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우리나라에서의 협치(協治)를 위한 공동정부의 가능성과 그 규범적 조건 = Coalition of the Parties for the Harmonious Governance and the Conditions for its Succ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848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n agreement to form a policy coalition or joint government between political parties for cooperative decision-making or governance. In 1997, president candidate Kim Dae Jung made a coalition covenant with another president candidate Kim Jong Pil. In order for national decision-making and execution, including the decision of the National Assembly or the government, two or more political parties conclude an agreement, thereby forming a majority in the National Assembly and participating in the administration of the state by the heads of administrative departments. A policy coalition or joint government agreement may appear for a variety of reasons, such as before the presidential election or for rational state administration.
      However, the policy coalition or joint government agreement may distort the representative relationship by distorting the political will of the people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or the parliamentary election, and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formation of the majority in a parliament artificially may hinder the power separation principle from working. It can also be expected that responsibility, which is a core element of the representative relationship, is lost due to the distribution of responsibility as well as authority. In the context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coalition or joint government agreement, the content of the agreement must be disclosed, since it will need to be under the control of the people. In addition, the decision-making process in a party to participate in the policy coalition or joint government should be democratic.
      번역하기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n agreement to form a policy coalition or joint government between political parties for cooperative decision-making or governance. In 1997, president candidate Kim Dae Jung made a coalition covenant with another presiden...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n agreement to form a policy coalition or joint government between political parties for cooperative decision-making or governance. In 1997, president candidate Kim Dae Jung made a coalition covenant with another president candidate Kim Jong Pil. In order for national decision-making and execution, including the decision of the National Assembly or the government, two or more political parties conclude an agreement, thereby forming a majority in the National Assembly and participating in the administration of the state by the heads of administrative departments. A policy coalition or joint government agreement may appear for a variety of reasons, such as before the presidential election or for rational state administration.
      However, the policy coalition or joint government agreement may distort the representative relationship by distorting the political will of the people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or the parliamentary election, and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formation of the majority in a parliament artificially may hinder the power separation principle from working. It can also be expected that responsibility, which is a core element of the representative relationship, is lost due to the distribution of responsibility as well as authority. In the context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coalition or joint government agreement, the content of the agreement must be disclosed, since it will need to be under the control of the people. In addition, the decision-making process in a party to participate in the policy coalition or joint government should be democratic.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국가기관 상호간에 협력적 의사결정을 위하여 정당간에 정책연합을 만들거나 좀 더 강한 형태로 공동정부를 구성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국회의 의사결정 또는 정부까지를 포함한 국가의사결정과 집행을 위하여 둘 이상의 정당이 협약을 체결하고 이에 따라 국회에서의 다수를 형성하고 행정 각부의 장 등으로 국정운영에도 참여하는 것이다. 이는 흔히 공동정부 협약이라 할 수 있다. 공동정부 협약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또는 원활한 국정운영을 위한 경우처럼 다양한 이유에 의하여 등장할 수 있다. 공동정부의 구성은 현실적으로 대통령이 실질적 권한행사가 보장된 국무총리를 임명하여 정부를 운영하는 방식도 가능하며 아예 정당의 대표가 참여하는 공동정부운영기구의 의사결정을 통하여 대통령이 권한 행사를 결정하거나 제한하는 방식도 등장할 수 있다.
      그러나 공동정부협약은 대통령선거나 국회의원선거에서 나타난 국민의 정치적 의사를 왜곡하여 대표관계를 왜곡할 수 있으며, 인위적인 국회 내 다수의 형성에 따라 권력분립원리가 작동되지 않게 될 가능성도 있다. 또한 권한의 분산이나 공유와 함께 책임의 분산도 수반되어 대표관계의 핵심적 요소인 책임이 실종되는 경우도 예상할 수 있다. 공동정부협약의 이행과 관련하여 그것이 지속적으로 국민의 신임에 기초하여 통제될 수 있기 위해서는 밀실에서의 담합이 아니라 국민의 통제를 받아야 할 것이므로 합의의 내용이 공개되어야 한다. 또한 정당에서의 공동정부구성에 참여하는 의사결정의 과정이 민주적이어야 하며, 국회 안에서의 의사결정도 합리성에 기초한 논의와 의사결정이 전제되어야 한다.
      번역하기

      국가기관 상호간에 협력적 의사결정을 위하여 정당간에 정책연합을 만들거나 좀 더 강한 형태로 공동정부를 구성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국회의 의사결정 또는 정부까지를 포함한 국가의...

      국가기관 상호간에 협력적 의사결정을 위하여 정당간에 정책연합을 만들거나 좀 더 강한 형태로 공동정부를 구성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국회의 의사결정 또는 정부까지를 포함한 국가의사결정과 집행을 위하여 둘 이상의 정당이 협약을 체결하고 이에 따라 국회에서의 다수를 형성하고 행정 각부의 장 등으로 국정운영에도 참여하는 것이다. 이는 흔히 공동정부 협약이라 할 수 있다. 공동정부 협약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또는 원활한 국정운영을 위한 경우처럼 다양한 이유에 의하여 등장할 수 있다. 공동정부의 구성은 현실적으로 대통령이 실질적 권한행사가 보장된 국무총리를 임명하여 정부를 운영하는 방식도 가능하며 아예 정당의 대표가 참여하는 공동정부운영기구의 의사결정을 통하여 대통령이 권한 행사를 결정하거나 제한하는 방식도 등장할 수 있다.
      그러나 공동정부협약은 대통령선거나 국회의원선거에서 나타난 국민의 정치적 의사를 왜곡하여 대표관계를 왜곡할 수 있으며, 인위적인 국회 내 다수의 형성에 따라 권력분립원리가 작동되지 않게 될 가능성도 있다. 또한 권한의 분산이나 공유와 함께 책임의 분산도 수반되어 대표관계의 핵심적 요소인 책임이 실종되는 경우도 예상할 수 있다. 공동정부협약의 이행과 관련하여 그것이 지속적으로 국민의 신임에 기초하여 통제될 수 있기 위해서는 밀실에서의 담합이 아니라 국민의 통제를 받아야 할 것이므로 합의의 내용이 공개되어야 한다. 또한 정당에서의 공동정부구성에 참여하는 의사결정의 과정이 민주적이어야 하며, 국회 안에서의 의사결정도 합리성에 기초한 논의와 의사결정이 전제되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09

      2 김철수, "헌법학신론" 박영사 2013

      3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4

      4 A. Hamilton, "페더랄리스트 페이퍼" 한울 아카데미 1995

      5 이종수, "이른바 “공동정부(구성)계약”의 헌법적 검토" 41 (41): 1999

      6 유진오, "신고 헌법해의" 일조각 1953

      7 "박근혜 ,국회의장 방문 국회 추천 총리 임명 의사 밝혀 - 야당, 제안에 아직은 비판적, 시민사회는 강력 반발"

      8 이종수, "민주화 이후 야당의 지위, 기능 및 책임성의 재정립을 위한 헌법적 검토" 한국헌법학회 20 (20): 89-136, 2014

      9 송기춘, "대통령의 사고 또는 궐위로 인하여 발생하는 헌법적 쟁점들에 관하여" 사단법인 한국국가법학회 13 (13): 1-27, 2017

      1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09

      2 김철수, "헌법학신론" 박영사 2013

      3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4

      4 A. Hamilton, "페더랄리스트 페이퍼" 한울 아카데미 1995

      5 이종수, "이른바 “공동정부(구성)계약”의 헌법적 검토" 41 (41): 1999

      6 유진오, "신고 헌법해의" 일조각 1953

      7 "박근혜 ,국회의장 방문 국회 추천 총리 임명 의사 밝혀 - 야당, 제안에 아직은 비판적, 시민사회는 강력 반발"

      8 이종수, "민주화 이후 야당의 지위, 기능 및 책임성의 재정립을 위한 헌법적 검토" 한국헌법학회 20 (20): 89-136, 2014

      9 송기춘, "대통령의 사고 또는 궐위로 인하여 발생하는 헌법적 쟁점들에 관하여" 사단법인 한국국가법학회 13 (13): 1-27,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2 1.02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9 0.87 0.967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