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상미, "한국형 정서적 자활 프로그램 시행과 효과성 평가 - 경기지역 지역자활센터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9 (19): 179-199, 2017
2 김교성, "취업대상 조건부수급자의 경제적 자활로의 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2 : 5-32, 2003
3 엄태영, "취약계층의 경제적 자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원 23 (23): 226-251, 2016
4 손능수, "지역자활센터 자활사업의 성과 요인 분석 및 정책적 제언 : 경상북도자활사업 전달체계를 중심으로" 2016 (2016): 657-681, 2016
5 엄태영, "정서적 자활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정책학회 21 (21): 81-102, 2014
6 안서연, "자활직업훈련 사업의 임금 효과 분석 - Propensity Score Matching 방법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7) : 171-197, 2008
7 류만희, "자활사업의 취·창업 성과에 관한 연구 - 희망리본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3) : 605-637, 2012
8 임동진, "자활사업의 성과와 정책과제" 35 (35): 75-97, 2001
9 고용노동부, "자활사업 활성화 고용영향평가 연구" 고용노동부 2014
10 김은자, "자활사업 참여자의 주관적 건강인식 수준과 정서적 자활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7 (17): 476-488, 2017
1 최상미, "한국형 정서적 자활 프로그램 시행과 효과성 평가 - 경기지역 지역자활센터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9 (19): 179-199, 2017
2 김교성, "취업대상 조건부수급자의 경제적 자활로의 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2 : 5-32, 2003
3 엄태영, "취약계층의 경제적 자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원 23 (23): 226-251, 2016
4 손능수, "지역자활센터 자활사업의 성과 요인 분석 및 정책적 제언 : 경상북도자활사업 전달체계를 중심으로" 2016 (2016): 657-681, 2016
5 엄태영, "정서적 자활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정책학회 21 (21): 81-102, 2014
6 안서연, "자활직업훈련 사업의 임금 효과 분석 - Propensity Score Matching 방법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7) : 171-197, 2008
7 류만희, "자활사업의 취·창업 성과에 관한 연구 - 희망리본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3) : 605-637, 2012
8 임동진, "자활사업의 성과와 정책과제" 35 (35): 75-97, 2001
9 고용노동부, "자활사업 활성화 고용영향평가 연구" 고용노동부 2014
10 김은자, "자활사업 참여자의 주관적 건강인식 수준과 정서적 자활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7 (17): 476-488, 2017
11 박숙희,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사업 만족도 관련 요인" 사회과학연구소 30 (30): 213-232, 2014
12 신영신,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립 의지와 인지된 고용 장벽이 경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 한국비영리학회 15 (15): 19-38, 2016
13 이은지, "자활사례관리가 정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 자활사례관리 수행에 대한 자활참여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7 (17): 19-29, 2019
14 김경휘, "자활기업의 사회적경제조직 유형과 특성 비교 분석" 한국사회정책학회 26 (26): 115-145, 2019
15 이인재, "자활 프로그램 개편의 의의와 주요 내용" 146 : 9-14, 2010
16 보건복지부, "자활 인프라 운영체계 개편방안" 보건복지부 2017
17 최상미, "이용자중심적 관점으로부터의 자활에 대한 재개념화: 지역자활센터 사업 참여자의 시각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25 (25): 98-124, 2018
18 최용민, "심리적 요인과 근로사업 만족도 요인이 근로의욕에 미치는 영향" 20 (20): 195-220, 2010
19 김정원, "노동통합사회적기업의 측면에서 살펴본자활기업의 현실과 과제" 비판사회학회 (118) : 213-239, 2018
20 손능수, "국민기초생활보장 자활사업의 효과성 평가 -대구광역시 자활후견기관의 자활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17 (17): 729-760, 2005
21 이영호, "교류분석 활용 집단활동이 자활프로그램 참여자의 심리사회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38) : 31-59, 2011
22 송인한, "경제적 자활 척도(ESS)와 근로희망 척도(WHS)의 국내 적용: 자활의 포괄적 이해를 위한 척도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5 (15): 31-64, 2013
23 이석환, "건강인식 기준 자활사업 참여자집단들의 자활의지 영향 요인 비교연구" 한국보건사회학회 (36) : 133-156,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