써 주제별, 인명별, 내용별, 시기별, 소장처별로 색인 가능하도록 DB를 구축함.
      ② 수집고문서·고서 해제
      - 수집고문서 해제
      ·대상선정 및 자료복사 : 정리시안(해제) 구성위원회를 거쳐 대상 자료를 선정하고 복사함.
      ·기초목록 작성 : 소장처별 고문서를 학문분야에 따라 분류하여 기초목록을 작성함.
      ·분야별 해제 작성 : 사회사, 경제사, 민속사, 행정사, 교육사, 한문학사 분야로 나누어 분야별 해제원고를 작성함. 학술적으로 가치 있는 내용은 원문을 탈초하여 싣고 주석을 병기함.
      - 수집고서 해제
      ·소장처별 ·유형별 해제 작성 : 소장처별로 해제 원고를 작성하여 조선시대 명가의 서책 소장 실태를 파악할 수 있게 함. 소설자료 및 구비자료는 유형별로 분류하여 목록을 작성하고 해제함.
      ·수집고소설 ·구비자료 해제 : 수집고소설은 소장처별로 목록을 작성하고 작품별로 철저한 이본조사를 위주로 하여 해제 원고를 작성함. 구비자료는 유형별로 분류하고 목록화하고 지역, 시기 등에 따른 전형적인 성격을 밝호?
      ③ 장서각 전적 해제
      ·대상선정 및 자료 복사 : 정리시안(해제) 구성위원회를 거쳐 대상 자료를 선정하고 복사함.
      ·분야별 기초목록 작성 : 장서각 고도서를 經史子集으로 분류하고 이를 다시 근대학문 분야로 분류하여 분야별 기초목록을 작성함.
      ·전문분야별 해제 작성 : 경제사자료, 日記類자료, 野史雜史자료, 古蹟類, 天文曆書類, 건축사자료, 회화사자료, 음악자료, 한문학자료, 시가사자료, 文集善本자료 등으로 분류하고 분야별 상세 해제를 작성함.

      2. 연구내용

      ① 고문서 목록·색인
      ·고문서 목록의 워크시트를 작성 : 고문서와 고서분야로 나누어 정리내용에 대한 워크시트를 작성하고 전산화함. 축적된 결과물은 DB를 구축, 목록집 간행과 전자출판(CD롬)을 병행함.
      ·고문서의 목록·색인 : 각 지방의 名家, 書院·鄕校, 寺刹 등지에서 조사·수집한 고전적(수집분량 : 100여 만점) 가운데 매년 약 40,000점(개별·성책고문서, 고서포함)을 목록·색인함

      [고문서 목록·색인 표준화안 : 고문서분야의 경우(試案 요약부분)]
      ·일반정보 : 자료명칭, 소장처, 정리·촬영일자, M.F번호 등
      ·기본정보 : 분류별, 문서명, 年代사항, 發給者·撰者, 受給者, 證人·집필인 등
      ·서지정보 : 규격, 形態사항, 보존상태, 판종, 材質, 署名·도장, 文字사항, 粘連·添附문서 등
      ·내용정보 : 주요인물, 내용요약, 중요부분 목차, 핵심용어, 관련연구 등

      ② 수집고문서·고서 해제
      ·경제사(물가사) 분야 해제 : 기간행된 고문서집성을 바탕으로 경제사관련 置簿記錄類를 통계분석방법을 원용, 전통사회의 物價와 度量衡, 회계장부양식등을 총체적으로 정리·해제함.
      ·향촌사회조직운영 관련자료 해제 : 鄕約·契案·扶助記 등 향촌사회 운영과 상호부조에 관련된 고문서를 유교 이념의 실현이라는 입장에서 체계적으로 정리·해제함.
      ·민속자료 해제 : 민속 관련 고문서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해제함으로써 전통사회의 사실적인 생활상을 재구성하며 나아가 조선시기 민속에 대하여 문헌고증적으로 연구한다.
      ·민원소송관련 자료 해제 : 所志類 고문서와 立案·通文·完文·節目 등 관련문서를 유기적으로 분석하여 향촌사회의 실상과 변화과정, 국가 對民支配方式의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해제함.
      ·향교·서원 등 교육관련 자료 해제 : 향교·서원·書堂 등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