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화도시 재생을 위한 문학콘텐츠 활용방안 -평택의 인문도시화와 박석수 문학-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Literary Content for Cultural City Regeneration - Urbanization of Humanities in Pyeongtaek and Literature by Park Suk-Soo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440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looked at ways to utilize Park Suk-soo literature to revive the cultural city of Pyeongtaek City, which is recently seen as a mid-sized c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irst, in Chapter 2, we looked at the aspects of “recording business of human beings and the use of literature space.” This is the excavation of Park Suk-soo literature and the utilization of the space in the work, which has the meaning of Pyeongtaek’s locality recording business and content development. Chapter 3 Storytelling-based ‘Experience and Empathy’ also suggested the revitalization of Park Seok-soo’s literary background or the creation of Park Suk-soo birthplace by utilizing the identity of the place through the story. This enables the humanities to be central to culture and local people. This discussion of the main building provides a foundation for Pyeongtaek City to be reborn as a cultural city based on humanities urbanization through the excavation of Park Suk-soo literature and the utilization of contents in re-lighting.
      번역하기

      The study looked at ways to utilize Park Suk-soo literature to revive the cultural city of Pyeongtaek City, which is recently seen as a mid-sized c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irst, in Chapter 2, we looked at the aspects of “recording busine...

      The study looked at ways to utilize Park Suk-soo literature to revive the cultural city of Pyeongtaek City, which is recently seen as a mid-sized c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irst, in Chapter 2, we looked at the aspects of “recording business of human beings and the use of literature space.” This is the excavation of Park Suk-soo literature and the utilization of the space in the work, which has the meaning of Pyeongtaek’s locality recording business and content development. Chapter 3 Storytelling-based ‘Experience and Empathy’ also suggested the revitalization of Park Seok-soo’s literary background or the creation of Park Suk-soo birthplace by utilizing the identity of the place through the story. This enables the humanities to be central to culture and local people. This discussion of the main building provides a foundation for Pyeongtaek City to be reborn as a cultural city based on humanities urbanization through the excavation of Park Suk-soo literature and the utilization of contents in re-light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수도권 중견 도시로 주목받는 ‘평택시’의 문화도시 재생을 위한 박석수 문학의 콘텐츠 활용 방안을 고찰해 보았다. 먼저 2장에서는 ‘인물의 기록화 사업과 문학의 공간의 활용’의 측면으로 살펴보았다. 이것은 박석수 문학에 대한 발굴과 작품 속 공간의 활용으로서 평택의 로컬리티 기록화 사업 및 콘텐츠 개발의 의미를 갖는다. 또한 3장 스토리텔링 기반의 ‘체험과 공감’에서는 이야기를 통한 장소의 정체성을 활용하여 박석수 문학의 배경 장소나 박석수 생가의 조성 등의 활성화를 제시하였다. 이것은 문화와 지역민들이 중심이 되는 인문도시화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박석수 문학의 발굴과 재조명의 콘텐츠 활용 방안은 평택시가 인문도시화를 바탕으로 문화도시로 재생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최근 수도권 중견 도시로 주목받는 ‘평택시’의 문화도시 재생을 위한 박석수 문학의 콘텐츠 활용 방안을 고찰해 보았다. 먼저 2장에서는 ‘인물의 기록화 사업과 문학의 공간의...

      본 연구는 최근 수도권 중견 도시로 주목받는 ‘평택시’의 문화도시 재생을 위한 박석수 문학의 콘텐츠 활용 방안을 고찰해 보았다. 먼저 2장에서는 ‘인물의 기록화 사업과 문학의 공간의 활용’의 측면으로 살펴보았다. 이것은 박석수 문학에 대한 발굴과 작품 속 공간의 활용으로서 평택의 로컬리티 기록화 사업 및 콘텐츠 개발의 의미를 갖는다. 또한 3장 스토리텔링 기반의 ‘체험과 공감’에서는 이야기를 통한 장소의 정체성을 활용하여 박석수 문학의 배경 장소나 박석수 생가의 조성 등의 활성화를 제시하였다. 이것은 문화와 지역민들이 중심이 되는 인문도시화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박석수 문학의 발굴과 재조명의 콘텐츠 활용 방안은 평택시가 인문도시화를 바탕으로 문화도시로 재생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명준, "한국문학과 문화콘텐츠" 청동거울 2005

      2 김효정, "한국공간디자인"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4

      3 "평택시청 홈페이지"

      4 공윤경, "창조성과 도시" 소명출판 101-119, 2013

      5 이영아, "우리나라 도시재생 논의에 대한 비판적 분석 2013~2018년 도시재생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한국공간환경학회 29 (29): 192-232, 2019

      6 김인경, "시대적 갈등에 대한 문학적 탐색과 성찰의 서사 - 박석수의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68) : 5-20, 2019

      7 최시한, "스토리텔링 어떻게 할 것인가" 문학과 지성사 2015

      8 강경숙, "송탄 출신 요절시인 박석수 전집 출간" 평택시민신문

      9 이문성, "박석수의 ⽣涯와 문학적 산실 平澤"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68 (68): 2009

      10 임봄, "박석수 시인 요절 19주기특별기획-평택이 낳은 천재시인 박석수 1" 평택시사신문

      1 김명준, "한국문학과 문화콘텐츠" 청동거울 2005

      2 김효정, "한국공간디자인"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4

      3 "평택시청 홈페이지"

      4 공윤경, "창조성과 도시" 소명출판 101-119, 2013

      5 이영아, "우리나라 도시재생 논의에 대한 비판적 분석 2013~2018년 도시재생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한국공간환경학회 29 (29): 192-232, 2019

      6 김인경, "시대적 갈등에 대한 문학적 탐색과 성찰의 서사 - 박석수의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68) : 5-20, 2019

      7 최시한, "스토리텔링 어떻게 할 것인가" 문학과 지성사 2015

      8 강경숙, "송탄 출신 요절시인 박석수 전집 출간" 평택시민신문

      9 이문성, "박석수의 ⽣涯와 문학적 산실 平澤"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68 (68): 2009

      10 임봄, "박석수 시인 요절 19주기특별기획-평택이 낳은 천재시인 박석수 1" 평택시사신문

      11 임봄, "박석수 묘, 올해는 평택으로 이전해야" 평택시사신문

      12 장은석, "문화콘텐츠와 인문학적 상상력" 글누림 2005

      13 주정민, "문화도시의 도시재생과 문화콘텐츠" 전남대학교 출판부 120-125, 2006

      14 임영봉, "땅은 글이 되고 물은 시가 되고" 도서출판 한울 2006

      15 장해라, "드마라 테마파크 콘텐츠 기확에 관한 연구" 인문콘텐츠학회 (7) : 105-134, 2006

      16 정성훈, "‘창조도시’와 ‘문화도시’에 대한 인문적 비판"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3 (23): 385-408, 2012

      17 이상미, "2018년 박석수 문학예술제 “박석수를 말하다” 개최" 평택시민신문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