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세계 각국의 헌법상 토지재산권 관련 규정과 우리나라 헌법개정에 있어서의 시사점 검토 = The Right to Land Property-related Provisions in World Constitutions and Review of the Implication for Constitutional Revision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629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there is no term for “right to land property”, but it is assured through guarantee of property rights as a basic rights on Article 23. From normative perspective, it consists of levels such as the guarantee of property rights of preamble in Article 1, contents and restriction of latter sentence of Article 1 is settled as law, imposition of duty of public welfare suitability of exerting property rights of Article 2 and approving public violation for public needs. When seeing the normative format of guarantee of property rights, there are more restriction than guarantee, which is to actualize the public benefit through restricting the right to land property. This study has organized and analyzed the guarantee of property rights of global constitutions and examined the current level of guarantee of property rights to land property in Korea. The right to land property is a part of basic right which should be guaranteed in high standard as long as it is guaranteed as property rights. The guarantee format of right to land property in global constitution are first, the case which it is guaranteed as property rights, second, the case which the social restriction of the guarantee of property rights an right to land property are both fixed, third, the case which the use or plan of land is fixed. As seen in the property rights provisions in world constitutions, Article 23 of Korean Constitution strictly regulates the characteristic of property right restriction like the German fundamental law. In future constitutions revision, there is a need to reorganize the format of regulation. In the future constitutional restriction, the problem related to right to land property is first, the problem about regulating the land along with property right, second, the problem about abolishing the duty of public welfare suitability regarding exercising property right, and third, the problem about specifying the territory as land in using and planning the territory. Article 23, Item 1 of Constitution says “ All the people’s property rights is guaranteed.” which does not require revision, but there is a need to consider revision of Article 23 Item 2 which says “exercise of property rights must suit public welfare”. The latter part of Article 23 Item 1 restricts saying “the details and restrictions are fixed by law”. Again in item 2, such social restriction is fixed and exercises two restriction excluding expropriation in the restricted format of guarantee of property right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clarify the definition and details of norms by deleting the latter part of Item 1 or revising the restriction of Item 2. Also, as for the expropriation item of Article 23 Item 3, there is a need to specify the acceptance of property right to land acceptance by separating the land, or revise the compensation as full compensation rather than the proper compensation.
      번역하기

      In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there is no term for “right to land property”, but it is assured through guarantee of property rights as a basic rights on Article 23. From normative perspective, it consists of levels such as the guar...

      In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there is no term for “right to land property”, but it is assured through guarantee of property rights as a basic rights on Article 23. From normative perspective, it consists of levels such as the guarantee of property rights of preamble in Article 1, contents and restriction of latter sentence of Article 1 is settled as law, imposition of duty of public welfare suitability of exerting property rights of Article 2 and approving public violation for public needs. When seeing the normative format of guarantee of property rights, there are more restriction than guarantee, which is to actualize the public benefit through restricting the right to land property. This study has organized and analyzed the guarantee of property rights of global constitutions and examined the current level of guarantee of property rights to land property in Korea. The right to land property is a part of basic right which should be guaranteed in high standard as long as it is guaranteed as property rights. The guarantee format of right to land property in global constitution are first, the case which it is guaranteed as property rights, second, the case which the social restriction of the guarantee of property rights an right to land property are both fixed, third, the case which the use or plan of land is fixed. As seen in the property rights provisions in world constitutions, Article 23 of Korean Constitution strictly regulates the characteristic of property right restriction like the German fundamental law. In future constitutions revision, there is a need to reorganize the format of regulation. In the future constitutional restriction, the problem related to right to land property is first, the problem about regulating the land along with property right, second, the problem about abolishing the duty of public welfare suitability regarding exercising property right, and third, the problem about specifying the territory as land in using and planning the territory. Article 23, Item 1 of Constitution says “ All the people’s property rights is guaranteed.” which does not require revision, but there is a need to consider revision of Article 23 Item 2 which says “exercise of property rights must suit public welfare”. The latter part of Article 23 Item 1 restricts saying “the details and restrictions are fixed by law”. Again in item 2, such social restriction is fixed and exercises two restriction excluding expropriation in the restricted format of guarantee of property right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clarify the definition and details of norms by deleting the latter part of Item 1 or revising the restriction of Item 2. Also, as for the expropriation item of Article 23 Item 3, there is a need to specify the acceptance of property right to land acceptance by separating the land, or revise the compensation as full compensation rather than the proper compens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 헌법에는 토지재산권이라는 용어가 없고 제23조에 기본권으로서 재산권보장을 통하여 보장되고 있다. 규범의 형식에서 보면 제1항 전문(前文)의 재산권보장, 제1항 후문(後文)의 그 내용과 한계를 법률로 정하도록하고 있으며, 제2항의 재산권의 행사의 공공복리 적합성의 의무의 부과 및 제3항의 공공필요에 의한 공용침해를 허용하는 단계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재산권보장의 규범형식만 본다면 보장보다는 제한이 더 많은 형식을 취하고 있는 것은 토지재산권에 대한 제한을 통하여 공공의 이익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세계 각국의 헌법상의 토지재산권의 보장의 방식을 정리・분석하여 우리나라의 토지재산권 보장의 정도가 어느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토지재산권은 기본권으로서의 재산권으로 보장되고 있는 한 높은 수준의 보장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세계 각국의 헌법상에 토지재산권의 보장형식은 첫째, 재산권으로 보장하고 있는 경우, 둘째, 재산권보장과 토지재산권의 사회구속성이 동시에 규정되어 있는 경우 셋째, 토지 이용 및 계획이 규정되어 있는 경우로 분류된다. 세계 각국의 헌법에서의 재산권규정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리 헌법 제23조는 독일 기본법과 마찬가지로 재산권제한의 성격이 더 강한 규범으로 규정되어 있다. 향후의 헌법개정에 있어서 규정의 형식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앞으로 헌법개정에 있어서 토지재산권과 관련한 쟁점은 첫째, 재산권과 동시에 토지를 규정할 것인가의 문제, 둘째, 재산권 행사의 공공복리 적합성의 의무를 폐지할 것인가의 문제, 셋째, 국토의 이용 및 계획에 있어서 국토를 토지로 구체화할 것인가의 문제 등이다. 헌법 제23조 제1항은 “모든 국민의 재산권은 보장된다.”를 개정할 필요는 없겠지만, “재산권의 행사는 공공복리에 적합하도록 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한 제23조 제2항은 개정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헌법 제23조는 제1항 후문(後文)에 “그 내용과 한계는 법률로 정한다.”라고 하여 제한을 가하고 있는데, 다시 제2항에 의하여 이와 같이 사회구속성을 규정하여 재산권보장의 규정형식을 보면 공용수용을 제외하고서라도 2개의 제한을 가하고 있다. 따라서 제1항의 후문을 삭제하든지 또는 제2항의 규정을 개정하든지 하여 규범의 의미와 내용을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고 할 것이다. 아울러 헌법 제23조 제3항의 공용수용 조항의 재산권의 수용에 토지를 분리하여 토지수용으로 구체화하거나 또는 그 보상에 있어서 정당한 보상이 아니라 완전보상으로 개정할 필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번역하기

      우리 헌법에는 토지재산권이라는 용어가 없고 제23조에 기본권으로서 재산권보장을 통하여 보장되고 있다. 규범의 형식에서 보면 제1항 전문(前文)의 재산권보장, 제1항 후문(後文)의 그 내...

      우리 헌법에는 토지재산권이라는 용어가 없고 제23조에 기본권으로서 재산권보장을 통하여 보장되고 있다. 규범의 형식에서 보면 제1항 전문(前文)의 재산권보장, 제1항 후문(後文)의 그 내용과 한계를 법률로 정하도록하고 있으며, 제2항의 재산권의 행사의 공공복리 적합성의 의무의 부과 및 제3항의 공공필요에 의한 공용침해를 허용하는 단계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재산권보장의 규범형식만 본다면 보장보다는 제한이 더 많은 형식을 취하고 있는 것은 토지재산권에 대한 제한을 통하여 공공의 이익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세계 각국의 헌법상의 토지재산권의 보장의 방식을 정리・분석하여 우리나라의 토지재산권 보장의 정도가 어느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토지재산권은 기본권으로서의 재산권으로 보장되고 있는 한 높은 수준의 보장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세계 각국의 헌법상에 토지재산권의 보장형식은 첫째, 재산권으로 보장하고 있는 경우, 둘째, 재산권보장과 토지재산권의 사회구속성이 동시에 규정되어 있는 경우 셋째, 토지 이용 및 계획이 규정되어 있는 경우로 분류된다. 세계 각국의 헌법에서의 재산권규정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리 헌법 제23조는 독일 기본법과 마찬가지로 재산권제한의 성격이 더 강한 규범으로 규정되어 있다. 향후의 헌법개정에 있어서 규정의 형식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앞으로 헌법개정에 있어서 토지재산권과 관련한 쟁점은 첫째, 재산권과 동시에 토지를 규정할 것인가의 문제, 둘째, 재산권 행사의 공공복리 적합성의 의무를 폐지할 것인가의 문제, 셋째, 국토의 이용 및 계획에 있어서 국토를 토지로 구체화할 것인가의 문제 등이다. 헌법 제23조 제1항은 “모든 국민의 재산권은 보장된다.”를 개정할 필요는 없겠지만, “재산권의 행사는 공공복리에 적합하도록 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한 제23조 제2항은 개정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헌법 제23조는 제1항 후문(後文)에 “그 내용과 한계는 법률로 정한다.”라고 하여 제한을 가하고 있는데, 다시 제2항에 의하여 이와 같이 사회구속성을 규정하여 재산권보장의 규정형식을 보면 공용수용을 제외하고서라도 2개의 제한을 가하고 있다. 따라서 제1항의 후문을 삭제하든지 또는 제2항의 규정을 개정하든지 하여 규범의 의미와 내용을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고 할 것이다. 아울러 헌법 제23조 제3항의 공용수용 조항의 재산권의 수용에 토지를 분리하여 토지수용으로 구체화하거나 또는 그 보상에 있어서 정당한 보상이 아니라 완전보상으로 개정할 필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세계 각국의 헌법상 토지재산권 관련 규정의 분류
      • Ⅲ. 우리나라 헌법에서의 토지재산권 관련 규정의 규범내용
      • Ⅳ. 세계 각국 헌법상 토지재산권 규정의 분석과 우리나라 헌법개정에 있어서의 시사점
      •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세계 각국의 헌법상 토지재산권 관련 규정의 분류
      • Ⅲ. 우리나라 헌법에서의 토지재산권 관련 규정의 규범내용
      • Ⅳ. 세계 각국 헌법상 토지재산권 규정의 분석과 우리나라 헌법개정에 있어서의 시사점
      • Ⅴ. 맺음말
      • 참 고 문 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10

      2 김철수, "헌법학신론" 박영사 2013

      3 김백유, "헌법학(Ⅱ)" 도서출판 조은 2010

      4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7

      5 김문현, "헌법주석(Ⅰ)" 박영사 817-890, 2013

      6 이부하, "헌법상 토지재산권의 보장 및 그 제한 법률에 대한 합헌성" 한국토지공법학회 43 (43): 227-246, 2009

      7 박평준, "헌법상 토지재산권에 대한 공용침해" 한국헌법학회 3 : 389-416, 1997

      8 국회미래한국헌법연구회, "헌법 전문부터 부칙까지, 국내 외 석학 110명 동참 국민과 함께하는 개헌이야기 1권, 2권"

      9 정극원, "토지에 관한 소유자중심주의와 이용자중심주의 간의 조화방안" 한국토지공법학회 73 (73): 43-63, 2016

      10 류해웅, "토지공법론" 삼영사 2004

      1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10

      2 김철수, "헌법학신론" 박영사 2013

      3 김백유, "헌법학(Ⅱ)" 도서출판 조은 2010

      4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7

      5 김문현, "헌법주석(Ⅰ)" 박영사 817-890, 2013

      6 이부하, "헌법상 토지재산권의 보장 및 그 제한 법률에 대한 합헌성" 한국토지공법학회 43 (43): 227-246, 2009

      7 박평준, "헌법상 토지재산권에 대한 공용침해" 한국헌법학회 3 : 389-416, 1997

      8 국회미래한국헌법연구회, "헌법 전문부터 부칙까지, 국내 외 석학 110명 동참 국민과 함께하는 개헌이야기 1권, 2권"

      9 정극원, "토지에 관한 소유자중심주의와 이용자중심주의 간의 조화방안" 한국토지공법학회 73 (73): 43-63, 2016

      10 류해웅, "토지공법론" 삼영사 2004

      11 이부하, "인권보장을 위한 비교헌법론" 법영사 2014

      12 "세계의 헌법 35개국 헌법 全文Ⅱ"

      13 "세계의 헌법 35개국 헌법 全文Ⅰ"

      14 정극원, "성립면에서 본 근대 입헌주의적 헌법과 현대 사회국가적 헌법의 비교" 유럽헌법학회 (18) : 199-223, 2015

      15 정극원, "독일기본법상의 재산권의 사회구속성" 한국공법학회 25 (25): 598-621, 1997

      16 정극원, "기본권으로서의 환경권과 국가목적규정으로서의 환경권" 한국공법학회 32 (32): 527-546, 2003

      17 "국회의장 자문기구 헌법연구 자문위원회 결과보고서" 헌법연구 자문위원회 2009

      18 정극원, "국토의 이용・개발과 토지재산권 간의 관계에 관한 일고찰" 한국토지공법학회 75 : 177-196, 2016

      19 신봉기, "국토계획법의 현안문제" 도서출판 동방문화사 2009

      20 김광수, "공법상 재산권보장의 의의와 범위" 17 (17): 1994

      21 정극원, "憲法의 價値決定과 財産權保障의 規範構造" 한국비교공법학회 5 (5): 145-168, 2004

      22 Pieroth, "Grundrechte Staatsrecht Ⅱ, 11" 1995

      23 Schwerdtfeger, "Die dogmatische Struktur der Eigentumsgarantie"

      24 Ekey, "Die Verminderung von Eigentuemerrechten im Spannungdfeld zwischen Art"

      25 Helfritz, "Allgemeine Staatslehre"

      26 김남철, "831 부동산 종합대책에 대한 공법적 검토" 한국공법학회 34 (34): 177-201, 2006

      27 "2006년 헌법개정연구위원회 최종보고서 헌법개정연구" 한국헌법학회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7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9 0.687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