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남자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및 범죄억제에 대한 인식의 조절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3155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충남·북 지역의 초등학교 4~6학년 남자학생 354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관계에서 범죄억제에 대한 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스마트폰 중독은 보통수준보다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범죄 억제에 대한 인식에서 공식적 억제는 보통수준보다 조금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비공식적 억제는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폭력 가해행동 수준은 7.34로 조사되어 경미한 수준의 성폭력 가해행동을 보여주었지만, 조사대상자들의 1/3은 성폭력 가해행동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폭력 가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조사대상자들의 스마트폰 중독, 범죄억제에서의 비공식적 억제, 가족형태, 스마트폰 사용시간, 범죄억제에서의 공식적 억제, 거주 지역 등의 순서로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폰 중독과 성폭력 가해행동과의 관계에서 범죄억제에 대한 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비공식적 억제요인만이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국 사회에서 증가하고 있는 초등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성폭력 가해행동을 예방하고 방지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전략을 제시하였다. 또한, 스마트폰 중독과 성폭력 가해행동과의 관계에서 인과성이 있다는 것이 규명됨으로써 스마트폰 중독의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는 대안을 수립함에 있어서 미진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나아가, 성폭력 범죄가 연소화 되는 한국 사회에서 올바른 성 문화를 정착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충남·북 지역의 초등학교 4~6학년 남자학생 354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관계에서 범죄억제에 대한 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

      본 연구는 충남·북 지역의 초등학교 4~6학년 남자학생 354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관계에서 범죄억제에 대한 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수에 대한 수준을 살펴본 결과, 스마트폰 중독은 보통수준보다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범죄 억제에 대한 인식에서 공식적 억제는 보통수준보다 조금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비공식적 억제는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폭력 가해행동 수준은 7.34로 조사되어 경미한 수준의 성폭력 가해행동을 보여주었지만, 조사대상자들의 1/3은 성폭력 가해행동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폭력 가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조사대상자들의 스마트폰 중독, 범죄억제에서의 비공식적 억제, 가족형태, 스마트폰 사용시간, 범죄억제에서의 공식적 억제, 거주 지역 등의 순서로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폰 중독과 성폭력 가해행동과의 관계에서 범죄억제에 대한 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비공식적 억제요인만이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국 사회에서 증가하고 있는 초등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성폭력 가해행동을 예방하고 방지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전략을 제시하였다. 또한, 스마트폰 중독과 성폭력 가해행동과의 관계에서 인과성이 있다는 것이 규명됨으로써 스마트폰 중독의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는 대안을 수립함에 있어서 미진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나아가, 성폭력 범죄가 연소화 되는 한국 사회에서 올바른 성 문화를 정착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the effect that smart phone addiction has on male students in fourth to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the Chungnam and Chungbuk province, and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ption of crime deterrence. PASW Statistics 18.0 was used.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major variables showed that smart phone addiction of subjects was higher than average. The official deterrence in the perception of crime deterrence was slightly lower than average, while unofficial deterrence was about average. Moreover,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was surveyed to be 7.34, indicating light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Second, an analysis of the effects that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has showed that the greatest effects came from, in descending order, smart phone addiction, unofficial deterrence in crime deterrence, family type, smart phone usage time, official deterrence of crime deterrence and region of residence. Third, a verification of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ption of crime deterrence in the relation between smart phone addiction and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showed that only unofficial deterrence factors had a moderating effec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esented specific action strategies to prevent smart phone addiction and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at are on the increase in Korean society. Moreover, the causal correlation between smart phone addiction and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was identified and thus the grounds for complementing existing studies were presented. In addi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 basic set of data in establishing a proper sexual culture in Korea where sexual violence crimes are occurring at a younger age.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the effect that smart phone addiction has on male students in fourth to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the Chungnam and Chungbuk province, and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ption of crime deterrence. P...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the effect that smart phone addiction has on male students in fourth to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the Chungnam and Chungbuk province, and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ption of crime deterrence. PASW Statistics 18.0 was used.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major variables showed that smart phone addiction of subjects was higher than average. The official deterrence in the perception of crime deterrence was slightly lower than average, while unofficial deterrence was about average. Moreover,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was surveyed to be 7.34, indicating light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Second, an analysis of the effects that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has showed that the greatest effects came from, in descending order, smart phone addiction, unofficial deterrence in crime deterrence, family type, smart phone usage time, official deterrence of crime deterrence and region of residence. Third, a verification of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ption of crime deterrence in the relation between smart phone addiction and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showed that only unofficial deterrence factors had a moderating effec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esented specific action strategies to prevent smart phone addiction and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at are on the increase in Korean society. Moreover, the causal correlation between smart phone addiction and sexual violence perpetration was identified and thus the grounds for complementing existing studies were presented. In addi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 basic set of data in establishing a proper sexual culture in Korea where sexual violence crimes are occurring at a younger a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기범, "형사처벌의 범죄억제효과에 대한 규범 논리적 고찰" 4 (4): 19-36, 2007

      2 교육부, "학교폭력실태조사" 교육부 2016

      3 교육부, "학교폭력대책 자치위원회 심의현황"

      4 변희숙, "초등학생의 외로움과 스마트폰 중독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23 (23): 303-317, 2014

      5 신성철,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학교생활적응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23 (23): 199-214, 2014

      6 신성철,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학교폭력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내면화된 수치심과 공격성의 이중 매개효과" 22 : 89-108, 2015

      7 손은경, "초등학교 고학년의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재활심리학회 23 (23): 439-457, 2016

      8 하지영,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성폭력에 대한 두려움과 성폭력 예방행동 및 성폭력 피해경험에 관한 연구" 대한아동복지학회 12 (12): 43-65, 2014

      9 김정현,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아버지 양육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7 (27): 111-126, 2015

      10 김재엽,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6 (26): 59-84, 2015

      1 박기범, "형사처벌의 범죄억제효과에 대한 규범 논리적 고찰" 4 (4): 19-36, 2007

      2 교육부, "학교폭력실태조사" 교육부 2016

      3 교육부, "학교폭력대책 자치위원회 심의현황"

      4 변희숙, "초등학생의 외로움과 스마트폰 중독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23 (23): 303-317, 2014

      5 신성철,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학교생활적응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23 (23): 199-214, 2014

      6 신성철,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학교폭력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내면화된 수치심과 공격성의 이중 매개효과" 22 : 89-108, 2015

      7 손은경, "초등학교 고학년의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재활심리학회 23 (23): 439-457, 2016

      8 하지영,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성폭력에 대한 두려움과 성폭력 예방행동 및 성폭력 피해경험에 관한 연구" 대한아동복지학회 12 (12): 43-65, 2014

      9 김정현,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아버지 양육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7 (27): 111-126, 2015

      10 김재엽,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6 (26): 59-84, 2015

      11 신성철,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9 (9): 345-362, 2013

      12 신동업, "청소년의 스마트폰 관련 비행과 범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연구" 한국범죄심리학회 9 (9): 113-137, 2013

      13 김현실, "청소년을 위한 스마트폰 중독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사회과학연구소 32 (32): 259-281, 2016

      14 천예빈,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예방에 관한 연구" 14 (14): 125-139, 2013

      15 김영미, "중학생의 스마트폰 사용과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3 (23): 133-162, 2016

      16 이인혜, "자기애적 과시, 허용적 성태도, 경미한 성폭력 가해 행동 간의 관계: 상태공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21 (21): 153-172, 2016

      17 여성가족부,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이용습관 진단"

      18 황하성, "이용자 속성 및 기능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방송학회 25 (25): 277-313, 2011

      19 문종미, "스마트폰중독 경향성이 초등학생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ADHD성향성의 매개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17 (17): 263-292, 2015

      20 김현진, "스마트폰·인터넷 중독과 우울, 공격성, 사회적 관계, 학교폭력 경험 간의 다중집단 경로 분석" 한국교육학회 54 (54): 77-104, 2016

      21 김유미, "스마트폰 중독이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5 (5): 63-81, 2016

      22 전대성, "스마트폰 중독이 청소년들과 성인들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가족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사회과학연구소 31 (31): 159-181, 2015

      23 한국정보화진흥원,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 개발연구"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24 이훈재, "스마트폰 신종범죄의 유형 및 경찰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학회 11 (11): 319-344, 2012

      25 이정민, "성적 피학대 경험이 성폭력 행동에미치는 영향" 한국보호관찰학회 13 (13): 187-219, 2013

      26 최재희, "성장기폭력 경험과 성태도가 대학생의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분노조절의 조절효과 검증 -" 사회과학연구소 28 (28): 257-275, 2012

      27 김재엽, "성인남성의 음란물 집착, 강간통념 수용과 성폭력 가해의 관계" 사회복지연구소 28 : 65-92, 2011

      28 정진경, "성매매에 대한 태도의 구성요인과 관련변인" 한국여성심리학회 8 (8): 53-75, 2003

      29 한국성폭력상담소, "상담통계 및 상담 동향분석" 한국성폭력상담소 2015

      30 김소정, "사이버 성폭력에 대한 인터넷과 성의 영향"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2 (42): 155-177, 2011

      31 민수홍, "범죄학이론" 나남출판사 2008

      32 김민, "디지털 미디어 시대 청소년 사이버섹스 중독" 인문과학연구소 (29) : 283-326, 2011

      33 정무성, "노인 성상담가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13) : 189-213, 2004

      34 이인정, "노년기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0 (30): 55-84, 2010

      35 김재엽, "남자 청소년의 성충동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9) : 5-28, 2010

      36 전병주, "남성의 성매매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연령군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5 (15): 159-170, 2015

      37 김재엽, "가정폭력 경험이 남자 청소년의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17 : 187-216, 2007

      38 Stone, A. R., "Will the real body please stand up?: Boundary stories about virtual culture" MIT Press 1982

      39 Grasmick, H. G., "Reduction in drunk driving as a response to increased threats of shame, embarrassment and legal sanction" 31 : 41-67, 1993

      40 Paternoster, R., "Perceived risk and social control" 17 : 457-480, 1983

      41 Durkin, K, "Pathological internet communities" 26 : 595-606, 2006

      42 Bian, M, "Linking loneliness, shyness, smartphone addiction symptoms and patterns of smartphone use to social capital" 33 (33): 61-79, 2015

      43 Karen, S. H, "Interdisciplinary Action Supporting Sexual Assault Prevention Efforts in Rural Elementary Schools" 17 : 141-150, 2000

      44 Zimring, F. E, "Deterrence: the legal threat in crime contro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3

      45 McKenna, K., "Demarginalizing the Sexual Self" 38 : 302-314, 2001

      46 Akers, R. L, "Criminological Theories: Introduction, evaluation and application" Roxbury 2003

      47 Akers, R. L., "Criminological Theor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48 Harwood, J., "Constantly connected: The effects of smart-devices on mental health" 34 : 267-272, 2014

      49 Paternoster, R., "Assessments of risk and behavioral experience" 23 : 417-436,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2 1.32 1.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2 1.52 2.001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