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골프참여자의 지도자 신뢰와 여가 이득 및 회복탄력성의 관계 = The Relationship among Trust of Instructors, Leisure Benefit and Resilience for Golf Participa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275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rust of instructors, leisure benefit and resilience for golf participants.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a total of 2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50 copies were col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rust of instructors, leisure benefit and resilience for golf participants.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a total of 2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50 copies were collected back. Out of those returned questionnaires, insincerely replied or double-replied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and finally 234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For analysis of the data,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ng modeling were conducted using SPSS 18.0 and AMOS 18.0.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rust of instructors had a positive effect on leisure benefit. Second, leisure benefit had a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Third, trust of instructors had a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Fourth, leisure benefi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olf participant trust of instructors and resili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make golf participation lead to satisfaction, an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eek various and convenient services so that various benefits can be generated through golf, and even psychological management through careful observation of golf participants. Is judg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골프연습장 이용객을 대상으로 골프참여자의 지도자 신뢰와 여가 이득 및 회복탄력 성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 대전, ...

      본 연구는 골프연습장 이용객을 대상으로 골프참여자의 지도자 신뢰와 여가 이득 및 회복탄력 성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 대전, 대구지역에 소재한 골프연습장 이용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표본은 비확률 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 법을 사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고,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총 234부의 자료가 실제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 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과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모형을 설정한 뒤 구조방 적식모형(SEM)을 통하여 변인간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과 연구모형 검증을 기초로 하여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골프참여자들의 지도자 신뢰는 여가 이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골프참여자들의 여가 이득은 회복탄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골프참여자의 지도자 신뢰는 회복탄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골프참여자의 지도자 신뢰와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여가 이득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골프의 참여가 만족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만드는 노력이 필요하며, 더불어 골프를 통해 다양한 이득이 생길 수 있도록 다양하고 편리한 서비스의 모색 및 나아가 골프참여자에 대한 세심한 관찰을 통한 심리적인 관리까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슬기, "회복탄력성의 선행 요인으로서 여가만족에 관한 연구 : 2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6 (26): 175-189, 2017

      2 김경렬, "항공스포츠 교관의 지도유형, 여가몰입 및 여가이득의 인과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50) : 629-637, 2012

      3 정기산, "중간관리자의 리더십 유형별 행동특성과 신뢰와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4 김성훈, "중ㆍ고등학생들의 여가활동 참여가 여가태도 및 여가이득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51 (51): 305-319, 2012

      5 박준현, "우울증 환자에서 회복탄성력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2

      6 이계석, "여가스포츠 활동 참여자의 여가만족이 여가몰입 및 여가이득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53 (53): 423-431, 2014

      7 주형철, "에어로빅댄스 지도자의 이미지가 고객만족 그리고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50) : 261-274, 2012

      8 조건상, "수영 참여자의 참여동기와 여가이득 및 생활만족의 관계모형" 한국체육과학회 18 (18): 201-211, 2009

      9 배종우, "사회인 야구리그 참여자의 여가경험과 여가이득이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 27 (27): 79-91, 2013

      10 장민지, "벨리댄스 참여자의 여가참여만족이 여가유능감과 여가이득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18 (18): 187-197, 2020

      1 박슬기, "회복탄력성의 선행 요인으로서 여가만족에 관한 연구 : 2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6 (26): 175-189, 2017

      2 김경렬, "항공스포츠 교관의 지도유형, 여가몰입 및 여가이득의 인과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50) : 629-637, 2012

      3 정기산, "중간관리자의 리더십 유형별 행동특성과 신뢰와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4 김성훈, "중ㆍ고등학생들의 여가활동 참여가 여가태도 및 여가이득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51 (51): 305-319, 2012

      5 박준현, "우울증 환자에서 회복탄성력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2

      6 이계석, "여가스포츠 활동 참여자의 여가만족이 여가몰입 및 여가이득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53 (53): 423-431, 2014

      7 주형철, "에어로빅댄스 지도자의 이미지가 고객만족 그리고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50) : 261-274, 2012

      8 조건상, "수영 참여자의 참여동기와 여가이득 및 생활만족의 관계모형" 한국체육과학회 18 (18): 201-211, 2009

      9 배종우, "사회인 야구리그 참여자의 여가경험과 여가이득이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 27 (27): 79-91, 2013

      10 장민지, "벨리댄스 참여자의 여가참여만족이 여가유능감과 여가이득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18 (18): 187-197, 2020

      11 송은일, "대학태권도선수의 사회적지지가 운동스트레스 및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16 (16): 459-468, 2018

      12 김영재, "국내 여가이득 연구 동향 분석: 2007년~2018년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42 (42): 93-102, 2018

      13 이한성, "골프참여자가 인식하는 골프지도자 신뢰구성개념 정립: 골프지도자 신뢰척도개발을 위한 사전연구" 한국골프학회 13 (13): 1-17, 2019

      14 박영민, "골프지도자의 지도행동 유형과 인지된 지도효율성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42 (42): 223-234, 2003

      15 이승은, "골프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활용이 지도자 신뢰 및 운동 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543-551, 2016

      16 이남용, "골프연습장 이용자의 지도자 신뢰와 고객만족 및 재이용의사와의 관계" 전주대학교 대학원 2010

      17 정지해, "골프 참여자의 성취목표성향, 골프 스트레스, 회복탄력성의 구조적 관계" 한국스포츠학회 17 (17): 505-515, 2019

      18 K. S. Adams, "Trust and the family-school relationship examination of parent–teacher difference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grades" 38 (38): 477-497, 2000

      19 B. Driver, "The north american experience in measuring the benefits of leisure" Philip Institute of Technology 1-57, 1990

      20 D. H. Kwak, "The effect of taekwondo instructor’s communication on college taekwondo athletes’s resilience" Graduate School, Yongin University 2019

      21 H. S. Jeon, "The conceptualization of athletes' trust and the scale development"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22 R. D. Putnam, "The Prosperous Community :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13 : 35-42, 1993

      23 M. W. Browne,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Sage 1993

      24 A. Nolan, "Supporting resilience in early years classrooms : The role of the teacher" 20 (20): 595-608, 2014

      25 S, H. Hong,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sis writing" Communicationbooks 2009

      26 J. H. Kim, "Resilience" Wisdomhouse 2011

      27 L. L. Berry, "Relationship marketing of services" 23 (23): 236-245, 1995

      28 R. B. Kline,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ress 2005

      29 A. K. Mishra, "Organizational responese to crisis: The centrality of trust" Trust in organizations: Frontiers of Theory and Research 261-287,

      30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31 K. M. Connor, "Development of a new resilience scale :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CD RISC)" 18 (18): 76-82, 2003

      32 B, L. Driver, "Concepts and use of the benefit approach to leisure" Venture Publishing 349-369, 1999

      33 P. M. Bentler,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107 (107): 238-246, 1990

      34 I. Ajzen,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leisure choice" 24 (24): 207-, 1992

      35 C. Fu, "An examination of resilience crossculturally in child and adolescent survivors of the 2008 China earthquake using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CDRISC)" 155 (155): 149-153, 2014

      36 G. S. Kim, "AMOS 18.0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Hannara academy 2010

      37 L. R. Tucker, "A reliability coefficient for maximum likelihood factor analysis" 38 : 1-10, 1974

      38 R. Levering, "A Great Place to Work:What makes some employers so good(and most so bad)" A Great Place to Work Institut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9-01-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유화학회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영문명 : The Korean Oil Chemists' Society ->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KCI등재
      2019-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오일 및 응용과학 학회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CI등재
      2019-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오일 및 응용과학 학회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6-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韓國油化學會誌 -> 오일 및 응용과학 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Oil Chemists' Society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7 0.24 0.35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