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동채점 프로그램을 적용한 대규모 평가 사회과 서답형 문항 채점 및 결과 분석 = Automated Scoring and Analysis on the Scoring Result in Large-scale Social Studies Assess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658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규모 평가에서 서답형 문항의 활용을 제고하고 채점의 효율화를 도모하기 위해, 사회과 문항을 포함한 단어. 구 수준의 서답형 문항 자동채점 적용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

      본 연구는 대규모 평가에서 서답형 문항의 활용을 제고하고 채점의 효율화를 도모하기 위해, 사회과 문항을 포함한 단어. 구 수준의 서답형 문항 자동채점 적용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동채점 프로그램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사회과 서답형 문항의 채점에 적용하기 위한 절차를 탐색하고, 그에 따라 채점한 결과를 바탕으로 채점자 간일치도 측면에서 자동채점의 적용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더불어 자동채점 프로그램과 적용절차에 대한 사용자 편의성을 조사하여 향후 보완해야 할 사항을 범주화하였다. 그 결과, 채점자 간 채점 점수의 완전일치도가 평균 99.5%로 매우 양호하여 채점 결과의 정확성을 중시하는 고부담 대규모 평가에도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어·구 수준 자동채점 프로그램의 사용자인 채점자와 채점관리자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기능, 화면 구성 및 조작, 채점절차 측면의 만족도 조사 결과, 대부분 만족하여 편의성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규모 평가의 자동채점 적용에 대한 선도적인 연구로 새로운 평가 체제에 대비하여 채점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validity of automated scoring application as a way to reduce scoring cost. For that purpose, the process for applying word- and phrase-level automated scoring program to constructed-response items in NAEA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validity of automated scoring application as a way to reduce scoring cost. For that purpose, the process for applying word- and phrase-level automated scoring program to constructed-response items in NAEA 2015 Social Studies is investigated, and the validity of automated scoring program is examined in terms of the exact agreement among raters about scoring results. In addition, the current research surveyed user-friendliness of the automated scoring program and its application process, and then categorized future complements for those. Consequently, it was revealed that the exact agreement rate among raters was 99.5% on average.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automated scoring is adequate for the large-scale high-stakes assessments. Furthermore, as a result of surveying satisfaction about function and screen composition of the program and automated scoring process, most raters and scoring supervisors showed high levels of satisfaction. As a leading research concerning the application of automated scoring to large-scale assessment, this research could contribute to raise the efficacy of scoring in preparation for a new assessment syste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은희, "한국어 서답형 문항 자동채점 프로그램 개발 및 실용성 검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2 노은희, "한국어 문장 수준 서답형 문항 자동채점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3 김경희, "컴퓨터 기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도입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4 교육과학기술부, "직업기초능력평가 시범 평가 실시"

      5 박일남, "정답 템플릿 작성 방식에 의한 한국어 서답형 문항 자동채점 시스템" 한국정보과학회 19 (19): 630-636, 2013

      6 노은희, "대규모 평가를 위한 서답형 문항 자동채점 프로그램 정교화 및 시범 적용"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7 노은희, "대규모 평가를 위한 서답형 문항 자동채점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8 Mullis, I. V. S, "eTIMSS Initiative"

      9 Attali, Y., "Validity of scores for a developmental writing scale based on automated scoring" 69 (69): 978-993, 2009

      10 Davies, B, "Trial of Automated Essay Scoring: New directions for National Assessment in Australia"

      1 노은희, "한국어 서답형 문항 자동채점 프로그램 개발 및 실용성 검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2 노은희, "한국어 문장 수준 서답형 문항 자동채점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3 김경희, "컴퓨터 기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도입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4 교육과학기술부, "직업기초능력평가 시범 평가 실시"

      5 박일남, "정답 템플릿 작성 방식에 의한 한국어 서답형 문항 자동채점 시스템" 한국정보과학회 19 (19): 630-636, 2013

      6 노은희, "대규모 평가를 위한 서답형 문항 자동채점 프로그램 정교화 및 시범 적용"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7 노은희, "대규모 평가를 위한 서답형 문항 자동채점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8 Mullis, I. V. S, "eTIMSS Initiative"

      9 Attali, Y., "Validity of scores for a developmental writing scale based on automated scoring" 69 (69): 978-993, 2009

      10 Davies, B, "Trial of Automated Essay Scoring: New directions for National Assessment in Australia"

      11 Winter, P. C., "The Utility of Online Mathematics Constructed-response Items:Maintaining Important Mathematics in State Assessments and Providing Appropriate Access to Students" Pacific Metrics Corporation 2012

      12 Lottridge, S. M., "The AS Decision Matrix: Using Program Stakes and Item Type to Make Informed Decisions about Automated Scoring Implementations" Pacific Metrics Corporation 2013

      13 Shermis, M. D., "State-of-the-art automated essay scoring: Competition, results, and future directions from a United States demonstration" 20 : 53-76, 2014

      14 WCAL, "Short Answer Marking Engines"

      15 Leacock, C., "Scoring of Free-responses Automatically: A Case Study of a Large-scale Assessment" 1 (1): 39-47, 2004

      16 Bejar, I. I, "Rater Cognition: Implications for Validity" 31 (31): 2-9, 2012

      17 Bennett, R. E, "Problem Solving in Technology-Rich Environments: A Report From the NAEP Technology-Based Assessment Project, Research and Development Series. NCES 2007-466"

      18 Topol, B., "Pricing study Machine scoring of studentessays"

      19 Streeter, L., "Pearson’s Automated Scoring of Writing, Speaking, and Mathematics" 2011

      20 송미영,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5 예비검사 시행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21 Shermis, M. D., "Handbook of Automated Essay Evaluation:Current Applications and New Directions" Routledge 2013

      22 Smarter Balanced Assessment Consortium, "Field Test: Automated Scoring Research Studies in accordance with Smarter Balanced RFP 17"

      23 ETS, "ETS Automated Scoring Technologies" ETS 2010

      24 Shermis, M. D., "Contrasting State-of-the-art in the Machine Scoring of Short-form Constructed Responses" 2013

      25 Shermis, M. D., "Contrasting State-of-the-art Automated Scoring of Essay: Analysis" 2012

      26 Powers, D, "Comparing the Validity of Automated and Human Essay Scoring"

      27 Dikli, S., "An Overview of Automated Scoring of Essays. The Journal of Technology" 5 (5): 4-35, 2006

      28 Rudner, L. M., "An Evaluation of the IntelliMetricSM Essay Scoring System" 4 (4): 2006

      29 ACARA NASOP Research Team, "An Evaluation of Automated Scoring of NA PLAN Persuasive Writing"

      30 교육부, "2015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31 교육과학기술부, "2009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6-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Association of Social Educ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 1.35 1.812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