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를 중심으로 통증 평가에 색을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색은 개인의 경험 및 문화적 의미를 포함한 중요한 디자인적 요소로써 색의 지각적 특성을 이해하고 적용해야 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321880
김수빈 (연세대학교 심바이오틱 라이프텍 연구원)
2024
Korean
색 연상 ; 통증 ; 통증 강도 ; 통증 유형 ; Association Color ; Pain ; Pain Intensity ; Pain Type
KCI등재
학술저널
75-89(1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의료계를 중심으로 통증 평가에 색을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색은 개인의 경험 및 문화적 의미를 포함한 중요한 디자인적 요소로써 색의 지각적 특성을 이해하고 적용해야 의...
의료계를 중심으로 통증 평가에 색을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색은 개인의 경험 및 문화적 의미를 포함한 중요한 디자인적 요소로써 색의 지각적 특성을 이해하고 적용해야 의사소통의 오류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과 의료의 융합적 관점으로 통증 연상 색의 맥락적 탐구를 시도하였다. 이론 고찰을 통해 통증 평가에 적용하고 있는 색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통증 연상 색 도출을 위한 방향성을 마련하였다. 통증의 유무와 강도, 유형으로 범위를 설정하고, 관련된 통증 연상 색 범주를 도출하고 특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첫째, 통증 유무와 관련된 대표적인 연상 색은 빨강(R), 하양(White)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통증 연상 색인 빨강(R)은 강도가 세어질수록 명도는 점점 낮아진다. 반면, 채도는 높아지다가, 다시 낮아지는 양상을 보였으며, 강도에 따라 채도가 먼저 변화한 뒤에 명도가 변화하는 특징이 나타났다. 셋째, 통증의 유형에 따른 통증 연상 색의 범주 결과, 빨강(R), 노랑(5Y), 남색(5PB), 검정(Black), 파랑(5B)이 도출되었으며, 이를 통증의 유형별로 분류하여 특징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간과 되었던 디자인적 측면에서의 통증 연상 색을 탐구한 기초연구로써 의의가 있다. 앞으로 실증 연구를 보완하여 실효성을 확보한다면 통증 연상 색의 체계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apply color to pain assessment, especially in the medical field. Color is an important design element that includes personal experience and cultural meaning, and understanding and applying the perceptual characteristics ...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apply color to pain assessment, especially in the medical field. Color is an important design element that includes personal experience and cultural meaning, and understanding and applying the perceptual characteristics of color can reduce communication error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context of pain-related colors from a design and medical convergence perspective. Through theoretical review, I recognized the problems of colors applied to pain assessment and established a direction for deriving pain-related colors. I set the scope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pain, intensity, and type, and attempted to derive related pain-related color categories and identify their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representative associated colors related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pain were derived as Red(5R) and White. Second, the Value of the pain-related color Red(5R) gradually decreased as the intensity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Chroma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again,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Chroma changing first and then the Value changing depending on the intensity was shown. Third, the categories of pain-related colors according to the type of pain were derived as follows: Red(5R), Yellow(5Y), Purple Blue(5PB), Black, Blue(5B) and these were classified by type of pain to identify their characteristics. This study is a basic study that explores pain-related colors from a design perspective that has been overlooked. If it secured effectiveness through empirical research, will be able to establish a system of pain-related colors.
상호작용 의례 사슬의 관점에서 본 가상 아이돌 팬 커뮤니티의 상호작용 분석 -'뤄톈이'(洛天依:Luo Tianyi) 팬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인공지능 설계 기반 UX 디자인의 사용자 경험 영향 분석: 자기 해석 성향의 조절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