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정보화는 짧은 시간 동안에 커다란 변화를 경험했다. 정보화 정책의 형성과 집행과정에 수많은 인물과 조직이 참여하여 정책의 전개에 영향을 주면서 정보화 정책이 역동적으로 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067680
한세억 (동아대학교)
2010
Korean
정보화 ; 행위자연결망 ; 정책변화 ; 정보화정책 ; informatization ; actor-network ; policy change ; IT policy
028.305
KCI등재
학술저널
23-43(2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의 정보화는 짧은 시간 동안에 커다란 변화를 경험했다. 정보화 정책의 형성과 집행과정에 수많은 인물과 조직이 참여하여 정책의 전개에 영향을 주면서 정보화 정책이 역동적으로 변...
한국의 정보화는 짧은 시간 동안에 커다란 변화를 경험했다. 정보화 정책의 형성과 집행과정에 수많은 인물과 조직이 참여하여 정책의 전개에 영향을 주면서 정보화 정책이 역동적으로 변화하였다. 그러면 국가사회담론으로서 자리 매김한 정보화정책의 확장적 변화와 특성에 영향을 미친 인물이 누구이며, 인적 연결망에 따라 어떠한 변화와 특징을 드러냈는가?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제탐색을 위해 시도된 이 연구의 분석결과, 한국 정보화의 정책전개 및 확장과정에서 정책 관료의 역할이 지배적이었다. 여기에 산업계 및 학계 인사들이 참여하였다. 반면 정치인의 역할은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상 인맥은 학·지·혈연 등에 의해 형성되었지만 정보화정책은 기존의 연(緣)에 의해서라기보다는 정보통신기술을 매개로 한 정책공간에서 형성되었다. 정보통신인맥구성이 이질혼합적임에도 정책줄기가 공고하게 유지될 수 있었던 것은 정보화 중요성, 시급성의 공감대 바탕에서 정보통신기술, 지식과 전문성에 바탕을 둔 연대 또는 유대감이 강하게 작용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formatization in Korea has undergone significant changes. So far, most studies on informatization policies have been carried out just on the basis of their structural or functional backgrounds. However, actually, informatization policies have change...
Informatization in Korea has undergone significant changes. So far, most studies on informatization policies have been carried out just on the basis of their structural or functional backgrounds. However, actually, informatization policies have changed dynamically as a lot number of people and organizations have participated in their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So, this study approaches them with an actor-network view that is distinct from but contains a chronological perspective, which other studies have overlooked so far. This approach allows us to have a clear picture of the changes in and to look into the characteristic of informatization policies from the Chun Doo Hwan government to the Lee Myung-bak government. Consequently, on the basis of the actor-network view, it is found tha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knowledge, and professionalism have dominated the characteristics and streams of informatization policies and brought about changes.
집단지성의 정치: 지식패러다임의 변화와 민주주의의 가능성
대학정보화 클라우드 캠퍼스 환경 도입방안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김명주사회복지 정보화
예수대학교 김경휘2013 KERIS 교육정보화 심포지엄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서혜숙, 김동욱, 천윤필, 류진선, 박인우, 조용상, 김성수, 박소화, 동수환, 문무상, 조규복, 김병문, 윤여선2015 KERIS 교육정보화 심포지엄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임승빈, 김금순, 김은기, 범수균, 김보배, 김현철, 이수지, 최기용, 박현재, 오지연, 현연숙, 이종분, 이한진, 서정희, 최성보, 문무상, 정광훈, 안성훈, 남부호, 서남수, 손동철, 이경희정보화 네트워크 시대와 제3차 산업혁명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김기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