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高麗後期 對中國使臣 送詩에 表現된 外交認識의 變化와 그 意味 = Changes and their Significance of Diplomatic Recognition Expressed in Valedictory Poems for the Envoys to China in the late Goryeo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413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려 후기는 蒙古의 침략과 元의 성립, 漢人 群雄의 등장으로 인한 원의 쇠퇴, 明의 등장과 北元의 퇴진 등 국제관계가 급격히 변하던 시기였다. 이시기 중국의 여러 세력들은 고려의 후원을 기대하고, 고려 또한 그들의 변화를 관찰하며 대내외적인 개혁과 안정을 추구하였다.<BR>  이러한 당시 동아시아의 변화와 이에 대처하는 외교에는 수많은 사신들의 활약이 있었으니, 한인 군웅들은 사신의 파견으로 고려와의 관계를 모색하였고, 고려도 적극적으로 답하였다. 이는 원에 대한 고려의 事大政策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며, 새로운 세력과의 적극적인 관계 모색이라 할 것이다.<BR>  이 시기에 많은 사신들을 보내면서 주었던 送詩는 자신이 사행하면서 쓰는 것이 아닌, 사신을 보내면서 쓰는 것이기 때문에 사신 개인에 대한 기대와 파견 대상국에 대한 평가가 우선된다. 따라서 송시를 통해 당대의 외교인식을 살펴보고 이의 시대적 변화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BR>  이규보가 활동하던 시기는 이와는 달리 이제 막 흥기하는 몽고의 세력에 대처하는 것이 급선무였다. 따라서 그에게 있어 몽고는 흉포하고 무도하여 교화가 필요한 존재로 인식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BR>  몽고족인 원의 성립과 그들과의 관계에 직면했던 이제현을 비롯한 당시 사대부들의 태도를 보면, 그들은 몽고족이 아닌 천자국으로 원을 인식하고 있다. 이것은 그들이 원의 종족적 가치보다는 외교적 역량에 더욱 가치를 두고 있었음을 알 수 있도록 하는 대목이다.<BR>  그리고 고려 말 공민왕의 개혁정치가 시작되면서 張士誠, 方國珍, 朱元璋 등과의 관계 모색이 이루어지는 시기에 있어 사대부들의 태도를 보면, 원에 대한 그들의 외교적 인식은 결코 의리에 중심을 둔 것이 아니라 외교적 역량에 관계된 것이었다는 사실을 잘 알 수 있다.<BR>  이러한 외교적 역량 중심의 국제관계에 대한 인식은 원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고려 말 국제관계의 혼돈 양상 속에서는 명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BR>  이로 볼 때 고려 시대의 외교관계는 종족적이거나 의리로서의 事大 지속이 아니라, 형세의 변화에 따른 외교적 역량의 우열이 중심이었음을 알 수 있다.
      번역하기

        고려 후기는 蒙古의 침략과 元의 성립, 漢人 群雄의 등장으로 인한 원의 쇠퇴, 明의 등장과 北元의 퇴진 등 국제관계가 급격히 변하던 시기였다. 이시기 중국의 여러 세력들은 고려...

        고려 후기는 蒙古의 침략과 元의 성립, 漢人 群雄의 등장으로 인한 원의 쇠퇴, 明의 등장과 北元의 퇴진 등 국제관계가 급격히 변하던 시기였다. 이시기 중국의 여러 세력들은 고려의 후원을 기대하고, 고려 또한 그들의 변화를 관찰하며 대내외적인 개혁과 안정을 추구하였다.<BR>  이러한 당시 동아시아의 변화와 이에 대처하는 외교에는 수많은 사신들의 활약이 있었으니, 한인 군웅들은 사신의 파견으로 고려와의 관계를 모색하였고, 고려도 적극적으로 답하였다. 이는 원에 대한 고려의 事大政策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며, 새로운 세력과의 적극적인 관계 모색이라 할 것이다.<BR>  이 시기에 많은 사신들을 보내면서 주었던 送詩는 자신이 사행하면서 쓰는 것이 아닌, 사신을 보내면서 쓰는 것이기 때문에 사신 개인에 대한 기대와 파견 대상국에 대한 평가가 우선된다. 따라서 송시를 통해 당대의 외교인식을 살펴보고 이의 시대적 변화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BR>  이규보가 활동하던 시기는 이와는 달리 이제 막 흥기하는 몽고의 세력에 대처하는 것이 급선무였다. 따라서 그에게 있어 몽고는 흉포하고 무도하여 교화가 필요한 존재로 인식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BR>  몽고족인 원의 성립과 그들과의 관계에 직면했던 이제현을 비롯한 당시 사대부들의 태도를 보면, 그들은 몽고족이 아닌 천자국으로 원을 인식하고 있다. 이것은 그들이 원의 종족적 가치보다는 외교적 역량에 더욱 가치를 두고 있었음을 알 수 있도록 하는 대목이다.<BR>  그리고 고려 말 공민왕의 개혁정치가 시작되면서 張士誠, 方國珍, 朱元璋 등과의 관계 모색이 이루어지는 시기에 있어 사대부들의 태도를 보면, 원에 대한 그들의 외교적 인식은 결코 의리에 중심을 둔 것이 아니라 외교적 역량에 관계된 것이었다는 사실을 잘 알 수 있다.<BR>  이러한 외교적 역량 중심의 국제관계에 대한 인식은 원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고려 말 국제관계의 혼돈 양상 속에서는 명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BR>  이로 볼 때 고려 시대의 외교관계는 종족적이거나 의리로서의 事大 지속이 아니라, 형세의 변화에 따른 외교적 역량의 우열이 중심이었음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nobility"s understanding of diplomacy through the valedictory poems written when many envoys were sent to China in the late Goryeo Dynasty, a period of diplomatic chaos. As valedictory verses were written not by the diplomat himself but by those who sent him at the time of his departure, the expectation of the envoy and the assessment of the destination nation are first considered.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examine diplomatic understanding in the given period by means of valedictory poems and their periodic variations.<BR>  The late Goryeo Dynasty was the period when international relations were changing quickly with the invasion of Mongolia and the foundation of the Yuan Dynasty, the decline of the Yuan Dynasty due to the emergence of many Chinese rival leaders, and the fall of the Northern Yuan Dynasty caused by the establishment of the Ming Dynasty. Many Chinese powers in the period expected the support of Goryeo and Goryeo also sought to introduce domestic and foreign reforms and stability by watching their changes.<BR>  The East Asian tumultuous time and diplomacy dealing with it needed the activities of many envoys. Among many Chinese leaders, Jang Sa-seong(張士誠) tried to make a good relation with Goryeo by actively dispatching diplomatic representatives and Goryeo responded to his efforts positively. This means a change in the worship of the powerful to the Yuan Dynasty and a positive search for the relationship with the new power.<BR>  The period when Lee Kyu-bo was in charge, it was urgent to cope with the newly~emerging Mongolian power. As a result, to him, Mongolia was recognized as a brutal and rude presence to be enlightened. This recognition was in part cau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Lee Kyu-bo and Choe military regime, but Mongolia could not overcome the diplomatic recognition of Goryeo at that period. If Lee Kyu-bo lived until the foundation of the Yuan Dynasty and its intervention in the domestic affairs of Goryeo, what happened to the diplomatic recognition of Goryeo for Yuan is a question to be asked. In answer to this question, it is thought that Lee Kyu-bo might have expressed the Yuan Dynasty as a diplomatic object to worship as an emperor"s nation since the utilitarian aspect of diplomatic relations was more important to the Goryeo diplomacy than the loyalty on which the Joseon Dynasty later focused.<BR>  Examining the attitude of the then noble men including Lee Je-hyeon who were faced with the foundation of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Mongolian dynasty Yuan, they recognized it as a emperor"s nation Yuan not as a simple Mongolian kingdom. This shows that they valued the diplomatic capacity of the Yuan Dynasty more than the racial origin.<BR>  This recognition of international relations focusing on the diplomatic power was applied to the Ming Dynasty in the chaotic situation of foreign relations in the late Goryeo Dynasty as well as to Yuan.<BR>  It is found out that the diplomatic relations of the Goryeo period was inclined to concentrate on the diplomatic capability depending on situational changes, not on the racial origin or the loyalty to continue the worship to the power.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nobility"s understanding of diplomacy through the valedictory poems written when many envoys were sent to China in the late Goryeo Dynasty, a period of diplomatic chaos. As valedictory verses were ...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nobility"s understanding of diplomacy through the valedictory poems written when many envoys were sent to China in the late Goryeo Dynasty, a period of diplomatic chaos. As valedictory verses were written not by the diplomat himself but by those who sent him at the time of his departure, the expectation of the envoy and the assessment of the destination nation are first considered.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examine diplomatic understanding in the given period by means of valedictory poems and their periodic variations.<BR>  The late Goryeo Dynasty was the period when international relations were changing quickly with the invasion of Mongolia and the foundation of the Yuan Dynasty, the decline of the Yuan Dynasty due to the emergence of many Chinese rival leaders, and the fall of the Northern Yuan Dynasty caused by the establishment of the Ming Dynasty. Many Chinese powers in the period expected the support of Goryeo and Goryeo also sought to introduce domestic and foreign reforms and stability by watching their changes.<BR>  The East Asian tumultuous time and diplomacy dealing with it needed the activities of many envoys. Among many Chinese leaders, Jang Sa-seong(張士誠) tried to make a good relation with Goryeo by actively dispatching diplomatic representatives and Goryeo responded to his efforts positively. This means a change in the worship of the powerful to the Yuan Dynasty and a positive search for the relationship with the new power.<BR>  The period when Lee Kyu-bo was in charge, it was urgent to cope with the newly~emerging Mongolian power. As a result, to him, Mongolia was recognized as a brutal and rude presence to be enlightened. This recognition was in part cau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Lee Kyu-bo and Choe military regime, but Mongolia could not overcome the diplomatic recognition of Goryeo at that period. If Lee Kyu-bo lived until the foundation of the Yuan Dynasty and its intervention in the domestic affairs of Goryeo, what happened to the diplomatic recognition of Goryeo for Yuan is a question to be asked. In answer to this question, it is thought that Lee Kyu-bo might have expressed the Yuan Dynasty as a diplomatic object to worship as an emperor"s nation since the utilitarian aspect of diplomatic relations was more important to the Goryeo diplomacy than the loyalty on which the Joseon Dynasty later focused.<BR>  Examining the attitude of the then noble men including Lee Je-hyeon who were faced with the foundation of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Mongolian dynasty Yuan, they recognized it as a emperor"s nation Yuan not as a simple Mongolian kingdom. This shows that they valued the diplomatic capacity of the Yuan Dynasty more than the racial origin.<BR>  This recognition of international relations focusing on the diplomatic power was applied to the Ming Dynasty in the chaotic situation of foreign relations in the late Goryeo Dynasty as well as to Yuan.<BR>  It is found out that the diplomatic relations of the Goryeo period was inclined to concentrate on the diplomatic capability depending on situational changes, not on the racial origin or the loyalty to continue the worship to the pow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Ⅰ. 序論
        Ⅱ. 對中意識의 變化와 그 意味
        Ⅲ.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 국문초록
        Ⅰ. 序論
        Ⅱ. 對中意識의 變化와 그 意味
        Ⅲ.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都賢喆, "李穡의 性理學的 歷史觀과 公羊春秋論" 歷史學會 (185) : 2005

      2 박종기, "李奎報의 生涯와 著述 傾向" 국민대 한국학연구소 (19) : 1996

      3 金順子, "麗末鮮初 對元?明 關係 硏究"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9

      4 신천식, "이제현의 학문과 사상" 명지사학회 (9) : 1998

      5 오종일, "여말 의리정신과 이존오의 충절의식" 범한철학회 (24) : 2001

      6 李仁在, "高麗末 元天錫의 生涯와 社會思想" (12) : 1999

      7 朴龍雲, "高麗時代史(下)" 一志社 1989

      8 유호진, "高麗後期士大夫漢詩에 나타난 精神志向에 대한 연구- 崔瀣?安軸?李齊賢의 詩文을 中心으로" 민족문화연구원 39 (39): 31-66, 2003

      9 "高麗史"

      10 嚴慶欽, "鄭夢周의 明 使行에 나타난 外交的 疏通 方式" 圃隱學會 (1) : 2007

      1 都賢喆, "李穡의 性理學的 歷史觀과 公羊春秋論" 歷史學會 (185) : 2005

      2 박종기, "李奎報의 生涯와 著述 傾向" 국민대 한국학연구소 (19) : 1996

      3 金順子, "麗末鮮初 對元?明 關係 硏究"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9

      4 신천식, "이제현의 학문과 사상" 명지사학회 (9) : 1998

      5 오종일, "여말 의리정신과 이존오의 충절의식" 범한철학회 (24) : 2001

      6 李仁在, "高麗末 元天錫의 生涯와 社會思想" (12) : 1999

      7 朴龍雲, "高麗時代史(下)" 一志社 1989

      8 유호진, "高麗後期士大夫漢詩에 나타난 精神志向에 대한 연구- 崔瀣?安軸?李齊賢의 詩文을 中心으로" 민족문화연구원 39 (39): 31-66, 2003

      9 "高麗史"

      10 嚴慶欽, "鄭夢周의 明 使行에 나타난 外交的 疏通 方式" 圃隱學會 (1) : 2007

      11 元天錫, "耘谷行錄"

      12 김형수, "策問을 통해 본 李齊賢의 現實認識" 한국중세사학회 (13) : 2002

      13 李存吾, "石灘先生集"

      14 김동욱, "石灘 李存吾의 士大夫意識과 詩歌" 반교어문학회 (2) : 1990

      15 李齊賢, "益齋亂藁"

      16 李? 穡, "牧隱詩藁"

      17 馬宗樂, "牧隱 李穡의 生涯와 歷史意識" (102) : 2006

      18 "東文選"

      19 박종기, "東國李相國集에 나타난 高麗時代相과 李奎報" 진단학회 1997

      20 李奎報, "東國李相國集"

      21 鄭? 樞, "圓齋先生文藁"

      22 鄭夢周, "圃隱先生文集"

      23 李? 瓊, "二憂堂實記"

      24 김동욱, "二憂堂 李瓊의 生涯와 詩世界" 泮橋語文學會 (12) :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 1.236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