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pecifics of Teaching Foreign Language in a Non-Philological Field of Stud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제2외국어 습득 분야에서 중요하면서도 흥미로운 최신 주제인, 비어문학 분야의 교육에 있어서의 특징을 다루고 있다. 언어 학습과 습득 과정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

      이 논문은 제2외국어 습득 분야에서 중요하면서도 흥미로운 최신 주제인, 비어문학 분야의 교육에 있어서의 특징을 다루고 있다. 언어 학습과 습득 과정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이는 언어적 요인과 비언어적 요인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 가운데 가장 중요한 지표 중 하나는 비어문학 분야와 같이 일반적이면서도 공통적인 특성을 가진 분야에서도
      언어 학습자들 사이에 개인적 차이가 크게 나타난다는 사실이다.
      저자들은 비어문학적인 학문 분야에서의 언어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저자들은 6개의 세부사항을 발견했다. 물론 그것이 전부가 아니라는 것 사실을 잘 인지하고 있다. 다만 이 논문이 다른 연구들과 교사 및 언어를 습득한 사람들이 아이디어와 실용적인 경험, 특히 언어 습득 과정에서 유용하고 유익한 경험을 공유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기 바란다.
      의대생들을 가르치는데 있어서 고려된 세부사항들은 비언어적 요인들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저자들은 또한 (전문적인) 의사소통이라는 교육목표에 관심을 기울인다. 저자들은 또한 학생들의 의사소통 전략과 슬로바키아어에 대한 태도에 일정 부분 주목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저자들은 특정한 -주로 슬로바키아어와 영어- 언어학적인 이론 배경과 이차문헌에 대한 그들
      의 지식뿐만 아니라, 저자들의 오랜 경험들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나누고자 한다
      본 논문은 광범위한 언어, 교육 및 의사소통적인 맥락에서 제시된 이 론적인 관찰, 사실 및 발언뿐만 아니라 교육/학습의 실례를 제시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aper presents an important, up-to-date and interesting topic from the field of the second language acquisition – its special features of teaching in non-philological study. The process of language learning and acquiring is influenced by se...

      The paper presents an important, up-to-date and interesting topic from the field of the second language acquisition – its special features of teaching in non-philological study. The process of language learning and acquiring is
      influenced by several factors – language and non-language one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dicators is the fact that there is a high rate of individualism among language learners, despite the common general characteristic as, e.g., non-philological field.
      Authors focus of specifics of language teaching in non-philological field of study. Authors found six specifics and they understand that it is not the final closed amount. They would be happy if this article motivates others researches, teachers and people who acquire language to share ideas, practical experiences, especially those that are useful and helpful in the process of language acquisition.
      Selected specifics in teaching medical students shows the importance of non-language ones. Authors also aim their attention to the teaching goal –to (professional) communication. They partly also pay attention to
      communication strategies of students and their attitude to Slovak. New teaching material try to prove a profound insight to the problematic, a long experience of authors as well as their knowledge of the particular linguistic
      theoretical background and secondary literature, mainly Slovak and English.
      This article brings theoretical observations, facts and remarks presented in the broader linguistic, didactic and communicative context as well as illustrative examples from teaching / learning practi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Introduction
      • 2. Specifics of Teaching Slovak
      • 3. Selected Specifics in Teaching Medical Students
      • 4. Teaching Materials
      • 5. Communication and Its Barriers
      • 1. Introduction
      • 2. Specifics of Teaching Slovak
      • 3. Selected Specifics in Teaching Medical Students
      • 4. Teaching Materials
      • 5. Communication and Its Barriers
      • 6. Conclus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Hamar, Tomáš, "VÝZVY2017: Súčasné výzvy vo vyučovaní jazyov: ako ďalej?" SlovakEdu 2017

      2 Doughty, Catherine J., "The Handbook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Blackwell Publishing 2003

      3 Pekarovičová, Jana, "Slovenčina ako cudzí jazyk – predmet aplikovanej lingvistiky" Stimul 2004

      4 Ďurajka, Radoslav, "Slovenčina (nielen) ako cudzí jazyk v súvislostiach" UK 2011

      5 Popelková, Ingrid, "Perspektívy výučby cudzích jazykov pre 21" Univerzita sv. Cyrila a Metoda v Trnave 2010

      6 Erven, Bernard L., "Overcoming barriers to communication"

      7 Ďurajka, Radoslav, "Osvojovanie si slovenčiny ako cudzieho jazyka v kontexte psycholingvistiky a didaktiky" Comenius univ 2014

      8 Balková, Danuša et, "Odborná slovenčina v medicínskej praxi – kazuistiky" UK 2014

      9 Mezulánik, Josef, "Komunikační bariery z hlediska sociolingvistiky" Comenius Univ 1993

      10 Dolník, Juraj, "Jazyk – človek – kultúra" Kalligram 2010

      1 Hamar, Tomáš, "VÝZVY2017: Súčasné výzvy vo vyučovaní jazyov: ako ďalej?" SlovakEdu 2017

      2 Doughty, Catherine J., "The Handbook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Blackwell Publishing 2003

      3 Pekarovičová, Jana, "Slovenčina ako cudzí jazyk – predmet aplikovanej lingvistiky" Stimul 2004

      4 Ďurajka, Radoslav, "Slovenčina (nielen) ako cudzí jazyk v súvislostiach" UK 2011

      5 Popelková, Ingrid, "Perspektívy výučby cudzích jazykov pre 21" Univerzita sv. Cyrila a Metoda v Trnave 2010

      6 Erven, Bernard L., "Overcoming barriers to communication"

      7 Ďurajka, Radoslav, "Osvojovanie si slovenčiny ako cudzieho jazyka v kontexte psycholingvistiky a didaktiky" Comenius univ 2014

      8 Balková, Danuša et, "Odborná slovenčina v medicínskej praxi – kazuistiky" UK 2014

      9 Mezulánik, Josef, "Komunikační bariery z hlediska sociolingvistiky" Comenius Univ 1993

      10 Dolník, Juraj, "Jazyk – človek – kultúra" Kalligram 2010

      11 Ďurajka, Radoslav, "Integrácia marginalizovaných skupín do spoločnosti" KU 2011

      12 Hamar, Tomáš, "Foreign Languages in changing times VIII" EKONÓM 2018

      13 Slobin, Dan I., "Adult language acquisition: cross-linguistic perspectiv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
      2013-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유럽연구 -> 동유럽발칸연구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3 0.13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6 0.15 0.459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