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IAPS 자극에 대한 한국인의 정서 반응을 측정하여 평가하는데 있다. 특히 Lang 등(2005)이 제작한 956장의 IAPS 그림자극 전체에 대한 반응을 측정하여 IAPS 자극에 대한 한국인 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9581833
2009
Korean
한국인 IAPS ; 각성 ; 정서가 ; 문화차 ; 성차 ; Korean IAPS ; arousal ; emotional valence ; cultural difference ; sex difference
181.305
KCI등재
학술저널
183-195(13쪽)
2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IAPS 자극에 대한 한국인의 정서 반응을 측정하여 평가하는데 있다. 특히 Lang 등(2005)이 제작한 956장의 IAPS 그림자극 전체에 대한 반응을 측정하여 IAPS 자극에 대한 한국인 정...
이 연구의 목적은 IAPS 자극에 대한 한국인의 정서 반응을 측정하여 평가하는데 있다. 특히 Lang 등(2005)이 제작한 956장의 IAPS 그림자극 전체에 대한 반응을 측정하여 IAPS 자극에 대한 한국인 정서 반응의 평가 척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IAPS 자극에 대한 한국인의 평가 결과를 Lang 등(2005)이 제시한 미국인의 평가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두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IAPS 자극에 대한 각성과 정서가 반응 모두에서 한국인과 미국인은 서로 높은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세부적인 측면에서 집단 간 차이가 뚜렷하게 드러났는데, 한국인이 미국인에 비해 IAPS 자극에 대해 더 높은 각성 반응과 덜 극단적인 정서반응을 보였다. 또한 성별에 따른 차이를 비교한 결과, 두 나라 모두 여성이 남성에 비해 높은 각성 반응을 보였다는 점은 일치했지만, 정서가 반응에 있어서는 한국 여성은 부정적으로, 미국 여성은 극단적으로 반응했다. 이 연구 결과는 정서 반응에 있어서 문화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존재함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IAPS 자극을 활용한 연구에서 이 요인들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made Korean IAPS through measuri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emotional response(arousal and emotional valence) about the whole 956 IAPS pictures made by Lang et al.(2005). In addition, we examined the emotional difference between American and Kor...
We made Korean IAPS through measuri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emotional response(arousal and emotional valence) about the whole 956 IAPS pictures made by Lang et al.(2005). In addition, we examined the emotional difference between American and Korean by comparing the response of original American IAPS and those of Korean IAPS.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response of arousal and emotional valence in Korean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ose in American respectively. In details, two groups showed differences as well as similarities. Korean showed higher arousal response than American, but in both groups women showed higher arousal response than men. When examining the emotional valence of positive, neutral, and negative stimuli categorized by American IAPS, Korean showed more modest emotional valence than American, and this group difference was the same in both men and women. In particular, Korean women showed more negative emotional valence than Korean men, but American women showed more extreme emotional valence than American me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are some cultural and sex differences in the emotional response, and that researchers have to consider them when studying with IAPS stimuli.
참고문헌 (Reference)
1 민경환, "성․세대․성격 유형에 따른 정서 반응 양식의 차이" 12 : 119-140, 1998
2 석현정, "사진 이미지의 색조 변화에 따른 감성적 반응연구" 한국디자인학회 20 (20): 229-238, 2007
3 조긍호, "문화유형과 정서의 차이:한국인의 정서 이해를 위한 시론" 6 : 1-43, 1997
4 이경화, "국제정서사진체계를 사용하여 유발된 정서의 측정: 비교문화적 타당성 연구" 220-223, 1997
5 Fischer, A. H, "relation between gender and emotions in different cultures. In Gender and emotion: Social psychology perspectiv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71-94, 2000
6 Feldman,L.A, "Valence Focus and Arousal Focus: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Structure of Affective Experience" 69 : 153-166, 1995
7 Bradley, M. M, "The 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IAPS) in the Study of Emotion and Attention. In Handbook of emotion elicitation and assessement" Oxford University Press. 29-46, 2005
8 Delplanque, S, "Spatial frequencies or emotional effects?: A systematic measure of spatial frequencies for IAPS pictures by a discrete wavelet analysis" 165 : 144-150, 2007
9 Nolen_Hoeksema,S, "Sex differences in unipolar depression: Evidence and theory" 101 : 259-282, 1987
10 Allen, J. G, "Sex differences in emotionality: A multidimensional approach" 29 : 711-722, 1976
1 민경환, "성․세대․성격 유형에 따른 정서 반응 양식의 차이" 12 : 119-140, 1998
2 석현정, "사진 이미지의 색조 변화에 따른 감성적 반응연구" 한국디자인학회 20 (20): 229-238, 2007
3 조긍호, "문화유형과 정서의 차이:한국인의 정서 이해를 위한 시론" 6 : 1-43, 1997
4 이경화, "국제정서사진체계를 사용하여 유발된 정서의 측정: 비교문화적 타당성 연구" 220-223, 1997
5 Fischer, A. H, "relation between gender and emotions in different cultures. In Gender and emotion: Social psychology perspectiv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71-94, 2000
6 Feldman,L.A, "Valence Focus and Arousal Focus: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Structure of Affective Experience" 69 : 153-166, 1995
7 Bradley, M. M, "The 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IAPS) in the Study of Emotion and Attention. In Handbook of emotion elicitation and assessement" Oxford University Press. 29-46, 2005
8 Delplanque, S, "Spatial frequencies or emotional effects?: A systematic measure of spatial frequencies for IAPS pictures by a discrete wavelet analysis" 165 : 144-150, 2007
9 Nolen_Hoeksema,S, "Sex differences in unipolar depression: Evidence and theory" 101 : 259-282, 1987
10 Allen, J. G, "Sex differences in emotionality: A multidimensional approach" 29 : 711-722, 1976
11 Kring, A. M., "Sex differences in emotion: Expression, experience, and physiology" 74 : 686-703, 1998
12 Gross, J. J, "Mapping the Domain of Expressivity: Multimethod Evidence for a Hierarchical Model" 74 : 171-191, 1998
13 Lang, P. J, "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IAPS): Affective ratings of Pictures and instruction manual" University of Florida, 2005
14 민병찬, "IAPS 사진을 이용한 이차원 공간의 감성 변화 평가" 한국감성과학회 6 (6): 4-4, 2003
15 Colden, A, "Human content in afect-inducing stimuli: A secondary analysis of the 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 32 : 260-269, 2008
16 Britton, J. C, "Facial expressions and complex IAPS pictures: Common and differential networks" 31 : 906-919, 2006
17 Carstensen, L, "Emotional Behavior in Long-Term Marriage" 10 : 140-149, 1995
18 Bradley, M. M, "Emotion and Motivation Ⅱ: Sex Differences in Picture Processing" 1 : 300-319, 2001
19 Dolcos, F, "Dissociable effects of arousal and valence on prefrontal activity indexing emotional evaluation and subsequent memory: an event-related fMRI study" 23 : 64-74, 2004
20 Vogt, J., "Allocation of Spatial Attention to Emotional Stimuli Depends Upon Arousal and Not Valence" 8 : 880-885, 2008
21 Gruhn, D., "Age-related differences in valence and arousal ratings of pictures from the 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 (IAPS): Do ratings become more extreme with age?" 2 : 512-521, 2008
시각과 청각 정보의 의미적 일치성에 따른 시각 우세성 효과의 변화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 |
2021-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10-2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8 | 0.78 | 0.6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5 | 0.67 | 1.178 | 0.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