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상법상 주식양도제한규정에 대한 재검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3749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필자는 이 논문에서 상법상 주권발행제도의 폐지를 주장하면서 동시에 권리주양도 제한규정과 주권발행 전 주식양도 제한규정의 폐지를 주장한다. 상법상 주식양도는 유가증권이 부존재한다면 지명채권양도의 방법에 의하고, 유가증권이 존재한다면 그 유가증권을 교부함으로써 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기존의 계약법과 유가증권법리에 적합한 해석으로서 아무런 문제가 없다. 그런데 상법은 권리주의 양도를 제한하고 주권발행 전 주식양도를 제한한다. 권리주와 주권발행 전 주식양도를 제한하는 이유는 기술적인 이유 뿐이고, 그 외에 제한할 절대적으로 타당한 이유는 찾을 수 없다. 오히려 주권발행 전 주식양도를 금함으로써 과거 회사를 팔아먹은 자가 도로 회사를 되찾는다고 하는 엉뚱한 목적을 위하여 이 규정이 악용되는 부작용만 발생하였다. 주식양도부분 중 주권발행 전 주식양도 제한 부분은 불필요한 규제로 많은 판례를 양산하는 원인이 되었다. 입법례도 한국과 일본에만 있다. 일본의 경우는 주권불발행을 윈칙으로 하면서 정관으로 주권을 발행할 수 있게 하였으며, 이 경우에는 지체없이 주권을 발행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일본 회사법 제215조 제1항). 또한 주권을 발행한 이상 주권을 교부하지 아니하면 주식양도의 효력이 발생하지 아니한다고 규정한다(일본 회사법 제128조 제1항). 주권발행 전 주식양도는 주권발행회사에 대한 관계에서는 당사자 간에도 효력이 발생하지 아니하지만(일본회사법 제128조 제2항), 물론 당사자 간에는 효력이 있다고 해석된다. 다만, 법원은 회사가 주권발행을 부당하게 지체하고 있는 때에는 주주가 의사표시에 의하여 주식을 양도하고 명의개서를 요구한 경우, 회사는 신의칙에 비추어 이를 거절할 수 없다고 한다. 우리처럼 6개월의 기준을 정해두고 있지 않으며 해석에 맡기고 있다. 일본과 비교하면 일본은 주권발행 전 주식양도는 전면 금지하는 데 비하여 한국 상법은 6개월 후에는 양도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다르다. 필자는 일본법을 따라가자는 것이 아니라, 6개월 전후를 불문하고 주권발행 전 주식양도 금지 자체를 폐지하자는 것이다.
      번역하기

      필자는 이 논문에서 상법상 주권발행제도의 폐지를 주장하면서 동시에 권리주양도 제한규정과 주권발행 전 주식양도 제한규정의 폐지를 주장한다. 상법상 주식양도는 유가증권이 부존재한...

      필자는 이 논문에서 상법상 주권발행제도의 폐지를 주장하면서 동시에 권리주양도 제한규정과 주권발행 전 주식양도 제한규정의 폐지를 주장한다. 상법상 주식양도는 유가증권이 부존재한다면 지명채권양도의 방법에 의하고, 유가증권이 존재한다면 그 유가증권을 교부함으로써 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기존의 계약법과 유가증권법리에 적합한 해석으로서 아무런 문제가 없다. 그런데 상법은 권리주의 양도를 제한하고 주권발행 전 주식양도를 제한한다. 권리주와 주권발행 전 주식양도를 제한하는 이유는 기술적인 이유 뿐이고, 그 외에 제한할 절대적으로 타당한 이유는 찾을 수 없다. 오히려 주권발행 전 주식양도를 금함으로써 과거 회사를 팔아먹은 자가 도로 회사를 되찾는다고 하는 엉뚱한 목적을 위하여 이 규정이 악용되는 부작용만 발생하였다. 주식양도부분 중 주권발행 전 주식양도 제한 부분은 불필요한 규제로 많은 판례를 양산하는 원인이 되었다. 입법례도 한국과 일본에만 있다. 일본의 경우는 주권불발행을 윈칙으로 하면서 정관으로 주권을 발행할 수 있게 하였으며, 이 경우에는 지체없이 주권을 발행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일본 회사법 제215조 제1항). 또한 주권을 발행한 이상 주권을 교부하지 아니하면 주식양도의 효력이 발생하지 아니한다고 규정한다(일본 회사법 제128조 제1항). 주권발행 전 주식양도는 주권발행회사에 대한 관계에서는 당사자 간에도 효력이 발생하지 아니하지만(일본회사법 제128조 제2항), 물론 당사자 간에는 효력이 있다고 해석된다. 다만, 법원은 회사가 주권발행을 부당하게 지체하고 있는 때에는 주주가 의사표시에 의하여 주식을 양도하고 명의개서를 요구한 경우, 회사는 신의칙에 비추어 이를 거절할 수 없다고 한다. 우리처럼 6개월의 기준을 정해두고 있지 않으며 해석에 맡기고 있다. 일본과 비교하면 일본은 주권발행 전 주식양도는 전면 금지하는 데 비하여 한국 상법은 6개월 후에는 양도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다르다. 필자는 일본법을 따라가자는 것이 아니라, 6개월 전후를 불문하고 주권발행 전 주식양도 금지 자체를 폐지하자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uthor, in this thesis argues for the abolishment of the policies of issuing share certificates under Korean commercial law, and at the same time argues for the removal of clauses that limit the transfer of rights or the transfer of rights before the issuance of share certificates. Transfer of shares under commercial law is done by the transfer of designated bonds if there are no existing certificates. If there are certificates, then the transfer occurs through distribution of such certificates. This does not pose an issue as it is an interpretation in line with existing contract law and commercial paper law. However, the commercial code limits the transfer of share rights as well as the transfer of shares before the issuance of share certificates. The reason for the latter is only technical, and there are no absolute rationale that can justify such a policy. Rather, the banning the transfer of shares before the issuance of share certificates led to some side effects such as those having sold off the company re-purchasing his firm. The regulations on limiting the transfer of shares before the issuance of share certificates are unnecessary and have only caused many case rulings. Such cases of legislation can also be found only in Korea or Japan. As for Japan, the principle is not to issue a share certificate, but certificates can be issued under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In such a case, it is stipulated that the share certificate be issued immediately without delay. (Clause 1, Article 215 of the Japanese Corporation Law). In addition, if certificates are not distributed after issuance, the transfer of shares does not take effect (Clause 1 of Article 128 of Japanese Corporation Law).The transfer of shares before the issuance of share certificates does not take effect even in terms of the relation with the issuing company (Clause 2, Article 128 of Japanese Corporation Law), but of course is interpreted as effective between the parties directly involved in the transaction. However, the court, when a corporation delays the issuance of share certificates without any justifiable reason, and when a shareholder, through his expression of will, requests a change in the register after transferring his shares, the company, cannot deny this under good principle. There is no time limit such as the 6 month-long window in Korea and each case is left for interpretation. Compared to Japan, while the transfer of shares before issuing certificates is completely banned in Japan, in Korea the transfer can be made after 6 months. The author is not suggesting that the Korean code simply follow the Japanese law, but to abolish the clause prohibiting the transfer of shares before issuance of certificates, no matter whether it is before or after 6 months.
      번역하기

      The author, in this thesis argues for the abolishment of the policies of issuing share certificates under Korean commercial law, and at the same time argues for the removal of clauses that limit the transfer of rights or the transfer of rights before ...

      The author, in this thesis argues for the abolishment of the policies of issuing share certificates under Korean commercial law, and at the same time argues for the removal of clauses that limit the transfer of rights or the transfer of rights before the issuance of share certificates. Transfer of shares under commercial law is done by the transfer of designated bonds if there are no existing certificates. If there are certificates, then the transfer occurs through distribution of such certificates. This does not pose an issue as it is an interpretation in line with existing contract law and commercial paper law. However, the commercial code limits the transfer of share rights as well as the transfer of shares before the issuance of share certificates. The reason for the latter is only technical, and there are no absolute rationale that can justify such a policy. Rather, the banning the transfer of shares before the issuance of share certificates led to some side effects such as those having sold off the company re-purchasing his firm. The regulations on limiting the transfer of shares before the issuance of share certificates are unnecessary and have only caused many case rulings. Such cases of legislation can also be found only in Korea or Japan. As for Japan, the principle is not to issue a share certificate, but certificates can be issued under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In such a case, it is stipulated that the share certificate be issued immediately without delay. (Clause 1, Article 215 of the Japanese Corporation Law). In addition, if certificates are not distributed after issuance, the transfer of shares does not take effect (Clause 1 of Article 128 of Japanese Corporation Law).The transfer of shares before the issuance of share certificates does not take effect even in terms of the relation with the issuing company (Clause 2, Article 128 of Japanese Corporation Law), but of course is interpreted as effective between the parties directly involved in the transaction. However, the court, when a corporation delays the issuance of share certificates without any justifiable reason, and when a shareholder, through his expression of will, requests a change in the register after transferring his shares, the company, cannot deny this under good principle. There is no time limit such as the 6 month-long window in Korea and each case is left for interpretation. Compared to Japan, while the transfer of shares before issuing certificates is completely banned in Japan, in Korea the transfer can be made after 6 months. The author is not suggesting that the Korean code simply follow the Japanese law, but to abolish the clause prohibiting the transfer of shares before issuance of certificates, no matter whether it is before or after 6 month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언
      • Ⅱ. 주권발행의 강제와 주권교부에 의한 주식양도의 강제
      • Ⅲ. 권리주 양도의 제한
      • Ⅳ. 주권발행 전의 주식양도 제한
      • [국문초록]
      • Ⅰ. 서언
      • Ⅱ. 주권발행의 강제와 주권교부에 의한 주식양도의 강제
      • Ⅲ. 권리주 양도의 제한
      • Ⅳ. 주권발행 전의 주식양도 제한
      • Ⅳ. 결어
      • 參考文獻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철송, "회사법강의(제20판)" 박영사 2012

      2 임재연, "회사법Ⅰ" 2013

      3 최준선, "회사법[제10판]" 삼영사 2015

      4 김정호, "회사법" 법문사 2015

      5 이기수, "회사법" 2012

      6 임홍근, "회사법" 2002

      7 강위두, "회사법" 2002

      8 권기범, "현대회사법론" 2012

      9 곽윤직, "채권총론" 1983

      10 윤영신, "주식회사법 대계Ⅰ" 2013

      1 이철송, "회사법강의(제20판)" 박영사 2012

      2 임재연, "회사법Ⅰ" 2013

      3 최준선, "회사법[제10판]" 삼영사 2015

      4 김정호, "회사법" 법문사 2015

      5 이기수, "회사법" 2012

      6 임홍근, "회사법" 2002

      7 강위두, "회사법" 2002

      8 권기범, "현대회사법론" 2012

      9 곽윤직, "채권총론" 1983

      10 윤영신, "주식회사법 대계Ⅰ" 2013

      11 장경찬, "주식회사법 대계Ⅰ" 2013

      12 김홍기, "주식의 이중양도와 명의개서의 효력 - 대상판결 : 대법원 2014. 4. 30. 선고 2013다99942 판결 -" 한국상사법학회 34 (34): 43-79, 2015

      13 최기원, "주식발행전 주식양도의 효력 및 대항요건" 1 : 1996

      14 이성웅, "주권발행전 주식의 유통성" 법학연구소 19 (19): 289-317, 2011

      15 정진세, "주권발행전 주식매매의 대항요건 - 대법원 2006.9.14. 선고 2005다45537 판결[주주명부명의개서 이행]의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증권법학회 9 (9): 175-210, 2008

      16 이미현, "주권발행 전 주식의 이중양도 - 대법원 2014.4.30. 선고 2013다99942 판결 -" 법학연구소 8 (8): 21-56, 2015

      17 최준선, "어음․수표법" 2015

      18 최기원, "신회사법론" 2012

      19 박상조, "신회사법" 2000

      20 정희철, "상법학원론(상)" 1989

      21 윤성승, "상법상 주식양도 제한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상사판례학회 25 (25): 145-172, 2012

      22 정찬형, "상법상 각 법률조문 상호간의 상충에 관한 문제점" 37 (37): 1992

      23 최준선, "상법사례연습(상) 제14판" 삼조사 2015

      24 정찬형, "상법강의(상)(제15판)" 박영사 2012

      25 채이식, "상법강의(상)" 1996

      26 정동윤, "상법(상)" 2012

      27 江頭憲治郞, "株式會社法" 2015

      28 龍田節, "會社法大要" 2007

      29 河本一郞, "日本の會社法"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89 0.843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