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국어사전 편찬을 위한 문화소 번역에 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3928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ranslating cultural elements is no doubt a difficult task as culture-bound words and expressions often do not have an accurate and direct representation in other language due to cultural differences. In order to gain better understanding on translating cultural elements, this paper reviewed previous Korean studies on this topic and looked into the multilingual dictionary translation project for the Open Korean Knowledge Dictionary, which was carried out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in 2015. This paper further studied the process of how culture-specific Korean words in Korean dictionary were translated into English for English-speaking foreigners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In the multilingual dictionary translation project, culture-bound words were systematically categorized and translated under a set of translation principles. These efforts are expected to improve translation of cultural elements, especially in translating name of places and cultural properties, and ultimately contribute in establishing translation standardization of cultural elements.
      번역하기

      Translating cultural elements is no doubt a difficult task as culture-bound words and expressions often do not have an accurate and direct representation in other language due to cultural differences. In order to gain better understanding on translati...

      Translating cultural elements is no doubt a difficult task as culture-bound words and expressions often do not have an accurate and direct representation in other language due to cultural differences. In order to gain better understanding on translating cultural elements, this paper reviewed previous Korean studies on this topic and looked into the multilingual dictionary translation project for the Open Korean Knowledge Dictionary, which was carried out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in 2015. This paper further studied the process of how culture-specific Korean words in Korean dictionary were translated into English for English-speaking foreigners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In the multilingual dictionary translation project, culture-bound words were systematically categorized and translated under a set of translation principles. These efforts are expected to improve translation of cultural elements, especially in translating name of places and cultural properties, and ultimately contribute in establishing translation standardization of cultural elem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I. 서론
      • II. 문화소와 관련한 선행연구
      • 1. 문화소 번역
      • 2. 공공번역에서의 문화소 번역
      • Abstract
      • I. 서론
      • II. 문화소와 관련한 선행연구
      • 1. 문화소 번역
      • 2. 공공번역에서의 문화소 번역
      • III. 『개방형 한국어 지식 대사전』다국어사전 편찬사업의 개요
      • 1. 『개방형 한국어 지식 대사전』편찬사업
      • 2. 2015년 다국어사전 편찬사업
      • IV. 2015년 다국어사전 편찬사업의 문화소 편찬번역
      • 1. 문화소 편찬지침
      • 2. 문화소 표기기준
      • V. 2015년 다국어사전 편찬사업의 평가와 문화소 번역과정 및 전략에의 시사점
      • 1. 2015년 다국어사전 편찬사업에 대한 평가
      • 2. 문화소 번역과정 및 번역전략에 주는 시사점
      • VI.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정민, "해외 선진 사례 고찰을 통한 국내 공공번역 시스템 구축 방안 제언" 한국통역번역학회 17 (17): 81-111, 2015

      2 신자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다국어 사전의 대역 기술 방법 연구"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58) : 157-186, 2010

      3 노진서, "한국고전소설의 한영번역연구 – 문화소 번역양태와 문화적 요소를 중심으로" 7 (7): 31-51, 2013

      4 권오숙, "한국 문학 텍스트 영역(英譯)에 나타난 문화소 번역의 경향 연구" 통번역연구소 18 (18): 263-289, 2014

      5 이진은,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사전 연구 동향 분석" 언어과학회 (77) : 245-287, 2016

      6 강현화, "언어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기초사전』 편찬의 원리와 실제" 민족문화연구원 (67) : 39-63, 2015

      7 전현주, "번역비평의 패러다임" 한국학술정보(주) 2008

      8 이승재, "문화층위와 문화소: 번역에 대한 문화적 접근" 한국번역학회 13 (13): 137-166, 2012

      9 이근희, "문화와 밀접한 상관어의 번역 전략" 한국번역학회 4 (4): 5-27, 2003

      10 김도훈, "문화소의 부등성 보상을 위한 번역전략:부산 관광지 안내 표지판 및 책자를 중심으로" 한국번역학회 7 (7): 31-51, 2006

      1 홍정민, "해외 선진 사례 고찰을 통한 국내 공공번역 시스템 구축 방안 제언" 한국통역번역학회 17 (17): 81-111, 2015

      2 신자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다국어 사전의 대역 기술 방법 연구"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58) : 157-186, 2010

      3 노진서, "한국고전소설의 한영번역연구 – 문화소 번역양태와 문화적 요소를 중심으로" 7 (7): 31-51, 2013

      4 권오숙, "한국 문학 텍스트 영역(英譯)에 나타난 문화소 번역의 경향 연구" 통번역연구소 18 (18): 263-289, 2014

      5 이진은,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사전 연구 동향 분석" 언어과학회 (77) : 245-287, 2016

      6 강현화, "언어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기초사전』 편찬의 원리와 실제" 민족문화연구원 (67) : 39-63, 2015

      7 전현주, "번역비평의 패러다임" 한국학술정보(주) 2008

      8 이승재, "문화층위와 문화소: 번역에 대한 문화적 접근" 한국번역학회 13 (13): 137-166, 2012

      9 이근희, "문화와 밀접한 상관어의 번역 전략" 한국번역학회 4 (4): 5-27, 2003

      10 김도훈, "문화소의 부등성 보상을 위한 번역전략:부산 관광지 안내 표지판 및 책자를 중심으로" 한국번역학회 7 (7): 31-51, 2006

      11 김도훈, "문화소 번역에서의 인지적 축적물의 역할 및 번역전략" 한국통역번역학회 8 (8): 3-29, 2006

      12 권인경, "문화소 번역 방법 연구-­제주도 관광안내텍스트를 중심으로­" 동화와번역연구소 (25) : 37-59, 2013

      13 전기정, "문학번역에서의 문화소와 번역 전략 ―『阿Q正傳』을 중심으로" 중국어문학연구회 (51) : 275-299, 2008

      14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20년사"

      15 "국립국어원"

      16 임현경, "국내 공공분야 전문용어 표준화를 위한 해외 선진사례 조사 및 제언" 한국통역번역학회 17 (17): 27-49, 2015

      17 김훈밀, "국내 공공번역 실태와 표준화 현주소" 한국통역번역학회 17 (17): 1-25, 2015

      18 정호정, "공공번역 단일전문전담기구의 필요성 - 중단기 정책 수립을 위한 현황과 당면과제" 한국통역번역학회 17 (17): 51-79, 2015

      19 박현주, "공공번역 결과물 오류 유형 분석- 공공기관 영어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한국통역번역학회 16 (16): 51-80, 2014

      20 정호정, "2015년 개방형 한국어 지식 대사전 다국어 사전 구축사업 연구보고서 – 부록" 국립국어원 2015

      21 정호정, "2015년 개방형 한국어 지식 대사전 다국어 사전 구축사업 연구보고서" 국립국어원 2015

      22 정호정, "2015년 개방형 한국어 지식 대사전 다국어 사전 감수사업 연구보고서 – 부록" 국립국어원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국제회의통역과번역 -> 통역과 번역
      외국어명 : Conferenc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KCI등재
      2008-05-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국제회의통역학회 -> 한국통역번역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Conference Interpretation -> Korean Society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Studies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6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국제회의통역과번역
      외국어명 : Conferenc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78 1.202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