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남도 외래생물 인벤토리 구축 - 문헌조사(2000년 이후 발행 문헌 853건) 및 현장조사 결과, 충청남도에서 확인된 외래생물은 296종임(재배식물 제외) - 이 중 생태계교란 생물은 28종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 충청남도 외래생물 인벤토리 구축 - 문헌조사(2000년 이후 발행 문헌 853건) 및 현장조사 결과, 충청남도에서 확인된 외래생물은 296종임(재배식물 제외) - 이 중 생태계교란 생물은 28종이...
? 충청남도 외래생물 인벤토리 구축
- 문헌조사(2000년 이후 발행 문헌 853건) 및 현장조사 결과, 충청남도에서 확인된 외래생물은 296종임(재배식물 제외)
- 이 중 생태계교란 생물은 28종이며, 현장조사에서는 뉴트리아, 쿰버랜드거북, 영국갯끈풀 3종을 제외한 25종이 확인됨
- 시군별 확인된 외래생물은 최소 91종(계룡시)에서 최대 176종(태안군)임
? 충청남도 생태계교란 생물 현장조사 및 GIS-DB 구축
- 충청남도 14,124개 지점(종별 분포지점 수의 합계)에서 확인된 생태계교란 생물은 25종이며, 식물 13종(가시박, 가시상추, 단풍잎돼지풀, 도깨비가지, 돼지풀, 물참새피, 미국쑥부쟁이, 서양금혼초, 서양등골나물, 애기수영, 양미역취, 털물참새피, 환삼덩굴), 동물 12종으로 곤충 4종(갈색날개매미충, 꽃매미, 등검은말벌, 미국선녀벌레), 양서류 1종(황소개구리), 파충류 5종(노란배거북, 리버쿠터, 붉은귀거북, 중국줄무늬목거북, 플로리다붉은배거북), 어류 2종(배스, 블루길)임
- 모든 시군에서 출현한 생태계교란 생물은 8종으로 식물 5종(가시박, 가시상추,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환삼덩굴), 곤충 2종(갈색날개매미충, 미국선녀벌레), 어류 1종(배스)임. 황소개구리는 3개 시군을 제외한 나머지 12개 시군에서 모두 확인됨
- 충청남도 생태계교란 생물 분포지점은 공주시 1,274지점, 서산시 1,250지점, 당진시 1,207지점, 분포면적(㎡)은 청양군 1,396,718㎡, 논산시 1,385,549㎡, 서산시 1,312,811㎡ 순으로 나타났으며, 충남지역의 생태계교란 생물의 분포면적(식물, 곤충)은 11,150,983㎡로 파악됨
? 충청남도 생태계교란 생물 관리방안 마련
- 생태계교란 생물 관리지역 선정을 위한 평가 지표 및 기준(시급성, 자산보전, 경제성)을 적용하여 현장조사에서 확인된 생태계교란 생물 14,124개 지점을 등급화함 : Ⅰ등급 167개소, Ⅱ등급 720개소, Ⅲ등급 1,614개소, Ⅳ등급 1,812개소
- 생태계교란 생물 관리지역 등급 평가 결과, Ⅰ~Ⅲ등급에 해당하는 분포지점(지역)을 대상으로 시군별 우선 관리종 및 관리지역을 선별함
- 충청남도 생태계교란 생물 모니터링 시스템은 「생태계교란 생물 모니터링 대민서비스」, 「생태계교란 생물 모니터링 관리시스템」, 「생태계교란 생물 모니터링 모바일 서비스」로 구성하며, 각 시스템의 메뉴 및 기능, 단계별 구축 방안을 제시함
- 생태계교란 생물 확산 상태에 따른 대응 전략을 적용하여 「초기 방제」, 「확산 저지」, 「피해 저감」을 핵심 관리 목표로 하는 충청남도 생태계교란 생물 관리 로드맵을 제시함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