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에서의 Pro를 찾아서 = Identifying Pro in Korean langu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805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어에서 영대명사 Pro가 존재함을 밝히고 문장에서의 분포를 알아보고 그 속성을 밝히는 것이다. 한국어에서 공범주인 PRO와 Pro가 모두 존재하느냐의 문제는 한국어에는...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어에서 영대명사 Pro가 존재함을 밝히고 문장에서의 분포를 알아보고 그 속성을 밝히는 것이다. 한국어에서 공범주인 PRO와 Pro가 모두 존재하느냐의 문제는 한국어에는 굴절소가 전형적인 Pro를 지닌 다른 인도 유럽어들과는 달리 발달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어에는 Pro가 존재한다는 것은 이미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한국어에서 Pro가 전형적인 Pro와는 다른 특성을 가진 제 2유형의 Pro라는 것을 여러 경험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고 그것의 특징을 제시한다. 반면에 PRO는 공통적으로 부정사구나 동명사절의 주어 위치에서 출현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우리의 관찰은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Pro는 외현적인 대명사와 같이 분포될 수 있다는 면에서 PRO와 차이점을 보이고, 따라서 Pro는 외현적인 대명사와 서로 교체가 가능한 반면에 PRO는 그러한 특징이 없다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reconfirm the presence of Pro in Korean, locate its distributions, and identify its nature. The question whether empty categories, such as Pro and PRO, appear in Korean remains unanswered; this problem is because of the differences ...

      This paper aims to reconfirm the presence of Pro in Korean, locate its distributions, and identify its nature. The question whether empty categories, such as Pro and PRO, appear in Korean remains unanswered; this problem is because of the differences in the agreement system between agglutinative languages, such as Korean, and inflectional languages, such as Spanish. Nevertheless, most scholars have asserted that the two empty categories mentioned above could be discovered in some (probably all) agglutinative languages, including Korean. This paper assumes Pro in Korean as the second type of Pro, in the sense that Pro in Korean has the different inflectional paradigm from the inflectional paradigms of Pros in inflectional languages, such as Spanish. However, PROs in the aforementioned two types of languages are commonly found in the positions of the subjects, in the infinitival and gerundive clauses. In conclusion, while PROs are introduced in caseless positions, such as the subject positions in the infinitival and gerundive clauses, Pros are introduced in case positions, such as the subject and object positions in the finite clauses and subject positions in the ECM construc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기존의 논의에 대한 검토
      • 3. 제2 유형의 영대명사 Pro
      • 4. Pro의 기능 파악으로 결론을 대신하며
      • 국문초록
      • 1. 서론
      • 2. 기존의 논의에 대한 검토
      • 3. 제2 유형의 영대명사 Pro
      • 4. Pro의 기능 파악으로 결론을 대신하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동휘, "확대 통제 이론"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20 : 19-30, 1984

      2 김용하, "한국어의 어미 체계와 격 인허에 대한 최소주의적 고찰" 국어학회 (46) : 295-330, 2005

      3 김용석, "한국어의 공대명사 현상에 관하여" 생성문법학회 4 : 45-84, 1994

      4 최기용, "한국어의 3인칭 지시 표현 ‘그’에 관한 소고" 한국생성문법학회 23 (23): 527-558, 2013

      5 엄홍준, "한국어에서의 영대명사 pro의 유형" 언어정보연구소 19 : 141-160, 2013

      6 엄홍준, "한국어에서의 논항 이동과 pro" 현대문법학회 (59) : 67-88, 2010

      7 최기용, "피결속-변항 대명사로서의 ‘자기’" 한국생성문법학회 24 (24): 325-364, 2014

      8 김용하, "절의 정형성과 영주어" 언어정보연구소 13 : 1-18, 2010

      9 정민주, "자기소개 담화에 나타난 ‘자아 표현’ 양상과 실현 맥락에 관한 고찰 - 대학생 자기소개 담화를 중심으로 -" 국어교육학회(since1969) (44) : 129-152, 2009

      10 문귀선, "영논항의 속성 재조명" 대한언어학회 18 (18): 67-92, 2010

      1 양동휘, "확대 통제 이론"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20 : 19-30, 1984

      2 김용하, "한국어의 어미 체계와 격 인허에 대한 최소주의적 고찰" 국어학회 (46) : 295-330, 2005

      3 김용석, "한국어의 공대명사 현상에 관하여" 생성문법학회 4 : 45-84, 1994

      4 최기용, "한국어의 3인칭 지시 표현 ‘그’에 관한 소고" 한국생성문법학회 23 (23): 527-558, 2013

      5 엄홍준, "한국어에서의 영대명사 pro의 유형" 언어정보연구소 19 : 141-160, 2013

      6 엄홍준, "한국어에서의 논항 이동과 pro" 현대문법학회 (59) : 67-88, 2010

      7 최기용, "피결속-변항 대명사로서의 ‘자기’" 한국생성문법학회 24 (24): 325-364, 2014

      8 김용하, "절의 정형성과 영주어" 언어정보연구소 13 : 1-18, 2010

      9 정민주, "자기소개 담화에 나타난 ‘자아 표현’ 양상과 실현 맥락에 관한 고찰 - 대학생 자기소개 담화를 중심으로 -" 국어교육학회(since1969) (44) : 129-152, 2009

      10 문귀선, "영논항의 속성 재조명" 대한언어학회 18 (18): 67-92, 2010

      11 우순조, "내포문과 평가구문" 국어학회 26 : 59-98, 1995

      12 Moore, J., "Turkish Copy-raising and A-Chain Locality" 16 : 149-189, 1998

      13 Huang, C. T. James, "The Null Subject Parameter" Kluwer Academic publishers 185-214, 1989

      14 Jaeggli, Osvaldo, "The Null Subject Parameter" Kluwer Academic publishers 1-44, 1989

      15 Permulter, D., "Syntactic Argumentation and the Structure of English"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9

      16 Fujii, T., "Some Theoretical Issues in Japanese Control" University of Maryland 2006

      17 Heim, Irene, "Semantics in Generative Grammar" Blackwell 1998

      18 Huang, C. T. James, "Remarks on Empty Categories in Chinese" 18 : 321-337, 1987

      19 Tanaka, H., "Raising to Object out of CP" 33 : 637-652, 2002

      20 Deprez, Viviane, "Raisig construction in Haitian creole" 10 : 191-232, 1992

      21 김용하, "PRO에 대한 이동 분석과 한국어의 주어 올리기 구문" 현대문법학회 (60) : 21-36, 2010

      22 Hasegawa, N., "On the So called Zero Pronouns in Japanese" 4 : 289-341, 1985

      23 Huang, C. T. James, "On the Distribution and Reference of Empty Category" 15 : 531-574, 1984

      24 Yoon, Seok-Hwa, "On Distribution of pro in Korean" 14 : 63-83, 1998

      25 Martin, R., "Null Case and the Distribution of PRO" 32 : 141-166, 2001

      26 DongseokKim, "Korean ECM Constructions and the Theory of Phase" 현대문법학회 (33) : 47-77, 2003

      27 Chomsky, Noam, "An international handbook of contemporary research" Walter de Gruyter 506-569,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2 0.6 1.17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