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단행본] 데카르트적 성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233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선험적 현상학의 이념추구 / 이종훈 = 17
      제1부 데카르트적 성찰
      서론
      1 철학적 자기 성찰의 원형인 데카르트의 성찰 = 39
      2 철학을 철저히 새롭게 시작할 필요성 = 43
      제1성찰 선험적 자아로의 길
      3 데카르트적 전복과 학문을 절대적으로 정초하려는 주도적 목적이념 = 47
      4 인식대상의 현상인 학문 속으로 들어가 체험함으로써 학문의 목적이념을 천명하는 일 = 49
      5 명증성과 진정한 학문의 이념 = 52
      6 명증성을 구별하는 일. 필증적이며 그 자체로 최초의 명증성에 대한 철학적 요구 = 56
      7 세계의 현존재에 대한 명증성은 필증적이 아니다. 이것은 데카르트적 전복에 포함되어야 한다 = 58
      8 선험적 주관성인 '나는 생각한다' (ego cogito) = 60
      9 '나는 존재한다'(Ich bin)의 필증적 명증성의 효력범위 = 64
      10 여론 : 데카르트의 선험적 전회의 실패 = 67
      11. 심리학적 자아와 선험적 자아. 세계의 초월성 = 68
      제2성찰 선험적 경험영역을 보편적 구조에 관해 해명하는 일
      12 인식을 선험적으로 정초하려는 이념 = 71
      13 선험적 인식의 유효범위에 관한 문제들을 우선 배제해야 할 필요성 = 73
      14 사유작용의 흐름. 사유작용과 사유된 대상 = 76
      15 자연적 반성과 선험적 반성 = 79
      16 여론 : 선험적 반성처럼 '순수심리학적' 반성도 '나는 생각한다'에서 출발해야 할 필요가 있다 = 84
      17 상관적 문제제기인 의식탐구의 양면성. 기술의 방향들. 의식의 근원형식인 종합 = 86
      18 종합의 근본형식인 동일화. 선험적 시간의 보편적 종합 = 89
      19 지향적 삶의 현실성과 잠재성 = 92
      20 지향적 분석의 특성 = 95
      21 '선험적 실마리'인 지향적 대상 = 100
      22 모든 대상을 보편적으로 통일하는 이념과 그것을 구성적으로 해명하는 과제 = 103
      제3성찰 구성적 문제제기 - 진리와 현실성
      23 '이성'과 '비이성'이라는 명칭 아래에서 좀더 명확한 개념인 선험적 구성 = 107
      24 스스로 주어진 것으로서의 명증성과 그 변경들 = 108
      25 현실성과 유사-현실성 = 110
      26 명증적 확증의 상관자인 현실성 = 111
      27 '존재하는 대상'이라는 의미에 대해 구성적으로 기능하고 있는 습득적이고 잠재적인 명증성 = 112
      28 세계경험의 추정적 명증성. 경험의 완전한 명증성의 상관적 이념인 세계 = 113
      29 명증성에 관한 선험적 체계들의 지표인 실질적 존재론적 영역과 형식적 존재론적 영역 = 115
      제4성찰 선험적 자아 자체를 구성하는 문제들의 전개
      30 선험적 자아는 그 체험들에서 분리될 수 없다 = 119
      31 체험들의 동일한 극(Pol)인 자아 = 120
      32 습득성의 기체인 자아 = 121
      33 모나드인 자아의 완전한 구체화와 그 자아의 자기 구성 문제 = 123
      34 현상학적 방법의 원리적 형성. 형상적 분석인 선험적 분석 = 124
      35 형상적 내적 심리학의 여론 = 130
      36 가능한 체험형식들의 우주인 선험적 자아. 공존과 계기 속에서 체험들이 공존할 수 있는 본질법칙적 규칙 = 130
      37 모든 자아론적 발생의 보편적 형식인 시간 = 132
      38 능동적 발생과 수동적 발생 = 134
      39 수동적 발생의 원리인 연상 = 139
      40 선험적 관념론의 문제로 이행 = 140
      41 '선험적 관념론'으로서 '나는 생각한다'의 진정한 현상학적 자기 해명 = 142
      제5성찰 모나드론적 상호주관성인 선험적 존재영역의 해명
      42 독아론이라는 반론에 대립해서 타자경험의 문제를 제시하는 일 = 151
      43 타자경험의 구성적 이론에 대한 선험적 실마리인 타자가 의식내용적-존재적으로 주어지는 방식 = 153
      44 선험적 경험을 고유한 영역으로 환원하는 일 = 155
      45 선험적 자아와 고유한 영역으로 환원된 심리물리적 인간인 자기 통각 = 163
      46 체험흐름의 현실성과 잠재성의 영역인 고유한 영역 = 164
      47 지향적 대상은 완전한 모나드적 구체화에 함께 속한다. 내재적 초월과 원초적 세계 = 168
      48 원초적 초월에 대립해 있는 좀더 높은 단계인 객관적 세계의 초월 = 169
      49 타자경험을 지향적으로 해명하는 진행을 미리 지시하는 일 = 171
      50 '간접제시'(유비적 통각)로서 타자경험의 간접적 지향성 = 173
      51 타자경험을 연상적으로 구성하는 구성요소인 '짝짓기' = 177
      52 그 자신의 확증양식을 지닌 경험방식인 간접제시 = 179
      53 원초적 영역의 잠재성들과 타인의 통각 속에서 이것의 구성적 기능 = 182
      54 타자를 경험하는 간접제시의 의미를 해명하는 일 = 184
      55 모나드들의 공동체화와 객관성의 최초형식인 상호주관적 자연 = 187
      56 높은 단계의 상호 모나드론적 공동체의 구성 = 196
      57 내적 심리학적 해명과 자아론적-선험적 해명의 평행관계에 대한 설명 = 199
      58 높은 단계의 상호주관적 공동체를 지향적으로 분석하는 문제들을 나누는 일. 자아와 환경세계 = 200
      59 존재론적 해명과 구성적인 선험적 현상학 전체 속의 위치 = 205
      60 우리가 타자경험을 해명한 형이상학적 성과들 = 208
      61 '심리학적 근원'에 관한 전통적 문제들과 이들에 대한 현상학적 해명 = 211
      62 타자경험을 지향적으로 해명하는 개괄적 특성 = 220
      결론
      63 선험적 경험과 인식을 비판하는 과제 = 225
      64 맺음말 = 226
      제2부 제6 데카르트적 성찰
      머리말의 구상 = 237
      교수자격 취득 논문의 머리말 = 239
      제6 데카르트적 성찰
      1 이제까지 성찰들의 방법적 한계성 = 241
      2 선험적 방법론의 주제 = 248
      3 현상학의 '자기 관련성' = 252
      4 선험적 방법론의 문제와 구분 = 259
      5 환원함인 현상학함 = 268
      6 소급적 분석함인 현상학함 = 287
      7 '구축적' 현상학인 현상학함 = 294
      8 이론적 경험작용인 현상학함 = 307
      9 이념화작용인 현상학함 = 318
      10 술어화작용인 현상학함 = 325
      11 '학문화함'인 현상학함 = 341
      a. 현상학함의 학문성 문제 = 343
      b. 현상학함의 세계화함 = 348
      c. '학문'의 개념 = 376
      12 선험적 관념론인 '현상학함' = 398
      부록들과 삽입들 (1933년 여름부터 1934년 1월까지)
      부록1 판단중지를 수행한 성과와 의의 = 409
      부록2 현상학하는 행위를 통해 밝혀지는 세계구성 = 410
      부록3 자연적 태도에서 선험적 태도로의 전환 = 412
      부록4 세계 속에 존재하는 인간의 세계구성 = 412
      부록5 현상학적 환원 내부에 있는 자연적 태도의 활동 = 413
      부록6 세계를 구성하는 현상학함의 과제 = 416
      부록7 현상학하는 행위의 자기 해석 = 417
      부록8 선험적 주관성의 삶과 보편적 학문 = 420
      부록9 선험적 자아의 현상학함과 정상성의 문제 = 421
      주해들과 탐구 비망록들
      부록10 일반적인 인간의 능력, 특히 '모든 사람에 대한' 진리의 이념(1933년 7월 1일) = 427
      부록11 현상학의 두 가지 단계들. 곧바로 현상학과 현상학함의 현상학(1933년 말) = 433
      부록12 세계의 지평의식과 그 구조들. 체계적 실행의 시도(1933년 말) = 438
      이탈된 초고들
      부록13 현상학하는 자아로부터 드러난 밝혀진 선험적인 것을 심리학적으로 세계화함. 현상학을 심리학화함의 추가(1933년 12월 혹은 1934년 1월) = 451
      부록14 절대적인 선험적 구성. 현상학하는 주체를 스스로 드러내 밝힘(1934년 1월 21일) = 453
      부록15 현상학적 학문의 생성과 현상학하는 공동체의 발전(1934년 1월 24일) = 455
      에드문트 후설 연보 = 457
      에드문트 후설의 저술들 = 463
      옮긴이의 말 = 469
      찾아보기 = 473
      번역하기

      선험적 현상학의 이념추구 / 이종훈 = 17 제1부 데카르트적 성찰 서론 1 철학적 자기 성찰의 원형인 데카르트의 성찰 = 39 2 철학을 철저히 새롭게 시작할 필요성 = 43 제1성찰 선험적 자아로...

      선험적 현상학의 이념추구 / 이종훈 = 17
      제1부 데카르트적 성찰
      서론
      1 철학적 자기 성찰의 원형인 데카르트의 성찰 = 39
      2 철학을 철저히 새롭게 시작할 필요성 = 43
      제1성찰 선험적 자아로의 길
      3 데카르트적 전복과 학문을 절대적으로 정초하려는 주도적 목적이념 = 47
      4 인식대상의 현상인 학문 속으로 들어가 체험함으로써 학문의 목적이념을 천명하는 일 = 49
      5 명증성과 진정한 학문의 이념 = 52
      6 명증성을 구별하는 일. 필증적이며 그 자체로 최초의 명증성에 대한 철학적 요구 = 56
      7 세계의 현존재에 대한 명증성은 필증적이 아니다. 이것은 데카르트적 전복에 포함되어야 한다 = 58
      8 선험적 주관성인 '나는 생각한다' (ego cogito) = 60
      9 '나는 존재한다'(Ich bin)의 필증적 명증성의 효력범위 = 64
      10 여론 : 데카르트의 선험적 전회의 실패 = 67
      11. 심리학적 자아와 선험적 자아. 세계의 초월성 = 68
      제2성찰 선험적 경험영역을 보편적 구조에 관해 해명하는 일
      12 인식을 선험적으로 정초하려는 이념 = 71
      13 선험적 인식의 유효범위에 관한 문제들을 우선 배제해야 할 필요성 = 73
      14 사유작용의 흐름. 사유작용과 사유된 대상 = 76
      15 자연적 반성과 선험적 반성 = 79
      16 여론 : 선험적 반성처럼 '순수심리학적' 반성도 '나는 생각한다'에서 출발해야 할 필요가 있다 = 84
      17 상관적 문제제기인 의식탐구의 양면성. 기술의 방향들. 의식의 근원형식인 종합 = 86
      18 종합의 근본형식인 동일화. 선험적 시간의 보편적 종합 = 89
      19 지향적 삶의 현실성과 잠재성 = 92
      20 지향적 분석의 특성 = 95
      21 '선험적 실마리'인 지향적 대상 = 100
      22 모든 대상을 보편적으로 통일하는 이념과 그것을 구성적으로 해명하는 과제 = 103
      제3성찰 구성적 문제제기 - 진리와 현실성
      23 '이성'과 '비이성'이라는 명칭 아래에서 좀더 명확한 개념인 선험적 구성 = 107
      24 스스로 주어진 것으로서의 명증성과 그 변경들 = 108
      25 현실성과 유사-현실성 = 110
      26 명증적 확증의 상관자인 현실성 = 111
      27 '존재하는 대상'이라는 의미에 대해 구성적으로 기능하고 있는 습득적이고 잠재적인 명증성 = 112
      28 세계경험의 추정적 명증성. 경험의 완전한 명증성의 상관적 이념인 세계 = 113
      29 명증성에 관한 선험적 체계들의 지표인 실질적 존재론적 영역과 형식적 존재론적 영역 = 115
      제4성찰 선험적 자아 자체를 구성하는 문제들의 전개
      30 선험적 자아는 그 체험들에서 분리될 수 없다 = 119
      31 체험들의 동일한 극(Pol)인 자아 = 120
      32 습득성의 기체인 자아 = 121
      33 모나드인 자아의 완전한 구체화와 그 자아의 자기 구성 문제 = 123
      34 현상학적 방법의 원리적 형성. 형상적 분석인 선험적 분석 = 124
      35 형상적 내적 심리학의 여론 = 130
      36 가능한 체험형식들의 우주인 선험적 자아. 공존과 계기 속에서 체험들이 공존할 수 있는 본질법칙적 규칙 = 130
      37 모든 자아론적 발생의 보편적 형식인 시간 = 132
      38 능동적 발생과 수동적 발생 = 134
      39 수동적 발생의 원리인 연상 = 139
      40 선험적 관념론의 문제로 이행 = 140
      41 '선험적 관념론'으로서 '나는 생각한다'의 진정한 현상학적 자기 해명 = 142
      제5성찰 모나드론적 상호주관성인 선험적 존재영역의 해명
      42 독아론이라는 반론에 대립해서 타자경험의 문제를 제시하는 일 = 151
      43 타자경험의 구성적 이론에 대한 선험적 실마리인 타자가 의식내용적-존재적으로 주어지는 방식 = 153
      44 선험적 경험을 고유한 영역으로 환원하는 일 = 155
      45 선험적 자아와 고유한 영역으로 환원된 심리물리적 인간인 자기 통각 = 163
      46 체험흐름의 현실성과 잠재성의 영역인 고유한 영역 = 164
      47 지향적 대상은 완전한 모나드적 구체화에 함께 속한다. 내재적 초월과 원초적 세계 = 168
      48 원초적 초월에 대립해 있는 좀더 높은 단계인 객관적 세계의 초월 = 169
      49 타자경험을 지향적으로 해명하는 진행을 미리 지시하는 일 = 171
      50 '간접제시'(유비적 통각)로서 타자경험의 간접적 지향성 = 173
      51 타자경험을 연상적으로 구성하는 구성요소인 '짝짓기' = 177
      52 그 자신의 확증양식을 지닌 경험방식인 간접제시 = 179
      53 원초적 영역의 잠재성들과 타인의 통각 속에서 이것의 구성적 기능 = 182
      54 타자를 경험하는 간접제시의 의미를 해명하는 일 = 184
      55 모나드들의 공동체화와 객관성의 최초형식인 상호주관적 자연 = 187
      56 높은 단계의 상호 모나드론적 공동체의 구성 = 196
      57 내적 심리학적 해명과 자아론적-선험적 해명의 평행관계에 대한 설명 = 199
      58 높은 단계의 상호주관적 공동체를 지향적으로 분석하는 문제들을 나누는 일. 자아와 환경세계 = 200
      59 존재론적 해명과 구성적인 선험적 현상학 전체 속의 위치 = 205
      60 우리가 타자경험을 해명한 형이상학적 성과들 = 208
      61 '심리학적 근원'에 관한 전통적 문제들과 이들에 대한 현상학적 해명 = 211
      62 타자경험을 지향적으로 해명하는 개괄적 특성 = 220
      결론
      63 선험적 경험과 인식을 비판하는 과제 = 225
      64 맺음말 = 226
      제2부 제6 데카르트적 성찰
      머리말의 구상 = 237
      교수자격 취득 논문의 머리말 = 239
      제6 데카르트적 성찰
      1 이제까지 성찰들의 방법적 한계성 = 241
      2 선험적 방법론의 주제 = 248
      3 현상학의 '자기 관련성' = 252
      4 선험적 방법론의 문제와 구분 = 259
      5 환원함인 현상학함 = 268
      6 소급적 분석함인 현상학함 = 287
      7 '구축적' 현상학인 현상학함 = 294
      8 이론적 경험작용인 현상학함 = 307
      9 이념화작용인 현상학함 = 318
      10 술어화작용인 현상학함 = 325
      11 '학문화함'인 현상학함 = 341
      a. 현상학함의 학문성 문제 = 343
      b. 현상학함의 세계화함 = 348
      c. '학문'의 개념 = 376
      12 선험적 관념론인 '현상학함' = 398
      부록들과 삽입들 (1933년 여름부터 1934년 1월까지)
      부록1 판단중지를 수행한 성과와 의의 = 409
      부록2 현상학하는 행위를 통해 밝혀지는 세계구성 = 410
      부록3 자연적 태도에서 선험적 태도로의 전환 = 412
      부록4 세계 속에 존재하는 인간의 세계구성 = 412
      부록5 현상학적 환원 내부에 있는 자연적 태도의 활동 = 413
      부록6 세계를 구성하는 현상학함의 과제 = 416
      부록7 현상학하는 행위의 자기 해석 = 417
      부록8 선험적 주관성의 삶과 보편적 학문 = 420
      부록9 선험적 자아의 현상학함과 정상성의 문제 = 421
      주해들과 탐구 비망록들
      부록10 일반적인 인간의 능력, 특히 '모든 사람에 대한' 진리의 이념(1933년 7월 1일) = 427
      부록11 현상학의 두 가지 단계들. 곧바로 현상학과 현상학함의 현상학(1933년 말) = 433
      부록12 세계의 지평의식과 그 구조들. 체계적 실행의 시도(1933년 말) = 438
      이탈된 초고들
      부록13 현상학하는 자아로부터 드러난 밝혀진 선험적인 것을 심리학적으로 세계화함. 현상학을 심리학화함의 추가(1933년 12월 혹은 1934년 1월) = 451
      부록14 절대적인 선험적 구성. 현상학하는 주체를 스스로 드러내 밝힘(1934년 1월 21일) = 453
      부록15 현상학적 학문의 생성과 현상학하는 공동체의 발전(1934년 1월 24일) = 455
      에드문트 후설 연보 = 457
      에드문트 후설의 저술들 = 463
      옮긴이의 말 = 469
      찾아보기 = 473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책은 에드문트 후설의 Cartesianische Meditation und Pariser Vorträge와 후설의 마지막 연구 조교인 오이겐 핑크의 Cartesianische Meditation을 번역한 것이다. 이 책은 선험적 자아를 습득성 기체 및 자기 자신을 구성하는 모나드로 파악한 점, 선험적 현상학이 독아론이라는 비판에 대해 체계적으로 반론을 제시한 점, 감정이입과 타자경험, 선험적 상호주관성인 모나드 공동체와 세계의 선험적 구성에 관한 연구를 통해 자연, 공간, 시간, 동물, 인간, 영혼, 신체, 사회적 공동체, 문화의 의미와 근원을 해명할 수 있는 단서를 마련함으로써 현상학적 탐구의 문제영역 전체를 조망할 수 있다는 점 등에서 극히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번역하기

      이 책은 에드문트 후설의 Cartesianische Meditation und Pariser Vorträge와 후설의 마지막 연구 조교인 오이겐 핑크의 Cartesianische Meditation을 번역한 것이다. 이 책은 선험적 자아를 습득성 기체 및 자기 ...

      이 책은 에드문트 후설의 Cartesianische Meditation und Pariser Vorträge와 후설의 마지막 연구 조교인 오이겐 핑크의 Cartesianische Meditation을 번역한 것이다. 이 책은 선험적 자아를 습득성 기체 및 자기 자신을 구성하는 모나드로 파악한 점, 선험적 현상학이 독아론이라는 비판에 대해 체계적으로 반론을 제시한 점, 감정이입과 타자경험, 선험적 상호주관성인 모나드 공동체와 세계의 선험적 구성에 관한 연구를 통해 자연, 공간, 시간, 동물, 인간, 영혼, 신체, 사회적 공동체, 문화의 의미와 근원을 해명할 수 있는 단서를 마련함으로써 현상학적 탐구의 문제영역 전체를 조망할 수 있다는 점 등에서 극히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메타작성자 초록은 일부는 메타작성자가 작성한 것이고, 나머지는 옮긴이의 말에서 발췌한 것이다.

      메타작성자 초록은 일부는 메타작성자가 작성한 것이고, 나머지는 옮긴이의 말에서 발췌한 것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