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혁신역량이 지역경제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Innovative Capacity on Regional Economic Perform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912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에서는 지역혁신역량의 주요 요인을 추출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반영하는 지표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요인분석결과, 지역혁신역량의 요인은 ...

      연구에서는 지역혁신역량의 주요 요인을 추출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반영하는 지표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요인분석결과, 지역혁신역량의 요인은 혁신자원/투입요인(제1요인), 혁신환경/인프라요인(제2요인), 협력/연계요인(제3요인)으로 구분되었다. 3개 요인들의 요인점수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관한 지표(신설법인, 취업자 수)를 이용하여 패널 모형을 구축한 결과, 혁신역량 요인들은 모두 양(+)의 유의미한 값을 보였다. 또한 해당 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한 지표들은 혁신투입요인, 협력요인, 혁신인프라요인 순으로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regional innovative capacity and to analyze the effects on the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including newly-established corporation and job cre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regional innovative capacity and to analyze the effects on the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including newly-established corporation and job cre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the 14 variables were grouped into 3 factors, i.e. innovative input, infrastructure, and linkage. Second, the panel models were developed using the above factor scores and economic performance variables such as the number of newly-established corporation and employees. As a result, innovative capacity factors positively contributed to the newlyestablished corporation and job creation. The innovative input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determining the regional economic performance, followed by linkage and infrastructure. This study suggests several policy implications for the reinforcement of innovative capacity and regional competitiven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지역혁신역량에 대한 선행연구
      • 3. 지역혁신역량의 요인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지역혁신역량에 대한 선행연구
      • 3. 지역혁신역량의 요인
      • 4. 혁신역량과 지역경제 활성화의 관계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영수, "한국의 지역혁신역량에 대한 실증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9 (19): 127-152, 2005

      2 김진수, "한국의 기초자치단체별 혁신역량 비교연구" 금융지식연구소 5 (5): 29-57, 2007

      3 안재광, "한국 산업 클러스터에서 기업 간 네트워크 구조와 지역 혁신역량의 역할: 기업수준 분석" 한국생산관리학회 25 (25): 23-45, 2014

      4 허재용, "퍼지다기준 의사결정기법을 이용한 지역혁신역량지수의 도출" 기술경영경제학회 16 (16): 1-21, 2008

      5 김병근, "충남 북부지역의 지역혁신역량과 기업의 기술혁신활동" 한국기술혁신학회 12 (12): 265-289, 2009

      6 김의준, "창조산업의 도시 고용 효과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 21 (21): 13-34, 2009

      7 박경현, "창조산업 집적현황과 지역연계전략" 국토연구원 2013

      8 한상완, "창조경제의 성공은 창조산업 육성부터-국내 창조산업의 신성장동력 가능성 평가" 현대경제연구원 13-25, 2013

      9 미래창조과학부, "창조경제 실현계획-창조경제 생태계 조성방안 발표" 2013

      10 김경희, "지역혁신클러스터를 위한 지역혁신역량과 지역산업성과간의 실증 및 비교분석" 30 (30): 27-45, 2005

      1 오영수, "한국의 지역혁신역량에 대한 실증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9 (19): 127-152, 2005

      2 김진수, "한국의 기초자치단체별 혁신역량 비교연구" 금융지식연구소 5 (5): 29-57, 2007

      3 안재광, "한국 산업 클러스터에서 기업 간 네트워크 구조와 지역 혁신역량의 역할: 기업수준 분석" 한국생산관리학회 25 (25): 23-45, 2014

      4 허재용, "퍼지다기준 의사결정기법을 이용한 지역혁신역량지수의 도출" 기술경영경제학회 16 (16): 1-21, 2008

      5 김병근, "충남 북부지역의 지역혁신역량과 기업의 기술혁신활동" 한국기술혁신학회 12 (12): 265-289, 2009

      6 김의준, "창조산업의 도시 고용 효과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 21 (21): 13-34, 2009

      7 박경현, "창조산업 집적현황과 지역연계전략" 국토연구원 2013

      8 한상완, "창조경제의 성공은 창조산업 육성부터-국내 창조산업의 신성장동력 가능성 평가" 현대경제연구원 13-25, 2013

      9 미래창조과학부, "창조경제 실현계획-창조경제 생태계 조성방안 발표" 2013

      10 김경희, "지역혁신클러스터를 위한 지역혁신역량과 지역산업성과간의 실증 및 비교분석" 30 (30): 27-45, 2005

      11 김헌민, "지역혁신역량이 지식기반산업 성장에 미치는 영향분석" 국가정책연구소 27 (27): 1-19, 2013

      12 정재진, "지역혁신역량에 따른 혁신기업의 입지와 성과에 관한 실증 분석" 정부학연구소 14 (14): 171-200, 2008

      13 나주몽, "지역혁신역량과 기업의 기술개발성과에관한 연구: 제조업을 중심으로" 38 (38): 51-67, 2006

      14 박동배, "지역별 혁신역량 분석, 17"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3

      15 유병규, "지식경제현안: 지역별 지식혁신능력 현황과 제고방안" 현대경제연구원 2001

      16 유병규, "지식경제현안: 지역별 지식혁신능력 추이와 클러스터 전략" 현대경제연구원 2004

      17 왕비비, "중소수출기업의 무형자산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무역학회 37 (37): 99-120, 2012

      18 윤정원, "중국 지역간 기술혁신역량 격차에 관한 연구" 국제지역연구센터 17 (17): 231-258, 2014

      19 김용희, "우리나라 지역 과학기술역량 진단과 시사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0

      20 이순배, "기초생활권 지역경제 활성화사업의 효과분석 -소득발생과 고용창출의 관점에서-" 한국재정정책학회 13 (13): 81-112, 2011

      21 박동배, "광역경제권별 지역혁신역량 분석, 6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0

      22 김왕동, "과학기술혁신을 통한 창조경제와 국민행복의 선순환: 관점 및 사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3

      23 이희연, "고급통계분석론-이론과 실습" 문우사 2012

      24 유병규, "경제주평: 한국의 창조경제역량지수 개발과 평가" 현대경제연구원 2013

      25 노승철, "가구 부문의 에너지 소비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8 (48): 295-312, 2013

      26 野村総合研究所, "平成23年度知的財産権ワーキング·グループ等侵害対策強化事業報告書(クリエイティブ産業に係る知的財産権等の侵害実態調査及び創作環境等の整備のための調査)" 2012

      27 金正洪, "地域革新力量과 地域産業成果間의 實證分析" 한국경제학회 51 (51): 4-121, 2003

      28 Cooke, P, "The role of governance in a globalized world" Routledge 2004

      29 Furman, J. L, "The determinants of national innovative capacity" 31 (31): 899-933, 2002

      30 Eustace, C, "The Intangible Economy Impact and Policy Issues" European Commission, Enterprise Directorate 2000

      31 DCMS, "The Creative industries mapping document 2001" HMSO 2001

      32 Howkins, J, "The Creative Economy: How people make money from ideas" Penguin 2001

      33 Porter, M. E,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Nations" Free Press 1990

      34 민인식, "STATA 고급 패널데이터 분석" 지필미디어 2012

      35 Cooke, P, "Regional Innovation Systems, Clusters, and the Knowledge Economy" 10 (10): 945-974, 2001

      36 Camagni, R, "Regional Competitiveness and Territorial Capital: A Conceptual Approach and Empirical Evidence from the European Union" 47 (47): 1383-1402, 2013

      37 Nelson, R. R, "National Innovation Systems: A Comparative Analysis"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38 Surinach, J, "Introduction: intangible assets and regional economic growth" 46 (46): 1277-1281, 2012

      39 Park, Sam Ock, "Interactions of corporate and urban systems: accumulation of intangible assets" 2014

      40 WIPO, "Guide on Surveying the Economic Contribution of the Copyright Industries" WIPO 2003

      41 Romer, P. M, "Endogenous technological change" 98 (98): 71-102, 1990

      42 Park, Sam Ock, "Dynamics of Economic Spaces in the Global Knowledgebased Economy: Theory and East Asian Cases" Routledge 1-32, 2015

      43 DCMS, "Creative Industries Economic Estimates" Department for Culture, Media and Sport 2014

      44 DCMS, "Creative Industries Economic Estimates" Department for Culture, Media and Sport 2011

      45 UNDP, "Creative Economy Report 2010" UNCTAD 2010

      46 DCMS, "Creative Britain: New Talents for the New Economy" Department for Culture, Media and Sport 2008

      47 U. S. Government, "A Strateg y for American Innovation:Securing Our Economic Growth and Prosperity, National Economic Council, Council of Economic Advisers, and Office of Science &Technology Policy" 2011

      48 미래창조과학부, "2012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 2012

      49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4 정보격차해소백서"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4-01-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 Society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4 1.14 1.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1.13 1.701 0.5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