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식은 2018년 세계 수산물 총공급량의 46.0%를 차지하였으며, 자연자원 고갈 및 남획에 따른 어획의 한계와 수요 증가로 필요한 수산물을 양식 생산에 의존 ? 세계 어로어획 생산량은 정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E1685453
2020년
Korean
PRIS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 양식은 2018년 세계 수산물 총공급량의 46.0%를 차지하였으며, 자연자원 고갈 및 남획에 따른 어획의 한계와 수요 증가로 필요한 수산물을 양식 생산에 의존 ? 세계 어로어획 생산량은 정체...
? 양식은 2018년 세계 수산물 총공급량의 46.0%를 차지하였으며, 자연자원 고갈 및 남획에 따른 어획의 한계와 수요 증가로 필요한 수산물을 양식 생산에 의존
? 세계 어로어획 생산량은 정체되어 있는 반면 양식업 생산량은 1980년대부터 매년 8∼14%씩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환경, 질병 등의 해결방안으로 육상양식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음
? 우리나라의 수산물 생산량 379만톤(‘18년) 중 225만 톤(59.3%)을 양식으로 생산함. 그러나 어류양식 생산은 연간 8만 톤에 불과함
? ICT, 빅테이터 및 AI 등 지식 기반 4차 산업 육성 흐름에 따라 양식 생산성과 효율성 향상 목적의 스마트 양식 도입 필요성 증대
(노르웨이) 양식산업의 규모화·자동화를 통한 연어 생산·수출 세계 1위
? 수산양식에 ICT?AI 등 첨단기술 융?복합을 통해 기존 재래식 소규모 국내 양식산업에 테스트베드를 통한 스마트화 대량 양식기술을 개발
경쟁력 있는 대량양식으로 수입수산물 대체 및 해외수출산업으로 육성하고자 함
? 대량 양식을 통한 스마트양식 기술 개발, 실증의 필요성
테스트베드를 통하여 개발된 연어·송어류의 스마트양식기술을 민간기업에 보급
민간기업의 연어류 육상순환여과식 양식장 건설에는 대규모 투자비가 필요하며, 대규모 투자의 수익성 창출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테스트베드에서 년간 최소 500~1,000톤 이상 규모의 Pilot Plant 실증 대량 양식 스마트기술 개발이 필수임
소량(몇 톤 또는 수십 톤) 생산규모의 R&D 수준의 기술개발로는 아래와 같은 문제로 상업적인 대량 양식에 기술 적용이 불가함
동원산업은 년간 2만톤 대량 생산을 목표로 2천억 원 투자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