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43년 창제된 훈민정음은 한국인에게는 언문이나 반절로 격하시켜 올 바른 가치 평가나 개량 개선의 여지도 없이 한자의 보조 수단으로 쓰여 지다가 1882년 로스-서상윤에 의한 한글 성서 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1443년 창제된 훈민정음은 한국인에게는 언문이나 반절로 격하시켜 올 바른 가치 평가나 개량 개선의 여지도 없이 한자의 보조 수단으로 쓰여 지다가 1882년 로스-서상윤에 의한 한글 성서 번...
1443년 창제된 훈민정음은 한국인에게는 언문이나 반절로 격하시켜 올 바른 가치 평가나 개량 개선의 여지도 없이 한자의 보조 수단으로 쓰여 지다가 1882년 로스-서상윤에 의한 한글 성서 번역으로 기사회생의 계기를 마련했으며 1886년 한국에 온 헐버트의 한글 자강 활동을 통하여 대중화의 길을 걷게 되었다. 이후 헐버트는 20세기 초 일제 강점 이후에는 한글문화 독립운동과 국권 회복 투쟁에 전념하였다. 이 논문은 한국어 정보학회 주최 5월15일 독립기념관 발표 논문을 기초로 하여 전자에 치중하여 기술하였으며 한글문화 자강운동과 한글문화 독림 투쟁이라는 시각에서 재정리하였다. 한글문화 자강 운동이란 스스로의 한글 지식의 깨우침과 보급 및 일상적 사용을 목표로 개몽, 학습 및 활용에 대한 활동 모두를 뜻하며 한글문화 독립 투쟁이란 한글을 통한 국권회복과 한민족의 정체성을 유지하여 문화적 독자성을 확립하자는 운동이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헐버트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최초의 한글문화 자강 활동의 선구자였다. 그가 집필한 ‘사민 필지'는 최초의 한글로 된 교재였으며 한글에 대한 표음 주의적 특징 고찰과 어원 비교는 최종의 한글연구의 단초가 된다. 그 이외 정음 창제의 연구와 한글의 재평가, 국문연구소 설치 건의와 실현, 한글 인쇄소 운영, 독립신문 발간, 주시경 등 한글 운동가의 배출 등 개화기의 초기 거의 모든 한글 자강 운동에 직간접으로 관련되어 있었다. 이는 일제 강점기 이후에도 이어 졌으며 이시기에 이루어진 한글문화 독립 운동(조선어학회의 한글 수호 투쟁), 일본어 상용의 저항과 문맹퇴치 운동 (보나발트 또는 상록수 운동에서 한글 보급 )의 단초를 제공했으며 광복 이후의 국문 상용과 한글전용에 그데로 이어진다. 그러나 우리는 이런 선각자에 대하여 올바른 자리 메김이 없었다. 헐버트는 개회기 한글문화 자강 운동의 선각자였으며 한글문화독립 운동의 유일한 당사자이지 증인이었다.
한글문화 자강 활동, 한글문화 독립투쟁 운동, 한글 보급운동과 전용운동에서 헐버트의 위치는 각별하다 국내외를 막론하고 최초이자 모든 한글 운동의 원류에 위치에 있으며. 사민필지도 초창기 한글 저술의 백미에 해당한다. 1882년 로스-서상윤에 의한 한글 성서번역이 한국의 복음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면 10여년 후 1891년 사민필지는 최초의 순 한글 저서로 당시의 지식 교육과 한글 대중화에 크게 공헌한 저술이었다. 그 후 1896년 서재필에 의한 독립신문은 순 한글신문의 시초로 모든 순 한글 신문의 태두에 속한다. 이 신문 또한 헐버트의 인쇄시설 지원에 힘입은 바 있다. 이들 개회기 한글문화 자강 운동의 3대 저술이라 할 것이며 오늘날 보아도 선각적이며 탁월한 발상의 전환의 결과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우, "헐버트의 한국어 계통론 연구" 경남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12 : 1999
2 김기석, "헐버트 - 대한제국의 마지막 밀사" 일조각 34 : 2004
3 홍정훈, "한말개신교학교의 민족의식교육" 울산대학교 2007
4 김동진, "파란눈의 한국혼 헐버트" 참 좋은 친구 2010
5 이대로, "우리 말글 독립운동의 발자취" 지식산업사 2008
6 김재완, "사민필지에 대한 소고" 13 (13): 2001
7 헐버트박사기념사업회, "사민필지" 2006
8 한철호, "배재학당 삼문출판사와 개화기 문화, 텬로력뎡 - 배재학당 역사박물관 연구집헐버트 기고문 및 헐버트 관련 기사"
9 전택부, "기독교청년회운동사" 정음사 1978
1 김정우, "헐버트의 한국어 계통론 연구" 경남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12 : 1999
2 김기석, "헐버트 - 대한제국의 마지막 밀사" 일조각 34 : 2004
3 홍정훈, "한말개신교학교의 민족의식교육" 울산대학교 2007
4 김동진, "파란눈의 한국혼 헐버트" 참 좋은 친구 2010
5 이대로, "우리 말글 독립운동의 발자취" 지식산업사 2008
6 김재완, "사민필지에 대한 소고" 13 (13): 2001
7 헐버트박사기념사업회, "사민필지" 2006
8 한철호, "배재학당 삼문출판사와 개화기 문화, 텬로력뎡 - 배재학당 역사박물관 연구집헐버트 기고문 및 헐버트 관련 기사"
9 전택부, "기독교청년회운동사" 정음사 1978
1960년대 국운회 학생활동이 박정희의 한글 전용정책에 끼친 영향
1969년 광화문 창작 현판의 저작인격권과 원상 회복에 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