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산시 고령인구의 공간적 분포 변화 = Changes i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in Busa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910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의 고령인구가 급속하게 증가해왔지만, 그 변화의 패턴이 균일한 것은 아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부산시 고령인구의 공간적 분포가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를 구명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구성비와 노령화지수를 통해 고령인구의 구·군별 분포를 살펴본 결과, 과거에는 강서구와 기장군의 인구고령화 속도가 빨랐던 반면, 최근에는 중구와 동구, 서구 지역에서 인구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둘째, 고령인구비율을 분석한 결과 고령인구는 주로 부산시의 도심지역 또는 외곽지역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도심과 외곽지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지역에서는 고령인구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아졌다.
      번역하기

      우리나라의 고령인구가 급속하게 증가해왔지만, 그 변화의 패턴이 균일한 것은 아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부산시 고령인구의 공간적 분포가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를 구명하는 것이다. 주요 ...

      우리나라의 고령인구가 급속하게 증가해왔지만, 그 변화의 패턴이 균일한 것은 아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부산시 고령인구의 공간적 분포가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를 구명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구성비와 노령화지수를 통해 고령인구의 구·군별 분포를 살펴본 결과, 과거에는 강서구와 기장군의 인구고령화 속도가 빨랐던 반면, 최근에는 중구와 동구, 서구 지역에서 인구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둘째, 고령인구비율을 분석한 결과 고령인구는 주로 부산시의 도심지역 또는 외곽지역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도심과 외곽지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지역에서는 고령인구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아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the elderly population is increasing rapidly in Korea, the pattern of change is far from uniform. This research examined how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has been changed in Busan, Korea.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pace of the population aging was fast in the outer city regions such as Gangseo-gu, Gijang-gun, but recently it is faster in the inner city regions such as Jung-gu, Dong-gu, and Seo-gu. Second, according to analysis of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it shows that the elderly population primarily resides in the inner and outer regions of the city, and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has decreased relatively in the middle regions of the city.
      번역하기

      Although the elderly population is increasing rapidly in Korea, the pattern of change is far from uniform. This research examined how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has been changed in Busan, Korea.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

      Although the elderly population is increasing rapidly in Korea, the pattern of change is far from uniform. This research examined how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has been changed in Busan, Korea.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pace of the population aging was fast in the outer city regions such as Gangseo-gu, Gijang-gun, but recently it is faster in the inner city regions such as Jung-gu, Dong-gu, and Seo-gu. Second, according to analysis of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it shows that the elderly population primarily resides in the inner and outer regions of the city, and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has decreased relatively in the middle regions of the c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통계청, "주민등록인구통계"

      2 김태순, "전북도의 출산률 저하와 인구 고령화에 따른 연구" 전북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2005

      3 안종범, "저출산·고령화 시대의 재정정책 과제" 2010

      4 소현정, "저출산 고령화 사회의 영향과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2006

      5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2010

      6 박삼옥, "서울의 인구고령화와 고령자 고용의 지역적 특성" 대한지리학회 43 (43): 337-357, 2008

      7 김수남, "부산시 인구고령화의 공간적 분포와 특성" 한국도시행정학회 18 (18): 23-48, 2005

      8 정환영, "대전광역시 노령화 지구의 공간적 분포 패턴" 6 (6): 1-19, 2000

      9 고상임, "대전광역시 고령화의 지역적 패턴" 公州大學校 大學院 1998

      10 김민일, "대구시 고령자의 공간적 분포와 취업특성"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1 통계청, "주민등록인구통계"

      2 김태순, "전북도의 출산률 저하와 인구 고령화에 따른 연구" 전북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2005

      3 안종범, "저출산·고령화 시대의 재정정책 과제" 2010

      4 소현정, "저출산 고령화 사회의 영향과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2006

      5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2010

      6 박삼옥, "서울의 인구고령화와 고령자 고용의 지역적 특성" 대한지리학회 43 (43): 337-357, 2008

      7 김수남, "부산시 인구고령화의 공간적 분포와 특성" 한국도시행정학회 18 (18): 23-48, 2005

      8 정환영, "대전광역시 노령화 지구의 공간적 분포 패턴" 6 (6): 1-19, 2000

      9 고상임, "대전광역시 고령화의 지역적 패턴" 公州大學校 大學院 1998

      10 김민일, "대구시 고령자의 공간적 분포와 취업특성"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11 김재열, "노인의 사회참여를 위한 고령 친화적지역사회 모델: 충북 음성군을 중심으로" 4 : 29-47, 2008

      12 나용희, "노인의 고용촉진방안에 관한 연구 :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건양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5

      13 손승호, "고령화의 지역적 전개와 노인주거복지시설의 입지" 한국도시지리학회 13 (13): 17-29, 2010

      14 김제안, "고령화사회가 지역의 산업구조에 미치는 영향 분석- 광주ㆍ전남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산업경제학회 18 (18): 213-230, 2005

      15 박경자, "고령화 사회의 노인일자리 창출 방안 : 구미시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16 김용원, "고령자 고용촉진방안에 관한 연구 :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경제통상학회 26 (26): 107-137, 2008

      17 김성순, "고령사회에 대비한 노인복지법의 문제점과 개정방향" 15 : 7-42,

      18 윤병철, "고령사회 대구지역 실버산업의 전략과 전망" 7 : 89-104, 2008

      19 홍기석, "강원도 인구고령화의 경제적 파급효과 및 시사점" 19 (19): 89-128, 2007

      20 김진기, "강원도 고령친화산업 활성화 방안" 강원발전연구원 2006

      21 김숙, "강원도 고령가구의 주거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3-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지리학연구 -> 국토지리학회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리교육학회 -> 국토지리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2 1.5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