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の栞』(1778)에는 『蜻蛉日記』(972)의 본문 중에서 「初瀬詣(初度)」 「唐崎祓」 「石山詣」의 일부가 수록되어 있다. 에도시대(1603-1868)에 간행된 사전인 『群書一覧』(1802)의 『文の栞...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38128
-
2013년
Korean
文の栞 ; 蜻蛉日記 ; The Edo Period ; Annotation ; Yamaoka shunmei ; Fuminoshiori ; Kagero Diary ; 山岡浚明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文の栞』(1778)에는 『蜻蛉日記』(972)의 본문 중에서 「初瀬詣(初度)」 「唐崎祓」 「石山詣」의 일부가 수록되어 있다. 에도시대(1603-1868)에 간행된 사전인 『群書一覧』(1802)의 『文の栞...
『文の栞』(1778)에는 『蜻蛉日記』(972)의 본문 중에서 「初瀬詣(初度)」 「唐崎祓」 「石山詣」의 일부가 수록되어 있다. 에도시대(1603-1868)에 간행된 사전인 『群書一覧』(1802)의 『文の栞』항목에는 편찬자의 이름은 적지 않고 「新発意明阿弥陀佛〈=山岡浚明〉」의 서문이 있다고만 적혀있다. 하지만 현대의 사전에서는 「山岡浚明」를 『文の栞』의 편찬자로 적고 있는 것은 그의 서문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山岡浚明는 『蜻蛉日記』본문연구의 근원이 되었다고 평가받고 있을 정도로 커다란 공헌을 한 인물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근세 『蜻蛉日記』주석서의 상호 영향관계와 『文の栞』의 성립사정에 대해서 고찰하기 위해 『文の栞』의 일기본문을 상세히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文の栞』는 山岡浚明이 작성한 『蜻蛉日記』(静嘉堂文庫 소장) 판본을 참고하여 만들어졌다는 사실은 분명함에도 불구하고, 잘못된 일기본문과 함께 일부 본문이 탈락된 부분도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山岡浚明는 서문을 작성한 것에 불과하고, 『蜻蛉日記』를 비롯한 작품의 편찬 작업에는 직접 관여하지 않았다고 추측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uminoshiori(1778) includes some of Htusemoude(first), Karasakibarae, and shiyamamoude, all of which are contained in the body of The Diary of the Kagerou(972). Gunsho Ichiran(1802), a dictionary published in Edo period(1603-1868), says in Fuminoshior...
Fuminoshiori(1778) includes some of Htusemoude(first), Karasakibarae, and shiyamamoude, all of which are contained in the body of The Diary of the Kagerou(972). Gunsho Ichiran(1802), a dictionary published in Edo period(1603-1868), says in Fuminoshiori part that it contains the preface of Shinbothimyoamidabutu<=Yamaoka, Matsuakira> without recording the name of the writer. However, the reason why current dictionaries record Yamaoka, Matsuakira as the writer of Fuminoshiori must be that his preface is actually included in the book.
Yamaoka is considered to have made a fundamental contribution to the study about the body of The Diary of the Kagerou. Therefore, this paper conducts a detailed research on the body of the diary in Fuminoshiori in order to figure out the interaction between this book and modern annotation books of The Diary of the Kagerou, and the compilation process of Fuminoshiori. As a result, although it is clear that Fuminoshiori was made by referring to the wookdblock-printed book of The Diary of the Kagerou(housed in Seikadobunko), it has been found to omit some parts of the body as well as to include incorrect contents. In conclusion, we can assume that Yamaoka did not participate in writing literary works including The Diary of the Kagerou while doing not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