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화의 급진전과 함께, 내외부 기술정보와 건설경영-통계정보의 효과적인 관리가 절실하게 요청되고 있으며, 이의 한 방편으로 주택전문정보센터의 설립-운영이 필요하다. 공사의 특수성...
정보화의 급진전과 함께, 내외부 기술정보와 건설경영-통계정보의 효과적인 관리가 절실하게 요청되고 있으며, 이의 한 방편으로 주택전문정보센터의 설립-운영이 필요하다. 공사의 특수성과 이용 요구되는 정보의 특화가 이루어지는 점을 고려하여, 전문 정보센터의 정의와 중장기계획, 추진전략을 설정하여 센터를 설립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였다. 공사 내 정보관리 현 황 및 보완되어야 할 기능들을 도출하고, 국내-외 정보센터의 유형 및 특성 분석을 통하여 공사에 적합한 정보센터의 시사점을 찾아낸다. 연구의 결과로 1. 주택전문정보센터의 정의, 기능, 업무, 조직 등을 설정, 2.주택전문정보센서 중장기계획 및 단계별 추진방안의 수립, 3. 정보센터에서 수행해야 할 업무의 진행 프로세스 정립 4. 향후 '주택전문정보센터' 설립의 기반을 구축하기위해 국내 건설관련 정보원 (약 만 건)과 해외건설관련 데이터베이스(200여건)와 주요 인터넷사이트(500여건)의 정보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공사의 기술 및 경영-통계정보의 활용을 위한 창구로서, 주택공사의 축적된 주택관련 정보의 주도권 유지와 21세기 정보화 사회에서의 정보영역사업화의 기초가 되는 주택정보센터의 기틀을 설정하였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