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참여자 관점에서의 자활사업 체계화 및 활성화 방안 제언 = Suggestions for Systematizing and Revitalizing Self-support Program from the Perspective of Participa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026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self-support programs as a basic social economic model, and to suggest ways to systematize and activate self-support programs from the perspective of participants. To this end, literature review and brainstorming were conducted to deriv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for self-support programs, and the validity of the results was verified through expert advice. The main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project planning based on the participant database is necessary so that participants can continue to be economically self-reliant. Economic and emotional education and support for participants should be strengthened, and it is required to establish cooperative governance related to self-sufficiency, clearly define roles between institutions, and manage overall business outcomes through cooperation. In addition, to increase consumer awareness and market competitiveness, joint brands of self-support products should be managed and distribution channels with high consumer accessibility should be secur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self-support programs as a basic social economic model, and to suggest ways to systematize and activate self-support programs from the perspective of participants. To this 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self-support programs as a basic social economic model, and to suggest ways to systematize and activate self-support programs from the perspective of participants. To this end, literature review and brainstorming were conducted to deriv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for self-support programs, and the validity of the results was verified through expert advice. The main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project planning based on the participant database is necessary so that participants can continue to be economically self-reliant. Economic and emotional education and support for participants should be strengthened, and it is required to establish cooperative governance related to self-sufficiency, clearly define roles between institutions, and manage overall business outcomes through cooperation. In addition, to increase consumer awareness and market competitiveness, joint brands of self-support products should be managed and distribution channels with high consumer accessibility should be secur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상미, "한국형 정서적 자활 프로그램 시행과 효과성 평가 - 경기지역 지역자활센터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9 (19): 179-199, 2017

      2 김교성, "취업대상 조건부수급자의 경제적 자활로의 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2 : 5-32, 2003

      3 엄태영, "취약계층의 경제적 자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원 23 (23): 226-251, 2016

      4 손능수, "지역자활센터 자활사업의 성과 요인 분석 및 정책적 제언 : 경상북도자활사업 전달체계를 중심으로" 2016 (2016): 657-681, 2016

      5 엄태영, "정서적 자활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정책학회 21 (21): 81-102, 2014

      6 안서연, "자활직업훈련 사업의 임금 효과 분석 - Propensity Score Matching 방법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7) : 171-197, 2008

      7 류만희, "자활사업의 취·창업 성과에 관한 연구 - 희망리본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3) : 605-637, 2012

      8 임동진, "자활사업의 성과와 정책과제" 35 (35): 75-97, 2001

      9 고용노동부, "자활사업 활성화 고용영향평가 연구" 고용노동부 2014

      10 김은자, "자활사업 참여자의 주관적 건강인식 수준과 정서적 자활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7 (17): 476-488, 2017

      1 최상미, "한국형 정서적 자활 프로그램 시행과 효과성 평가 - 경기지역 지역자활센터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9 (19): 179-199, 2017

      2 김교성, "취업대상 조건부수급자의 경제적 자활로의 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2 : 5-32, 2003

      3 엄태영, "취약계층의 경제적 자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원 23 (23): 226-251, 2016

      4 손능수, "지역자활센터 자활사업의 성과 요인 분석 및 정책적 제언 : 경상북도자활사업 전달체계를 중심으로" 2016 (2016): 657-681, 2016

      5 엄태영, "정서적 자활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정책학회 21 (21): 81-102, 2014

      6 안서연, "자활직업훈련 사업의 임금 효과 분석 - Propensity Score Matching 방법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7) : 171-197, 2008

      7 류만희, "자활사업의 취·창업 성과에 관한 연구 - 희망리본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3) : 605-637, 2012

      8 임동진, "자활사업의 성과와 정책과제" 35 (35): 75-97, 2001

      9 고용노동부, "자활사업 활성화 고용영향평가 연구" 고용노동부 2014

      10 김은자, "자활사업 참여자의 주관적 건강인식 수준과 정서적 자활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7 (17): 476-488, 2017

      11 박숙희,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사업 만족도 관련 요인" 사회과학연구소 30 (30): 213-232, 2014

      12 신영신,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립 의지와 인지된 고용 장벽이 경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 한국비영리학회 15 (15): 19-38, 2016

      13 이은지, "자활사례관리가 정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 자활사례관리 수행에 대한 자활참여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7 (17): 19-29, 2019

      14 김경휘, "자활기업의 사회적경제조직 유형과 특성 비교 분석" 한국사회정책학회 26 (26): 115-145, 2019

      15 이인재, "자활 프로그램 개편의 의의와 주요 내용" 146 : 9-14, 2010

      16 보건복지부, "자활 인프라 운영체계 개편방안" 보건복지부 2017

      17 최상미, "이용자중심적 관점으로부터의 자활에 대한 재개념화: 지역자활센터 사업 참여자의 시각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25 (25): 98-124, 2018

      18 최용민, "심리적 요인과 근로사업 만족도 요인이 근로의욕에 미치는 영향" 20 (20): 195-220, 2010

      19 김정원, "노동통합사회적기업의 측면에서 살펴본자활기업의 현실과 과제" 비판사회학회 (118) : 213-239, 2018

      20 손능수, "국민기초생활보장 자활사업의 효과성 평가 -대구광역시 자활후견기관의 자활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17 (17): 729-760, 2005

      21 이영호, "교류분석 활용 집단활동이 자활프로그램 참여자의 심리사회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38) : 31-59, 2011

      22 송인한, "경제적 자활 척도(ESS)와 근로희망 척도(WHS)의 국내 적용: 자활의 포괄적 이해를 위한 척도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5 (15): 31-64, 2013

      23 이석환, "건강인식 기준 자활사업 참여자집단들의 자활의지 영향 요인 비교연구" 한국보건사회학회 (36) : 133-156,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