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치매노인에 대한 음악치료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531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치매노인에 대한 음악치료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치매노인 대상 음악치료의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분석대상은 학위논문과 학술논문으로 2000년부터 2017년까지 치매노인, 음악치료, 음악, 음악활동, 연구동향을 검색하여 나온 국내 논문 자료 중 67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치매노인 음악치료 연도별 연구현황, 음악치료 영역별, 음악치료 활동별로 총 회기 수와 회기 당 시간을 연구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치매노인 음악치료에 대한 국내 연구의 연도별 연구추세는 2006년 이후 연구가 급격히 증가하였고, 2006년 정부의 ‘고령사회 기본 계획’ 수립 뒤 2007년에 가장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둘째, 치료 영역별 연구 동향은 인지영역에서 가장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두 가지 이상의 혼합연구도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치료 활동별 연구동향은 노래 부르기 활동이 가장 많았고, 두 가지 이상의 혼합 활동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혼합 활동 연구논문 중 노래 부르기와 악기 연주 활동을 혼합한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총 회기 수와 회기 당 시간별 연구동향은 11-20회기, 41-50분의 연구가 가장 많이 시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한 음악치료 프로그램 선행연구들을 연구 분석하여 음악치료 연구의 최근 동향에 근거한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치매노인에 대한 음악치료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치매노인 대상 음악치료의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분석대상은 학위논문...

      본 연구는 치매노인에 대한 음악치료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치매노인 대상 음악치료의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분석대상은 학위논문과 학술논문으로 2000년부터 2017년까지 치매노인, 음악치료, 음악, 음악활동, 연구동향을 검색하여 나온 국내 논문 자료 중 67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치매노인 음악치료 연도별 연구현황, 음악치료 영역별, 음악치료 활동별로 총 회기 수와 회기 당 시간을 연구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치매노인 음악치료에 대한 국내 연구의 연도별 연구추세는 2006년 이후 연구가 급격히 증가하였고, 2006년 정부의 ‘고령사회 기본 계획’ 수립 뒤 2007년에 가장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둘째, 치료 영역별 연구 동향은 인지영역에서 가장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두 가지 이상의 혼합연구도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치료 활동별 연구동향은 노래 부르기 활동이 가장 많았고, 두 가지 이상의 혼합 활동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혼합 활동 연구논문 중 노래 부르기와 악기 연주 활동을 혼합한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총 회기 수와 회기 당 시간별 연구동향은 11-20회기, 41-50분의 연구가 가장 많이 시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한 음악치료 프로그램 선행연구들을 연구 분석하여 음악치료 연구의 최근 동향에 근거한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in domestic studies for the elderly dementia and provide basic data to develop effective programs of music therapy for the elderly. Research subjects analyzed 67 research trends in their Korean papers that were published by searching for dementia, music therapy, music, music activities and research trends between 2000 and 2017 as doctoral dissertations and academic papers. The conclusion of a study analysis on the total number of sessions and time per session by research status per year by dementia old person, areas of music therapy, and activities of music therapy are as follows : First, the annual trend of domestic studies on music therapy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increased sharply since 2006, and the most research was carried out in 2007 after the government established a basic plan for aging society. Second, the trend of studies by treatment area has shown that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in the cognitive domain, and that more than one mixed-use is being conducted. Third, we could see that the study trends by treatment activity had the most singing activity, and more than one mixed-action study was also being conducted. Many of the mixed-action research papers also found that they combined singing with musical instruments. Fourth, the study trends by total number of sessions and time per session were conducted most frequently, with 41-50 minutes of research being done during the 11-20 sessions.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a base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programs based on recent trends in music therapy studies by analyzing pre-research studies of music therapy program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in domestic studies for the elderly dementia and provide basic data to develop effective programs of music therapy for the elderly. Research subjects analyzed 67 research trends in their Korean papers th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in domestic studies for the elderly dementia and provide basic data to develop effective programs of music therapy for the elderly. Research subjects analyzed 67 research trends in their Korean papers that were published by searching for dementia, music therapy, music, music activities and research trends between 2000 and 2017 as doctoral dissertations and academic papers. The conclusion of a study analysis on the total number of sessions and time per session by research status per year by dementia old person, areas of music therapy, and activities of music therapy are as follows : First, the annual trend of domestic studies on music therapy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increased sharply since 2006, and the most research was carried out in 2007 after the government established a basic plan for aging society. Second, the trend of studies by treatment area has shown that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in the cognitive domain, and that more than one mixed-use is being conducted. Third, we could see that the study trends by treatment activity had the most singing activity, and more than one mixed-action study was also being conducted. Many of the mixed-action research papers also found that they combined singing with musical instruments. Fourth, the study trends by total number of sessions and time per session were conducted most frequently, with 41-50 minutes of research being done during the 11-20 sessions.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a base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programs based on recent trends in music therapy studies by analyzing pre-research studies of music therapy program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Ⅳ. 결론
      • I.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