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17년까지, 15년 걸쳐 행해진 ADHD 아동 대상의 음악치료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ADHD’, ‘ADHD 아동’,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553188
2017
Korean
학술저널
1-16(1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17년까지, 15년 걸쳐 행해진 ADHD 아동 대상의 음악치료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ADHD’, ‘ADHD 아동’,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 ‘...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17년까지, 15년 걸쳐 행해진 ADHD 아동 대상의 음악치료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ADHD’, ‘ADHD 아동’,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 ‘음악’, ‘음악치료’, 등의 키워드로 논문을 검색하여 열람할 수 없거나 중복된 논문들을 제외한 후 총 37편의 연구들을 분석하였다. 분석기준은 연구자의 전공, 연구물 발표 연도, 연구방법, 프로그램 전체 회기 수와 회기 당 시간, 참여 인원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와 그래프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고 정리하였다. 그 결과, ADHD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논문을 발표한 연구자의 전공을 살펴보면, 총 37편 중 음악치료 전공이 11명(30%)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방법에서는 대부분 실험연구로 시행하였으며, 프로그램 전체 회기 수는 11-15회기 12편(39%), 참여 인원은 2-5명, 6-10명으로 시행한 연구들이 10편(34%)으로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한 회기 당 진행시간은 40분 -50분이 15편(52%)으로 가장 많았고, 60분 이상 프로그램을 진행한 연구는 가장 적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ADHD 아동을 대상으로 음악적 개입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서 앞으로 ADHD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기본적인 연구 방향들을 제시할 수 있음에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그뿐만 아니라 논문들이 대체로 양적인 연구에 치중되어 있어 질적 연구가 좀 더 활성화되어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진 ADHD 아동에게 적용할 수 있는 세분된 음악치료 개입방법들을 탐구해야 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rom 2003 to 2017, the study analyzed trends in music therapy for children with ADHD for 15 years. A total of 37 studies have been analyzed and analyzed since they examined theses articles with keywords such as ‘ADHD’, "ADHD Children", "Attention ...
From 2003 to 2017, the study analyzed trends in music therapy for children with ADHD for 15 years. A total of 37 studies have been analyzed and analyzed since they examined theses articles with keywords such as ‘ADHD’, "ADHD Children", "Attention Deficit Hyperspace Disorder", "Music Therapy", and " Music". Based on the analysis criteria, the research and analysis method, and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methods were analyzed based on analysis criteria and analyzed the data using Microsoft Excel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rend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number of major music therapies specializing in music therapy was followed by 11 (30 percent) of music therapy (30 percent). The method of study is mostly experimental research. And when examining the total number of treatments and participants, the use of the 11 - to 15 were shown. time more than 40 minutes were spent on average for more than 40 minutes, with the lowest score of more than 50 minutes (52 percent), followed by two thirds (7 percent). It is meaningful to help analyze and organize various studies to help guide the development of future music therapies.
목차 (Table of Contents)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따른 PPAT 그림검사 반응특성 연구
스마트폰 중독예방 인문 치료 프로그램의 설문 문항 분석 및 대안 문항 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