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 언론의 재해보도에 관한 연구  :  태풍·폭우·폭염에 대한 주요 일간신문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isaster Reports of the Korean Media - Focused on Daily Newspapers' Analyses of Typhoon, Heavy Rains and Heat Wav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021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국내 언론의 재해보도 가운데 2012년 많은 피해를 가져왔던 태풍, 폭우, 폭염이라는 기상재해에 대한 주요 일간신문의 보도태도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보도특성, 뉴스 정보원 활용, 뉴스 프레임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보도특성에 대한 분석결과, 해당 재해의 발생기간 동안 소나기식으로 언론보도가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해설/분석’이나 ‘기획/연재’ 등의 심층성 높은 기사보다는 대부분 기본정보 중심의 ‘스트레이트’형식의 기사가 많았다. 보도내용은 ‘재해정보’, ‘피해상황’ 에 집중되어 재해 예방 및 향후 유사 재해의 대처를 위한 방재 정보제공에는 미흡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활용경향은 기상재해에 대한 보도인 만큼 ‘기상청’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고, ‘전문가’ 활용은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해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분석한 결과, 언론사별로 재해보도의 프레임유형별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기사를 접하는 독자들이 실질적으로 필요한 ‘피해/대응 정보 프레임’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이는 관행적으로 지속되어온 재해보도의 감성화, 실용성 부족에 대한 문제제기와 비판을 우리 언론이 수용하였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국내 언론의 재해보도 가운데 2012년 많은 피해를 가져왔던 태풍, 폭우, 폭염이라는 기상재해에 대한 주요 일간신문의 보도태도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보도특성, 뉴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언론의 재해보도 가운데 2012년 많은 피해를 가져왔던 태풍, 폭우, 폭염이라는 기상재해에 대한 주요 일간신문의 보도태도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보도특성, 뉴스 정보원 활용, 뉴스 프레임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보도특성에 대한 분석결과, 해당 재해의 발생기간 동안 소나기식으로 언론보도가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해설/분석’이나 ‘기획/연재’ 등의 심층성 높은 기사보다는 대부분 기본정보 중심의 ‘스트레이트’형식의 기사가 많았다. 보도내용은 ‘재해정보’, ‘피해상황’ 에 집중되어 재해 예방 및 향후 유사 재해의 대처를 위한 방재 정보제공에는 미흡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뉴스 정보원의 활용경향은 기상재해에 대한 보도인 만큼 ‘기상청’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고, ‘전문가’ 활용은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해보도의 뉴스 프레임을 분석한 결과, 언론사별로 재해보도의 프레임유형별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기사를 접하는 독자들이 실질적으로 필요한 ‘피해/대응 정보 프레임’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이는 관행적으로 지속되어온 재해보도의 감성화, 실용성 부족에 대한 문제제기와 비판을 우리 언론이 수용하였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고찰 및 기존연구 검토
      • 1. 위기상황에서 재해보도의 역할론
      • 2. 관련 기존연구 검토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고찰 및 기존연구 검토
      • 1. 위기상황에서 재해보도의 역할론
      • 2. 관련 기존연구 검토
      •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1. 연구문제
      • 2.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1. 재해보도 특성분석
      • 2. 뉴스 정보원 활용에 대한 특성분석
      • 3. 뉴스 프레임 분석
      • Ⅴ.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정혜,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허베이 스피리트호’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9 (9): 81-121, 2008

      2 이경미, "태풍 '나리' 관련 제주지역의 재난방송보도 연구" 언론정보연구소 45 (45): 97-129, 2008

      3 전선형, "최근 기상이변의 파급영향 및 과제" 현대경제연구원 10 (10): 2010

      4 구수원, "재해방송의 역할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1999

      5 지성우, "재난과 방송의 역할" 356 : 10-15, 2011

      6 이민규, "재난 보도 어떻게 해야 하나: 한․미․일 재난보도 비교와 재난보도 원칙을 중심으로" 52 (52): 11-17, 2011

      7 김만재, "자연재난보도의 특성 분석: 태풍 루사의 사례 연구" 5 (5): 1-9, 2005

      8 유재웅, "자연재난 보도에서 공식/비공식 정보원 이용에 관한 연구: 시민제작 콘텐츠 이용정도를 중심으로"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8 (8): 67-84, 2012

      9 김춘식, "일본의 ‘東北部 大震災’에 관한 신문(한국․일본․미국)과 텔레비전(한국․일본) 뉴스 내용분석" 한국언론진흥재단 2011

      10 양영신, "일본대지진 보도에 대한 방송사의 뉴스 프레임 분석 연구 : KBS, MBC, SBS 메인뉴스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2012

      1 양정혜,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허베이 스피리트호’ 원유 유출사고 보도사례"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9 (9): 81-121, 2008

      2 이경미, "태풍 '나리' 관련 제주지역의 재난방송보도 연구" 언론정보연구소 45 (45): 97-129, 2008

      3 전선형, "최근 기상이변의 파급영향 및 과제" 현대경제연구원 10 (10): 2010

      4 구수원, "재해방송의 역할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1999

      5 지성우, "재난과 방송의 역할" 356 : 10-15, 2011

      6 이민규, "재난 보도 어떻게 해야 하나: 한․미․일 재난보도 비교와 재난보도 원칙을 중심으로" 52 (52): 11-17, 2011

      7 김만재, "자연재난보도의 특성 분석: 태풍 루사의 사례 연구" 5 (5): 1-9, 2005

      8 유재웅, "자연재난 보도에서 공식/비공식 정보원 이용에 관한 연구: 시민제작 콘텐츠 이용정도를 중심으로"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8 (8): 67-84, 2012

      9 김춘식, "일본의 ‘東北部 大震災’에 관한 신문(한국․일본․미국)과 텔레비전(한국․일본) 뉴스 내용분석" 한국언론진흥재단 2011

      10 양영신, "일본대지진 보도에 대한 방송사의 뉴스 프레임 분석 연구 : KBS, MBC, SBS 메인뉴스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2012

      11 양정혜, "위험사회의 의미 구성하기 -국내 언론의 신종플루 프레이밍 방식 분석"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17) : 169-212, 2010

      12 유승관, "세계 뉴스통신사의 재난·재해 뉴스보도의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76) : 140-169, 2011

      13 이 연, "선정보도에 피해주민 분통 선진화된 매뉴얼 시급" (9) : 70-73, 2008

      14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사회위기와 TV저널리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15 차배근, "사회과학연구방법" 세영사 1981

      16 백선기, "보도준칙을 통해서 본 한국 언론의 재난보도" 한국소통학회 (18) : 7-54, 2012

      17 채성혜, "미디어월드와이드: JAPAN- 유스트림과 트위터, 재난보도 패러다임 바꾼다"

      18 송종길, "디지털 시대의 재해방송" 커뮤니케이션북스 2003

      19 김성재, "디지털 미디어시대의 재난보도 방향" 한국방송학회 2003 (2003): 89-112, 2003

      20 조은희, "국내신문의 일본 대지진․원전사태 보도특성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3 (23): 117-143, 2012

      21 이민규,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12 (12): 378-413, 2012

      22 양기근, "구제역 위기 언론 보도 분석: 언론보도의 양적 특징, 프레임 및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8 (8): 83-105, 2012

      23 Sandman, P. M., "Telling Reporters about Risk" 58 (58): 36-38, 1988

      24 Covello, V., "Risk Communica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3 (3): 171-182, 1986

      25 Singer, E., "Reporting on Risk: How the Mass Media Portray Accidents, Diseases, Disasters, and Other Hazards" Russell Sage Foundation 1993

      26 Powell, D., "Mad Cows and Mother's Milk: The Perils of Poor Risk Communication" McGill-Queen's Univ. Press 1997

      27 Iyengar, S.,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1

      28 National Reasearch Council(NRC)., "Improving Risk Communication" National Academy Press 1989

      29 Entman, R. B., "Framing US Coverage of International News: Contrasts in Narratives of the KAL and Iran Air Incidents" 41 : 6-27, 1991

      30 Semetko, H. A., "Framing European Politics: A Content Analysis of Press and Television News" 50 (50): 93-109, 2000

      31 Goffman, E.,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Harper and Row 1974

      32 Kerlinger, F. N., "Foundation of Behavioral Research" Holt, Rinehart and Winston 1986

      33 Holsti, O., "Content Analysis for the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1969

      34 Mileti, D. S., "Communication of Public Risk; Its Theory & Its Application" 2 (2): 20-28, 1991

      35 관계부처합동, "2012년 이상기후 보고서" 기상청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9-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위기관리논집 -> Crisisonomy
      외국어명 : Korean Review of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 Crisisonomy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6 1.09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