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청년들의 정치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Factors Affecting Political Participation of Korean Adolesc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026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and structural relationship of complex factors affecting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Korean adolescents. For that research purpose, the researcher analyzed the data of the 2019 Korean Youth Economic and Social Panel, which sampled 3,530 young adults aged 20 to 40 years old, including academic background, full-time status, and residential area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such as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politics, frequency of political participation and participation in voting were tested based on the prior research. The researcher compared the model fit differences between the partial mediating model hypothesizing the direct effect of demographic variables on the political participation and voting and the complete mediating model including only indirect effect of demographic variables via political efficacy.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ed better model fit indices of partial mediating model. The results show that educational and other background factors are involved in the Korean adolescents' political particip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and structural relationship of complex factors affecting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Korean adolescents. For that research purpose, the researcher analyzed the data of the 2019 Korean Youth Ec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and structural relationship of complex factors affecting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Korean adolescents. For that research purpose, the researcher analyzed the data of the 2019 Korean Youth Economic and Social Panel, which sampled 3,530 young adults aged 20 to 40 years old, including academic background, full-time status, and residential area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such as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politics, frequency of political participation and participation in voting were tested based on the prior research. The researcher compared the model fit differences between the partial mediating model hypothesizing the direct effect of demographic variables on the political participation and voting and the complete mediating model including only indirect effect of demographic variables via political efficacy.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ed better model fit indices of partial mediating model. The results show that educational and other background factors are involved in the Korean adolescents' political particip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화, "투표 참여 독려 광고가 유권자의 정치효능감과 투표 참여에 미치는 영향 : 정치적 이념성향에 따른 대학생들의 투표 참여 행위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38) : 5-39, 2015

      2 남인용, "청소년과 대학생의 정치 효능감과 미디어를 이용한 정치참여"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4) : 5-35, 2012

      3 최종호, "인터넷과 정치관심, 그리고 투표행태: 17대 대통령 선거의 사례"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19 (19): 175-197, 2011

      4 이윤주,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청년 사회・정치참여의 필요성 및 방안" 법과사회이론학회 (61) : 29-54, 2019

      5 이소영, "웹 2.0 시대 온라인 미디어의 정치적 역할 : 대학생 유권자의 정치행태를 중심으로" 동서문제연구원 24 (24): 89-116, 2012

      6 김은이, "온라인과 SNS 사용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효과: 대인간 대화와 정치 효능감을 매개 변수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31) : 31-62, 2013

      7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 투표율"

      8 강은주, "사회자본이 비제도적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SNS 이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연구소 29 (29): 97-128, 2020

      9 가상준, "비정규직 근로자들과 정치참여: 설문조사분석과 정책적 제안" 사회과학연구소 20 (20): 8-33, 2012

      10 김우진, "매니아와 청년들의 정치 참여: 가치 창조의 조건" 동아인문학회 (39) : 197-220, 2017

      1 이영화, "투표 참여 독려 광고가 유권자의 정치효능감과 투표 참여에 미치는 영향 : 정치적 이념성향에 따른 대학생들의 투표 참여 행위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38) : 5-39, 2015

      2 남인용, "청소년과 대학생의 정치 효능감과 미디어를 이용한 정치참여"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4) : 5-35, 2012

      3 최종호, "인터넷과 정치관심, 그리고 투표행태: 17대 대통령 선거의 사례"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19 (19): 175-197, 2011

      4 이윤주,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청년 사회・정치참여의 필요성 및 방안" 법과사회이론학회 (61) : 29-54, 2019

      5 이소영, "웹 2.0 시대 온라인 미디어의 정치적 역할 : 대학생 유권자의 정치행태를 중심으로" 동서문제연구원 24 (24): 89-116, 2012

      6 김은이, "온라인과 SNS 사용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효과: 대인간 대화와 정치 효능감을 매개 변수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31) : 31-62, 2013

      7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 투표율"

      8 강은주, "사회자본이 비제도적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SNS 이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연구소 29 (29): 97-128, 2020

      9 가상준, "비정규직 근로자들과 정치참여: 설문조사분석과 정책적 제안" 사회과학연구소 20 (20): 8-33, 2012

      10 김우진, "매니아와 청년들의 정치 참여: 가치 창조의 조건" 동아인문학회 (39) : 197-220, 2017

      11 신경아, "대학생들의 투표 참여 의도를 이끄는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정치 대화와 투표자 우대 제도, 내재적·외재적 정치 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PR학회 22 (22): 1-29, 2018

      12 장석준, "대학생들의 정치효능감, 정치지식, 정치냉소주의가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47) : 137-162, 2017

      13 박성준, "교사의 수용적 태도가 청소년의 정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 학생참여에 대한 인식의 매개효과 및 학교급에 따른 차이 분석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7 (17): 185-213, 2015

      14 오연주, "공공쟁점 토론학습에서 학습자 성격 유형에 따른 소집단 특성별 정치적 효능감 효과"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0 (50): 99-115, 2011

      15 Roberts, G. K., "Political education in Germany" 55 : 556-568, 2002

      16 Rawls, J., "A Theory of Justice"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999

      17 김지훈, "21대 국회 “90년생이 온다”…최연소 의원님 나이는?"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