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허균의 한시 선집인 .國朝詩刪.에 대한 문헌적 검토로, 현전 이본을 조사하고 계열화 하여 .國朝詩刪.의 선본을 확인하고 앞 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제안한 것이다. 그동안 .國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285062
2014
Korean
151.52
KCI등재
학술저널
265-316(5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허균의 한시 선집인 .國朝詩刪.에 대한 문헌적 검토로, 현전 이본을 조사하고 계열화 하여 .國朝詩刪.의 선본을 확인하고 앞 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제안한 것이다. 그동안 .國朝...
이 논문은 허균의 한시 선집인 .國朝詩刪.에 대한 문헌적 검토로, 현전 이본을 조사하고 계열화 하여 .國朝詩刪.의 선본을 확인하고 앞 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제안한 것이다. 그동안 .國朝詩刪.에 대한 연구는 주로 목판본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이 목판본은 허균의 ‘원본’을 목판 간행자인 박태순이 재편집한 결과물이다. 따라서 허균의 .國朝詩 刪.을 바르게 읽어내기 위해서는 원본의 모습을 재구할 필요가 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실본 조사에 앞서 우선 허균이 남긴 .國朝詩 刪.과 관련된 기록들을 살펴서 ‘원본’의 모습을 알아보았다. 허균의 기 록을 근거로 하여 국내외 기관과 대학도서관 등에 흩어져있는 .國朝詩 刪.을 발굴, 검토하여 원본의 모습을 보여주는 이본들과 그렇지 않은 이본들을 ‘원본 계열’과 ‘목판본 계열’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그 결과 ‘허균의 .國朝詩刪.’ 연구는 원본 계열을 중심으로 재논의 되어야 하며, 특히 현재 완질로 전해지는 원본 계열 동국대본에 주목할 것을 제안하 였다. 한편, 지금까지 .國朝詩刪.과 관련된 연구 성과들이 목판본으로 진행된 것임을 감안하여 목판본과 원본이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해서도 정리해보았다. 이제 목판본 계열은 허균과 관련된 연구보다는 .國朝詩刪.의 유전과 목판 간행의 의의, 후인의 전대 문헌 가공에 대한 주제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ukjosisan(國朝詩刪)』was an anthology of Korean poems, complied by Gyosan Heo Gyun. He selected poems of the early and middle period of Joseon Dynasty and commented on them. This anthology of Korean poems received a lot of praise from writers...
『Gukjosisan(國朝詩刪)』was an anthology of Korean poems, complied by Gyosan Heo Gyun. He selected poems of the early and middle period of Joseon Dynasty and commented on them. This anthology of Korean poems received a lot of praise from writers of that time as the best selection in anthologies of Korean poems of Joseon Dynasty. However, since Heo Gyun was killed for treason, it was not able to be published for a long time. Instead, it was secretly spread in transcription. 88 years after the compilation by Heo Gyun, it was published on wood block by Donggye Park Tae-Soon. However, the problem was that the block book of 『Gukjosisan』was not the original anthology that Heo-Gyun compiled, but re-edited version of its publisher. Therefore, a study on 『Gukjosisan』 should have started from literature arrangement. However, existing studies were conducted with the block book because ``the original compilation`` by Heo Gyun was not found. However, I found some transcripts of the original 『Gukjosisan』 and found out that the original anthology was very different from the block book. As the groundwork for the study on 『Gukjosisan』by Heo Gyun, this study had a goal of searching for the best version of『Gukjosisan』by examining 『Gukjosisan』 in domestic and overseas institutes and college libraries. ``The original version`` was understood by reviewing records about 『Gukjosisan』 complied by Heo Gyun, and based on the records by Heo Gyun, a lot of 『Gukjosisan』 were studied and separated in copies of different version showing the original version and those of different version not showing it. In this process, I suggested carefully examining ``Yidaebon(利大本)`` that Heo Gyun possessed and a complete set of ``Donggukdaebon(東國大本)``. Moreover, problems of the block book of 『Gukjosisan』 which was addressed importantly in existing studies were discussed in comparison with transcripts of the original version. Since the block book was a lot different from the original anthology complied by Heo Gyun, it would be better for the block book to be used in a study on spread of 『Gukjosisan』rather than a study on ``Heo Gyun``.
김우옹(金宇翁)이 지은「남명선생행장(南冥先生行狀)」의 서사(敍事)에 대하여
면우(勉宇) 곽종석(郭鍾錫) 소찬(所撰) 남명묘지명(南冥墓誌銘)에 대한 소고(小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