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스마트폰 중독예방 인문 치료 프로그램의 설문 문항 분석 및 대안 문항 제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531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17년 1월 강원대학교 인문상담센터는 강원랜드산하 추추파크에서 초중등생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예방을 위한 인문예술치유 프로그램을 시행했다. 1박 2일의 단기간 프로그램의 진행 후 프로그램을 재정적으로 후원한 강원랜드 측으로부터 프로그램 참여자에게 ‘만족도 조사’ 형태의 설문을 할 것을 요청받아 사후 만족도를 조사한 바 있다. 하지만 만족도 조사는 참여 청소년들이 과연 얼마만큼의 치유적 효과를 경험했는지 측정하는 일과는 거리가 먼 것이었다. 문제는 이러한 점을 인식하면서도 현실적으로는 만족도 조사 형태 말고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해볼 방법을 찾을 수 없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현실적 문제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우리는 이 논문에서 향후 진행될 같은 형태의 프로그램에서 만족도 조사와 더불어 치료 효과의 정도도 파악할 수 있는 내용을 삽입한 설문의 가능성을 타진했다. 설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먼저 프로그램에 적용된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인문 치료 및 예술 치료적 관점’을 그 중심에 놓았다. 인문 치료적 관점이란 ‘비판적 사고’의 개입 여부에 따라 스마트폰 중독에 노출될 위험성이 결정된다는 가설이다. 예술 치료적 관점이란 감수성을 자극하는 감동 및 몰입의 경험이 스마트폰 중독에 빠져드는 것을 완화하거나 막을 수 있는 정서적 면역력을 높여준다는 가설이다. 이러한 가설에 따라 인문예술치유 프로그램은 비판적 사고 능력을 높이고 예술적 감동과 몰입을 경험하는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구성되었고 설문은 이러한 목표의 달성도를 점검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이 논문은 가설에 따른 프로그램의 구성과 그 가설을 바탕으로 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추정하기 위한 설문 문항을 제시하는 것에서 만족하고 있다. 가설에 따른 효과의 지속성을 추정하기 위해 개인별 추적조사가 요구된다.
      번역하기

      2017년 1월 강원대학교 인문상담센터는 강원랜드산하 추추파크에서 초중등생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예방을 위한 인문예술치유 프로그램을 시행했다. 1박 2일의 단기간 프로그램의 진행...

      2017년 1월 강원대학교 인문상담센터는 강원랜드산하 추추파크에서 초중등생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예방을 위한 인문예술치유 프로그램을 시행했다. 1박 2일의 단기간 프로그램의 진행 후 프로그램을 재정적으로 후원한 강원랜드 측으로부터 프로그램 참여자에게 ‘만족도 조사’ 형태의 설문을 할 것을 요청받아 사후 만족도를 조사한 바 있다. 하지만 만족도 조사는 참여 청소년들이 과연 얼마만큼의 치유적 효과를 경험했는지 측정하는 일과는 거리가 먼 것이었다. 문제는 이러한 점을 인식하면서도 현실적으로는 만족도 조사 형태 말고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해볼 방법을 찾을 수 없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현실적 문제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우리는 이 논문에서 향후 진행될 같은 형태의 프로그램에서 만족도 조사와 더불어 치료 효과의 정도도 파악할 수 있는 내용을 삽입한 설문의 가능성을 타진했다. 설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먼저 프로그램에 적용된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인문 치료 및 예술 치료적 관점’을 그 중심에 놓았다. 인문 치료적 관점이란 ‘비판적 사고’의 개입 여부에 따라 스마트폰 중독에 노출될 위험성이 결정된다는 가설이다. 예술 치료적 관점이란 감수성을 자극하는 감동 및 몰입의 경험이 스마트폰 중독에 빠져드는 것을 완화하거나 막을 수 있는 정서적 면역력을 높여준다는 가설이다. 이러한 가설에 따라 인문예술치유 프로그램은 비판적 사고 능력을 높이고 예술적 감동과 몰입을 경험하는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구성되었고 설문은 이러한 목표의 달성도를 점검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이 논문은 가설에 따른 프로그램의 구성과 그 가설을 바탕으로 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추정하기 위한 설문 문항을 제시하는 것에서 만족하고 있다. 가설에 따른 효과의 지속성을 추정하기 위해 개인별 추적조사가 요구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he result of the exploration for how to design questionnaire items that can verify the effect of the Humanities Therapy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smartphone addiction. In January 2017, the Kangwon University Humanities Consultation Center conducted a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smartphone addiction in Kangwon Land Chuchu Park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Kangwon Land, who financially sponsored the program, asked the participants of the program to conduct a questionnaire of "satisfaction survey". However, satisfaction surveys were far from the task of measuring the extent of the healing effects that participating youth have experienced. In order to estim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t is a prerequisite to develop questionnaire items reflecting the purpose of the program. The program was planned under the view of Humanities Therapy and Art Therapy. The former is the hypothesis that the intervention of "Critical Thinking" that includes objective perception can prevent the phenomenon of smartphone addiction. The latter is the hypothesis that activities that trigger subjective satisfaction and stimulate sensitivity through immersion can overcome the addiction of smartphone. This study, however, lacks the verification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question because it is based on the theoretical examination of the viewpoints of Humanities Therapy and Art Therapy. In addition, It is the fact that the perception of the smartphone users who are suffering from smartphone addiction actually did not considered. We should bear in mind limitations of this study for the follow-up study.
      번역하기

      This study is the result of the exploration for how to design questionnaire items that can verify the effect of the Humanities Therapy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smartphone addiction. In January 2017, the Kangwon University Humanities Consultation ...

      This study is the result of the exploration for how to design questionnaire items that can verify the effect of the Humanities Therapy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smartphone addiction. In January 2017, the Kangwon University Humanities Consultation Center conducted a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smartphone addiction in Kangwon Land Chuchu Park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Kangwon Land, who financially sponsored the program, asked the participants of the program to conduct a questionnaire of "satisfaction survey". However, satisfaction surveys were far from the task of measuring the extent of the healing effects that participating youth have experienced. In order to estim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t is a prerequisite to develop questionnaire items reflecting the purpose of the program. The program was planned under the view of Humanities Therapy and Art Therapy. The former is the hypothesis that the intervention of "Critical Thinking" that includes objective perception can prevent the phenomenon of smartphone addiction. The latter is the hypothesis that activities that trigger subjective satisfaction and stimulate sensitivity through immersion can overcome the addiction of smartphone. This study, however, lacks the verification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question because it is based on the theoretical examination of the viewpoints of Humanities Therapy and Art Therapy. In addition, It is the fact that the perception of the smartphone users who are suffering from smartphone addiction actually did not considered. We should bear in mind limitations of this study for the follow-up stud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인문 치료 프로그램의 설문 결과 및 한계
      • Ⅲ.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인문 치료의 관점
      • Ⅳ. 인문 치료 프로그램의 대안 설문
      • Ⅵ. 결론
      • Ⅰ. 서론
      • Ⅱ. 인문 치료 프로그램의 설문 결과 및 한계
      • Ⅲ.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인문 치료의 관점
      • Ⅳ. 인문 치료 프로그램의 대안 설문
      • Ⅵ.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