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습용 무선 조종 모형 거북선 개발 = Development of Learning Model TurtleBoat with Radio-Controlled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484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radio-controlled model Turtle Boat, which is also called 'Geobukseon' in Korean. The model boat was designed to move to all directions freely and to be used as a learning material, from which students could get interested in the technique and knowledge related to transportation and form a positive attitude toward hand craft ac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literature review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hape and structure ofthe real Geobukseon, of which modelsize was scaled down 1/100.
      Second, developing radio-controlled Geobukseon boat which modern technologies has been applied to and made evolved can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cultural heritages. From this dedication the treasure will no longer remain justin history: it will be clear that we will be aware of it not only in life but in education.
      Third, by producing and assembling the driving gear, radio-controlle devicesand body of Geobukseon model, students are expected to embody and understand its entire system. Furthermore, they will understand the concept of robot and remote-control devic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radio-controlled model Turtle Boat, which is also called 'Geobukseon' in Korean. The model boat was designed to move to all directions freely and to be used as a learning material, from which students could ge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radio-controlled model Turtle Boat, which is also called 'Geobukseon' in Korean. The model boat was designed to move to all directions freely and to be used as a learning material, from which students could get interested in the technique and knowledge related to transportation and form a positive attitude toward hand craft ac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literature review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hape and structure ofthe real Geobukseon, of which modelsize was scaled down 1/100.
      Second, developing radio-controlled Geobukseon boat which modern technologies has been applied to and made evolved can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cultural heritages. From this dedication the treasure will no longer remain justin history: it will be clear that we will be aware of it not only in life but in education.
      Third, by producing and assembling the driving gear, radio-controlle devicesand body of Geobukseon model, students are expected to embody and understand its entire system. Furthermore, they will understand the concept of robot and remote-control devi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학생들이 수송기술에 대한 흥미, 지식, 기능 및 태도를 함양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자료로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원격 무선조종 학습용 모형 거북선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주요 결론은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거북선과 관련된 문헌을 근거로 하여, 실제 거북선의 형태와 구조를 분석한 결과 학습용 모형 거북선을 실제 치수의 1/100 크기로 축소하여 제작할 수 있었다.
      둘째, 문화유산의 단순한 외형적 복원이 아닌 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학습용으로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서보모터를 활용한 구동장치를 개발하여, 무선 원격 조종으로 전후․좌우 방향성과 제자리 선회 능력을 가진 모형 거북선을 개발하였다. 이는 기존의 단순 조립식 학습용 교구를 좀 더 다양하게 발전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셋째, 선박 및 동력 전달의 원리 등 수송 기술 관련 내용을 모든 학생들이 널리 알고 있는 거북선에 접목시켜 중등학교 학생들이 기술교과 내용에 대한 학습동기 및 흥미를 유발 시킬 수 있는 학습용 모형 거북선을 개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학생들이 수송기술에 대한 흥미, 지식, 기능 및 태도를 함양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자료로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원격 무선조종 학습용 모형 거북선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학생들이 수송기술에 대한 흥미, 지식, 기능 및 태도를 함양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자료로서 방향 전환이 가능한 원격 무선조종 학습용 모형 거북선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주요 결론은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거북선과 관련된 문헌을 근거로 하여, 실제 거북선의 형태와 구조를 분석한 결과 학습용 모형 거북선을 실제 치수의 1/100 크기로 축소하여 제작할 수 있었다.
      둘째, 문화유산의 단순한 외형적 복원이 아닌 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학습용으로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서보모터를 활용한 구동장치를 개발하여, 무선 원격 조종으로 전후․좌우 방향성과 제자리 선회 능력을 가진 모형 거북선을 개발하였다. 이는 기존의 단순 조립식 학습용 교구를 좀 더 다양하게 발전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셋째, 선박 및 동력 전달의 원리 등 수송 기술 관련 내용을 모든 학생들이 널리 알고 있는 거북선에 접목시켜 중등학교 학생들이 기술교과 내용에 대한 학습동기 및 흥미를 유발 시킬 수 있는 학습용 모형 거북선을 개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준섭, "태양전지를 이용한 학습용 모형 거북선의 성능 특성" 한국기술교육학회 4 (4): 68-78, 2004

      2 최준섭, "초·중등학교 교수-학습용 모형 거북선 개발" 대한공업교육학회 33 (33): 154-169, 2008

      3 한국체육과학연구원, "조정 경기훈련지도서" 보경문화사 1990

      4 장학근, "전장환경과 거북선 선형변화"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51 (51): 45-77, 2004

      5 남천우, "유물의 재발견" 학고재 1997

      6 김재근, "우리의 배"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6

      7 최준섭, "앞으로의 기술교육 역사를 어떻게 쓸 것인가?" 한국기술교육학회 31-41, 2003

      8 김광열, "모형배의 성능 실험" 한국기술교육학회 3 (3): 57-70, 2003

      9 이승준, "다용도 서보 개조" 52-53, 2005

      10 강만근, "구동장치를 구비한 모형거북선"

      1 최준섭, "태양전지를 이용한 학습용 모형 거북선의 성능 특성" 한국기술교육학회 4 (4): 68-78, 2004

      2 최준섭, "초·중등학교 교수-학습용 모형 거북선 개발" 대한공업교육학회 33 (33): 154-169, 2008

      3 한국체육과학연구원, "조정 경기훈련지도서" 보경문화사 1990

      4 장학근, "전장환경과 거북선 선형변화"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51 (51): 45-77, 2004

      5 남천우, "유물의 재발견" 학고재 1997

      6 김재근, "우리의 배"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6

      7 최준섭, "앞으로의 기술교육 역사를 어떻게 쓸 것인가?" 한국기술교육학회 31-41, 2003

      8 김광열, "모형배의 성능 실험" 한국기술교육학회 3 (3): 57-70, 2003

      9 이승준, "다용도 서보 개조" 52-53, 2005

      10 강만근, "구동장치를 구비한 모형거북선"

      11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12 김진수, "공업교육연구법과 SPSS" 웅보출판사 2005

      13 박원미, "거북선 선형의 저항 및 조종성능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3

      14 제장명, "거북선 복원에 관한 소고" 6 : 167-200, 2004

      15 김재근, "거북선" 정우사 1997

      16 Tyler, R. W.,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and Instruc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4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3 1.544 0.5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