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 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적 자기 효능감 척도의 타당도 검증과 배경 변인에따른 잠재평균분석을 통해 예비 교사 교육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1...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 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적 자기 효능감 척도의 타당도 검증과 배경 변인에따른 잠재평균분석을 통해 예비 교사 교육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1...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 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적 자기 효능감 척도의 타당도 검증과 배경 변인에따른 잠재평균분석을 통해 예비 교사 교육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187명의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적 자기 효능감 척도(Tark, 2011)를 활용한 사전 검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한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 협의회를 실시하여 문항을 보완한 후 354명의 예비교사들에게 본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사전검사에는 과학적 자기 효능감 척도에 예비 교사들은 3개 요인으로 응답하였으나 2개 문항의 타당도가낮게 나타났다. 수정한 척도를 활용하여 본 검사를 실시한 결과 29개 문항이 의도한 3개 요인에 적재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각 요인별 신뢰도는 .882∼.886으로 나타났다. 예비 교사들의 배경 변인에 따른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하여 효과 크기를 도출한 결과, 성별에 따라서는 자기조절효능감(Cohen’s d > .5)은 여성이 자신감(Cohen’s d > .3)은 남성이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진로 계열과 과학에 대한선호도 변인에서는 과제곤란도선호 요인과 자기조절효능감 요인에서 자연(이공)계열, 그리고 과학에긍정적 선호를 선택한 예비 교사가 유의미하게 큰 효과크기 차이(Cohen’s d > .8)를 보여주었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수정된 과학적 자기 효능감 척도를 활용하면 예비 교사들의 과학 과목에 대한 자기 효능감을 정확히 진단하는데 큰 기여를 할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과학적 자기 효능감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예비 교사들의 과학적 자기 효능감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 및 교육 내용 개편에도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숙정 ; 김희란 ; 모화숙,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 간의 종단적 관계: 중학생의 국어와 수학의 교과 내, 교과 간 관계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675-697, 2018
2 고주영 ; 남기수, "포항시 우현동 두호층에서 산출된 Pleuronichthys sp. 화석" 한국지구과학회 37 (37): 133-142, 2016
3 임희준,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자기효능감, 자기효능감의 원천, 창의적 성향의 학년과 성별에 따른 차이" 과학교육연구소 41 (41): 351-364, 2017
4 김순식, "초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른 과학수업능력, 과학교수법 성취도 및 과학수업 평가요소에 대한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13 (13): 90-99, 2020
5 장명덕,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학습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11 (11): 55-62, 2018
6 김동렬, "초등 예비교사들의 생명영역 탐구 수행 경험이 과학자 이미지와 과학 교수 불안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소 39 (39): 1-14, 2015
7 박병선 ; 배성우, "청소년용 인터넷 게임중독 척도의 측정불변성 검증 및 잠재평균분석: 성별과 학교급별 비교"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8 (18): 65-84, 2016
8 정희진 ; 이형철, "창의 산출물 활동이 초등 과학영재반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과학 자기효능감,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11 (11): 193-202, 2018
9 문태형, "자기결정성 동기 및 자기효능감에 따른 초등 과학, 수학 및 정보 영재아동의 판별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20 (20): 33-44, 2011
10 이효녕 ; 이현동 ; 오희진, "의학계열 학생들의 과학 동기, 과학 자기 효능감 및 시스템 사고간의 경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193-1209, 2020
1 이숙정 ; 김희란 ; 모화숙,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 간의 종단적 관계: 중학생의 국어와 수학의 교과 내, 교과 간 관계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675-697, 2018
2 고주영 ; 남기수, "포항시 우현동 두호층에서 산출된 Pleuronichthys sp. 화석" 한국지구과학회 37 (37): 133-142, 2016
3 임희준,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자기효능감, 자기효능감의 원천, 창의적 성향의 학년과 성별에 따른 차이" 과학교육연구소 41 (41): 351-364, 2017
4 김순식, "초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른 과학수업능력, 과학교수법 성취도 및 과학수업 평가요소에 대한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13 (13): 90-99, 2020
5 장명덕,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학습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11 (11): 55-62, 2018
6 김동렬, "초등 예비교사들의 생명영역 탐구 수행 경험이 과학자 이미지와 과학 교수 불안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소 39 (39): 1-14, 2015
7 박병선 ; 배성우, "청소년용 인터넷 게임중독 척도의 측정불변성 검증 및 잠재평균분석: 성별과 학교급별 비교"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8 (18): 65-84, 2016
8 정희진 ; 이형철, "창의 산출물 활동이 초등 과학영재반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과학 자기효능감,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11 (11): 193-202, 2018
9 문태형, "자기결정성 동기 및 자기효능감에 따른 초등 과학, 수학 및 정보 영재아동의 판별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20 (20): 33-44, 2011
10 이효녕 ; 이현동 ; 오희진, "의학계열 학생들의 과학 동기, 과학 자기 효능감 및 시스템 사고간의 경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193-1209, 2020
11 김효남 ; 명전옥, "예비초등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 정의적 특성의 상관관계" 교육과학연구소 40 (40): 29-50, 2009
12 조규영 ; 김현섭, "메타인지 기반 과학자기효능감 증진 교수학습 전략 개발"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12 (12): 236-258, 2018
13 강한아 ; 김아영, "대학생용 사회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7 (27): 263-283, 2013
14 조지혜, "대학생 진로미결정 척도의 성별 구인 동등성 검증 및 잠재평균분석" 교육연구소 25 (25): 339-357, 2019
15 윤초희 ; 정현철, "과학영재의 과학탐구능력 관련 변인에 대한 경로분석: 숙달목표, 자기효능감, 자기조절전략 및탐구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20 (20): 321-339, 2006
16 이현동 ; Max L. Longhurst ; 이효녕, "과학 영재 학생의 과학 동기가 과학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교과교육연구소 21 (21): 24-33, 2017
17 이효녕 ; 권혁수 ; 박경숙 ; 이현동, "고등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측정을 위한 측정 도구 개발과 타당화" 한국과학교육학회 33 (33): 995-1006, 2013
18 Kim, S., "riting a dissertation wit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Communication Books 2012
19 Bandura, A., "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W.H. Freeman and Company 1999
20 Sherer, M., "The self-efficacy scale : Construction and validation" 51 (51): 663-671, 1982
21 Demirbas, M.,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cientist perception and scientific attitudes of science teacher candidates in Turkey : A case study" 4 (4): 565-576, 2009
22 Tark, M., "The relationships among science self-efficacy, science attitude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tud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1
23 Yu, M., "The relationship between gifted, potentially gifted and ordinary children in self 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school related adjustment" University of Incheon 2008
24 Noh, K., "The proper method of statistical analysis for dissertation" Hanbit 2019
25 Bal-Taştan, S., "The impacts of teacher’s efficacy and motivation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education among secondary and high school students" 14 (14): 2353-2366, 2018
26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s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 hall 1986
27 Bandura, A., "Self-evaluative and self-efficacy mechanisms governing the motivational effects of goal systems" 45 (45): 1017-1028, 1983
28 Schunk, D. H., "Self-efficacy and academic motivation" 26 (26): 207-231, 1991
29 Bandura, A.,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84): 191-215, 1977
30 Webb-Williams, J., "Science self-efficacy in the primary classroom : Using mixed methods to investigate sources of self-efficacy" 48 (48): 939-961, 2018
31 Ministry of Education(MOE)., "Science curriculum, 9"
32 Song, J., "SPSS/AMOS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Hakjisa 2011
33 Rust, J., "Modern psychometrics:The science of psychological assessment" Routledge 2014
34 Lent, R. W., "Mathematics self-efficacy : Sources and relation to science based career choice" 38 : 424-430, 1991
35 Keşan, C., "Mathematics and science self-efficacy resources as the predictor of academic success" 10 (10): 45-58, 2018
36 Lent, R. W., "Latent structures of the sources of mathematics self-efficacy" 49 : 292-308, 1996
37 Dalgety, J., "Exploring first-year science students’ chemistry self-efficacy" 4 (4): 97-116, 2006
38 Dawes, M. E., "Experimental evaluation of self-efficacy treatment on technical/scientific career outcomes" 28 (28): 87-99, 2000
39 Bandura, A., "Cultivating competence, self-efficacy, and intrinsic interest through proximal self-motivation" 41 (41): 586-598, 1981
40 Kim, A., "C onstruction a nd v alida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scale" 39 (39): 95-123, 2001
41 Kim, A., "Academic self-efficacy theory: Action research" Hakjisa 2007
42 김순식 ; 이용섭, "ARCS전략을 적용한 스토리텔링 과학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수업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8 (8): 227-239, 2015
43 Song, S., "A study on setting criteria for evaluat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012
44 Cha, J., "A Study for the general self-efficacy scale development" Ewha Womans University 1997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과서 학습 주제별 과학적 태도 하위 요소 분석 및 분석 활동의 교육적 효과 - ‘지구와 우주’ 영역 단원을 중심으로 -
학교 밖 과학 교육 기관으로서 ‘과학교육원’ 운영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분석
2015 개정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텍스트의 명제 연결에 대한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1 | 1.21 | 1.3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4 | 1.28 | 1.783 | 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