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급속하게 고령사회로 편입되면서 노인 우울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노인 우울은 치매 가능성과 사망률 증가에 영향을 미치므로 조기 진단과 다양한 처방이 시급하다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881128
2015
-
500
학술저널
45-45(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는 급속하게 고령사회로 편입되면서 노인 우울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노인 우울은 치매 가능성과 사망률 증가에 영향을 미치므로 조기 진단과 다양한 처방이 시급하다고...
우리나라는 급속하게 고령사회로 편입되면서 노인 우울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노인 우울은 치매 가능성과 사망률 증가에 영향을 미치므로 조기 진단과 다양한 처방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우울증은 정상인에 비해 긍정 정서는 짧게, 부정 정서는 더 강하게 오랫동안 경험함으로써 회복탄력성이 낮아진다(Henriques & Davidson, 1991; Davidson, 2000). 긍정 및 부정 정서는 각각 좌뇌의 접근적 행동 성향(BAS)과 우뇌의 회피적 행동 성향(BIS)과 연관되는데, 우울증에서는 좌뇌 비활성 혹은 우뇌 과활성이 나타날 수 있다(Davidson, Jackson, & Kalin, 2000). 좌뇌 활성인 사람들은 동일한 중재법이라도 더 큰 효과를 보이는데, 이는 긍정적이며 적극적인 태도 때문일 수 있다(김은미, 2013). 전두엽 알파 비대칭은 우울증과 정상인의 차이를 보여주는 상태 (trait) 지표일 가능성이 제시되어 왔다(최승원, 제갈은주, 안창일, 2008; Stewart, Bismark, Towers, et al., 2010). 우울증의 다양한 하위 증상이 각 주파수 대역 비대칭과 연관될 수 있으므로, 알파 비대칭 이외에도 베타 비대칭 또는 세타 비대칭과 우울증간의 관련성에 대한 가능성도 제시되고 있다(정규희, 이준석, 이장한, 2008). 본 연구에서는 임상적 우울증 환자가 아닌 일반 노인의 우울 수준과 전전두엽 알파 비대칭 및 베타 이어느 정도 관련이 있는지 분석해 보고자 한다.
Brain activity during transient anger in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y
운전중의 스트레스 자극이 타액알파아밀라제와 생리적변화에 미치는 상관관계
수면부족 상태에서 천연 향의 종류에 따른 운전 수행능력의 차이 탐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