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工業團地 隣近의 月別 大氣 亞黃酸 濃度와 콩의 葉黃含量 및 收量構成要素와 이들의 關係 = Sulfur Dioxide Concentration of Soybean Leaves, Yield and Yield Components as Affected by Its Atmospheric Concentration around an Industrial Area, and Their Relationshi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707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大氣汚染은 날로 심각하여지고 있고 특히 大單位 工業團地에서 배출되는 亞黃酸가스에 의한 피해가 심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本硏究는 月別 大氣 亞黃酸 濃度가 콩잎의 黃含量, 收量 및 收量構成要素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工團 隣接地域에서의 作物栽培 및 공단의 오염물질배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던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콩잎의 亞黃酸 含量은 對照區에 비하여 工團 隣接地域이 높았으며 工團中心部로 향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2. 月別 大氣와 콩잎의의 亞黃酸 濃度間에는 콩의 生育이 왕성한 7월을 제외하고는 정의 相關을 보였다.
      3. 收量은 對照區에 비하여 工團中心部로 接近할수록 減少하였고 이러한 감소는 특정 收量構成要素보다는 全收量構成要素의 累積的인 減少에 起因하였다.
      4. 조사 2개년동안 콩의 수량은 6월부터 9월까지 月別 大氣의 亞黃酸 濃度와는 대체로 負의 相關을 보였으나 特定 收量構成要素와의 相關에서는 뚜렷한 경향이 없었다.
      번역하기

      大氣汚染은 날로 심각하여지고 있고 특히 大單位 工業團地에서 배출되는 亞黃酸가스에 의한 피해가 심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本硏究는 月別 大氣 亞黃酸 濃度가 콩잎의 黃含量, 收量 및 ...

      大氣汚染은 날로 심각하여지고 있고 특히 大單位 工業團地에서 배출되는 亞黃酸가스에 의한 피해가 심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本硏究는 月別 大氣 亞黃酸 濃度가 콩잎의 黃含量, 收量 및 收量構成要素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工團 隣接地域에서의 作物栽培 및 공단의 오염물질배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던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콩잎의 亞黃酸 含量은 對照區에 비하여 工團 隣接地域이 높았으며 工團中心部로 향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2. 月別 大氣와 콩잎의의 亞黃酸 濃度間에는 콩의 生育이 왕성한 7월을 제외하고는 정의 相關을 보였다.
      3. 收量은 對照區에 비하여 工團中心部로 接近할수록 減少하였고 이러한 감소는 특정 收量構成要素보다는 全收量構成要素의 累積的인 減少에 起因하였다.
      4. 조사 2개년동안 콩의 수량은 6월부터 9월까지 月別 大氣의 亞黃酸 濃度와는 대체로 負의 相關을 보였으나 特定 收量構成要素와의 相關에서는 뚜렷한 경향이 없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ir pollutants evolved from industrial areas have increasingly reduced crop yield.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atmospheric concentration of sulfur dioxide, a major air pollutant, on its concentration of soybean leaves, grain yield and yield components, and their relationship. Monthly sulfur dioxide concentration of atmosphere and soybean leaves at various spots around the Onsan Industrial Area in Korea and 2∼3 other spots without any influence of sulfur dioxide as Controls, its grain yield and yield components were measured for 2 years.
      Sulfur dioxide concentration of soybean leaves measured around the Area was higher than the Controls and inclined with shorter distence from its center. Although soybean grain yields at various spots showed similar pattern to the concentration of concentration of soybean leaves, the yield reduction was not derived from a particular yield component but mainly due to partial decrease of all the yield components. Monthly sulfur dioxide concentration of soybean leaves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that of atmosphere except for July when growing vigrously, while only soybean grain yield was negatively done to monthly atmospheric sulfur dioxide concentration.
      번역하기

      Air pollutants evolved from industrial areas have increasingly reduced crop yield.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atmospheric concentration of sulfur dioxide, a major air pollutant, on its concentration of soybean leaves, g...

      Air pollutants evolved from industrial areas have increasingly reduced crop yield.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atmospheric concentration of sulfur dioxide, a major air pollutant, on its concentration of soybean leaves, grain yield and yield components, and their relationship. Monthly sulfur dioxide concentration of atmosphere and soybean leaves at various spots around the Onsan Industrial Area in Korea and 2∼3 other spots without any influence of sulfur dioxide as Controls, its grain yield and yield components were measured for 2 years.
      Sulfur dioxide concentration of soybean leaves measured around the Area was higher than the Controls and inclined with shorter distence from its center. Although soybean grain yields at various spots showed similar pattern to the concentration of concentration of soybean leaves, the yield reduction was not derived from a particular yield component but mainly due to partial decrease of all the yield components. Monthly sulfur dioxide concentration of soybean leaves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that of atmosphere except for July when growing vigrously, while only soybean grain yield was negatively done to monthly atmospheric sulfur dioxide concentra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